하양향교장의연수자료1
2012.1.27.12:00 전교댁
第2章 儀式
第十二節 釋奠享禮는 年再享하되 二月八月上丁日에 奉行한다.
但 儒林 總會의 議決로 年一享할 수 있다.
第十三節 每月朔望日焚香禮를 奉行한다.
第十四節 正月初三日 八月十七冬至日에 焚香禮를 奉行한다.
但 任員全員이 參禮한다.
第十五節 大聖誕降日 陰八月二十七日은 釋菜를 奉行한다.
一. 釋菜費用은 鄕費로서는 祭酒代若干支出하고 其餘 費用은 任員이
負擔한다.
二. 釋菜參禮人員範圍는 任員에 一任한다.
註) 河陽鄕校誌 全 139쪽
第七章 條 例
第七十一節 獻官은 東階立西向하여 曲四拜를 하고 諸執事및 一般祭官은
直四拜한다.
第七十二節 獻官및 諸執事는 東階升하여 東門으로 入廟하여 西門出西階下관
한다. (陶山書院은 公式으로 正門入 東門出)
第七十五節 外三門出入門路는 東便小門은 士人및 祭官이 出 入하고 中間大門
은 神門인 故로 出入을 禁하며 西小門은 使人이 出入하는 門이다.
內三門出入門路는 中間大門은 五聖位가 出入하는 神門이고 東西便小門
은 東西廡位가 出入하는 神 門이고 東俠小門은 士人및 祭官 諸使執事가
出入하고 西俠小門은 使人이 出入하는 門이다.
註) 河陽鄕校誌 全 146쪽
(1) 拱手法
① 공수 : 어른 上司에게 敬禮, 臨할 때, 廟前, 揖禮, 儀禮行事때 尊敬과 敬虔한
자세로 두손을 잡는 儀則이다.
남자는 吉事때 左手在右上 凶事 右手在左上 양을높이는이치 여자는 반대
②吉事 : 제사 혼사 회갑 생일 기념행사
凶事 : 喪事
③공수법의 이치설
胞胎時 - 男左女右
出生時 ,事故死時 - 남: 背天地腹 여:腹天地背
體位別 : 남 : 背陽陰腹 여: 背陰陽腹
④동서남북 방위
自然方位 : 해뜨는 쪽이 東, 지는 쪽이 西 절대불변
예절의 방위 : 主格 上座를 北쪽으로 간주
예) 예식장 주례 선자리 북쪼 왼쪽이 동 오른쪽이 西쪽
⑤ 자리의 生死 區分
生時의 자리 : 南東女西 (生子以東爲首)
死者의 자리 : 男西女東 (死者以西爲上)
* 주자가례 사당(祠堂)조에 ‘범옥지제(凡屋之制)는 불문하향배(不問何向背)하고 전위남(前爲
南) 이요 후위북(後爲北)이요 좌위동(左爲東)이고 우위서(右爲西)이다. 이후(以後)개방차(皆倣
此)’라 하였다.
즉, ‘무릇 집의 방향을 말함에 있어 어느 쪽을 향하였거나 앞쪽이 남이요, 뒤쪽이 북이요, 왼쪽
이 동이요, 오른쪽이 서이다. 이후 모든 방향은 이에 따르라’는 뜻이다. 또 묘지(墓地)조에도
위 사당조와 같은 취지로 말하였다. 즉 ‘묻힌 분을 기준으로 묻힌 분의 머리쪽[용미쪽]이 북쪽
이요 발쪽 즉 자손이 절하는 쪽이 남쪽이요, 왼쪽이 동쪽이요 오른쪽이 서쪽이다.
⑴ 제의에서는 신위를 모신 곳이 북쪽이고,
⑵ 혼인에선 주례가 있는 곳이 북쪽이고,
⑶ 사무실에서는 제일 상급자가 있는 곳이 북쪽이고,
⑷ 교실에서는 선생님이 계신 곳이 북쪽이고,
⑸ 행사장에서는 단상이 북쪽이고,
⑹ 묘지에서는 그 묘지가 어디든지 북쪽에서 남향한 것이고,
⑺ 모든 건물은 어느 쪽을 향했든 북쪽에서 남향한 것으로 보아 동서남북을
정한다. 자연의 방위와 예절의 방위는 일치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註) 한국인의 생활예절 이무영저 2009 한둘기획 p.45
(2) 揖禮法
①읍례 : 절을 할 수 없을 때 간단하게 공경을 나타내는 동작
절할 수 있는 장소에 와서는 절을 해야 함
두손을 拱手로 잡고 위로올렸다가 아래로 내리는 垂直動作
자기키 정도 멈추어 바로선 자세로 서서 머리숙여 자기발끝을 보면서 손이 무
릎 아래까지 굽혔다가 잠깐멈춘다음 허리를 세우면서 공수한 두손을 밖으로 원
을 그리면서 팔뚝이 수평이 되게 저으며 손을 가슴 쪽으로 끌어 당겨서 원 위치
로 돌아 간다
②上揖禮 天揖(軍師父, 父執尊長) 눈 높이
中揖禮 時揖(兄執, 平交間 相揖) 입 높이
下揖禮 土揖(手下者 答揖) 가슴높이
(3) 拜禮(절)法
① 절의 意義 : 예의 기본. 머리와 몸을 굽혀 존경을 표하는 儀則. 정중하고 공
손한태도 진심어린 자세
② 種類
1) 큰절(높은어른) : 男 稽首拜 女 肅拜 直系尊屬 ( 높은어른 의식행사 : 백숙부
모 8촌이내연장존속 의식행사)
2) 평절 : 남 頓首拜 여자 平拜 (답배또는 평절로 맞절하는 웃어른 같은 또래사
이 : 선생님 연장자 상급자 배우자 형님 누님 또래. 친족아닌 15년 이내 연상자)
3) 반절 : 남 控首拜 여자 半拜 ( 웃어른이 아랫사람 절에 답배하는 경우: 제자.
미성년친구자녀, 자녀의 친구, 남녀동생 )
文廟拜禮 - 국궁하여 무릎을 꿇고 앉은 다음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고 이마
가 손등에 닿을 정도로 고개숙여 네 번 반복하여 절한다.
文廟向拜 - 문묘를 향하여 허리를 90도로 숙여 네 번 경레한다.
* 제례 때는 절하고 읍하며 임금께는 읍하고 절한다.
③ 拜의 향사처(行使處)
單拜 - 부모, 존장 평상시 덜
再拜 : 부모와 존장의 회갑헌수(回甲獻壽) 생신(生辰)
제사와 성묘 때 남자가 하는 절
四拜 - 임금,공자묘(孔子廟), 新婦가 현구고례(見舅姑禮)때, 여자가 부모회갑 헌
수 때나 제사 때
④ 拜의 형태(절하는 모습)
직배(直拜) - 절 받는 분을 직향하여 하는 절
곡배(曲拜) - 왕과 공자묘(孔子廟)에 절할 때
왕에게는 관원은 곡배(曲拜) 백성은 직배(直 拜)하며 공자묘에는 전교와 헌
관은 곡배로하 고 일반제관은 직배로 한다.
곡배는 절 받는 분의 왼쪽에서 동궤서향(東跪 西向)하는 절이다. (예“ 절받
는 분은 北背南向 , 절하는 분은 東背西向)
경례의 종류
1. 의식경례 : 90도 머무름 7박자 신랑신부의 맞절, 영좌에 하는 절, 제례 의례 추모의식 등 신위에 절할 때
2. 큰경례 - 윗몸 45도 굽혀 잠시머무름 4박자
3. 평경례 -전통배례의 평절하는 경우 윗몸 30도 굽힘 3박자
4.반경례 -반절하는 경우. 윗몸15도 2박자
5) 주목경례 - 국기에 대한 맹세
6) 거수 경례(제복) 군인 경찰 제복 유니폼을 입은 사람
7) 目禮 - 눈으로 경례 표시 가볍게 머리만 숙임
8) 합장 - 불교에서
握手 - 절이라기 보다 정의 표시. 절대신 관례적으로 하기 때문 절의 일종으로 간주함. 악수했다고 해서 절이 생략되는 것은 아니다.
312p
⑩ 文廟에서 절하는 方法(私家와 다른 점)
文廟에서 釋奠大祭나 奉審(왕명을 받들어 陵所나 廟宇을 보살핌) 때 절은 헌관과 전교는 곡배하고 기타 유림은 직배로 각각 4배하는데 남자가 절할 대는 양손을 공수한채로 왼쪽 무릎을 먼저 구부리며 바른쪽 무릎을 따라서 굽히면서 공수한 양손을 땅에 대면서 양무릎을 꿇어 허리를 굽히며 양 발등이 땅에 닿도록 붙이고 臀部(궁둥이 둔)를 양발뒷꿈치에 밀착시키고 이마가 공수한 양손을 땅에 떼었다가 공수한 손을 上揖(눈 높이까지 올려서 반복함)을 하고 다시 공수한 손을 땅에 짚고 허리를 굽혀서 절한다. 일어설 때는 절할 때의 반대로 오른쪽 무릎을 먼저 일으켜 세우면서 공수로 바른 무릎을 짗고 일어나서 왼쪽 무릎을 따라서 일으켜서 원자세로 일어선다.
(4) 취족연보법(取足連步法)
묘전(廟殿)에 출입할 때는 오를 때에 승자동계(升自東階)요, 내릴 때는 강자서계
(降自西階)가 원칙이고 층계에서는 반드시 취족연보(取足連步)하여야 한다. 취족
할 때는 東階로 오를 때는 오른발을 먼저 내딛고 왼발을 모으며 연보하고, 西降할
때는 왼발을 먼저 내딛고 오른발을 모으며 연보한다. 만약 서쪽 층계로 오를 때는
왼발을 먼저 내딛고 오른발을 모아 연보한다.
(5) 신도통행(神道通行) 금률(禁律)
묘전(廟殿) 층계는 삼간(三間)으로 구성되어는데 중아계는 셩현의 혼령이 통행하
는 신도(神道)라 하여 일반인의 통행을 금하고 만일 신도를 건너갈 때는 일단 멈
추었다가 허리를 굽혀 낮추고 공손을 표하고 층계를 오를 때는 東階로 오르고 내
려올 때는 西階를 이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