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부터 말씀드리면..TKO는 KO의 일부입니다.
모든 TKO는 KO라 KO전적에 포함합니다. 그러나 모든KO가 TKO는 아니라는 말이죠.
K.O.는 원래 미국식 영어였다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용어가 되었습니다.
'넉아웃'이라고 해서 Knock Out의 약자인데 Knockout이라고 적습니다.
knock은 우리가 흔히 '노크'라고 하는 거지만 이 knock에는 때린다는 뜻도 있습니
다. out은 '보내버리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어서 '넉아웃'은 '두들겨패서 나가떨어지
게 만든다'라는 뜻이 되죠. 다시 말해서 '확실하게 보내버림으로써 이기다'라는 의미
가 되는것입니다.
T.K.O.는 테크니컬 넉아웃(Technical KnockOut)의 약자입니다.
아마추어복싱이나, 태권도에선 R.S.C.(Referee Stop Contest 심판경기종료)라고 부릅
니다. Referee Stop Count라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잘못된 표현입니다.
T.K.O.에 해당되는 경우
①시합중 세컨에 의한 타올투입이 있는 경우(세컨스톱)
②경기중 선수간의 실력차가 현격하여 열세인 선수가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레퍼리스톱)
③선수의 부상 혹은 데미지에 의해 선수의 경기속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닥터스톱)
첫댓글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