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단원 형성 평가 |
(2) 중세의 문학 찬기파랑가 | ||
학년 ( ) 반 ( ) 번 이름 ( ) |
점수 확인 |
맞은 개수 ( )개 | |
다시 풀기 ( )개 |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1~10]
咽嗚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攴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皃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磧惡希 郞也持以攴如賜烏隱 心未際叱肹逐內良齊 阿耶栢史叱枝次高攴好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
늣겨곰 라매 이슬 갼 라리 구룸 조초 간 언저레 몰이 가 믈서리여 耆郞 즈올시 수프리야. 逸烏나릿 긔 郞이여 디니더시온 좃라져. 아야 자싯가지 노포 누니 모 두폴 곳가리여. |
[현대어 풀이]
흐느끼며 바라보매 이슬 밝힌 달이 흰 구름 따라 떠 간 언저리에 모래 가른 물가에 기랑(耆郞)의 모습이올시 수풀이여. 일오(逸烏)내 자갈 벌에서 낭(郞)이 지니시던 마음의 갓을 좇고 있노라. 아아, 잣나무 가지가 높아 눈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이여. |
<유형: 작품의 특성 파악하기>
1. 이 노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개인 창작 시라고 볼 수 있다.
② 중세의 문학에 속하는 작품이다.
③ 삼국 시대의 문학 작품 중 하나이다.
④ 한자를 이용한 차자 표기인 향찰로 창작되었다.
⑤ 해당 국가에서 노랫말이 전해지는 유일한 작품이다.
<유형: 대상에 대한 시적 화자의 태도 파악하기>
2. 이 노래에서 ‘기랑(耆郞)’에 대한 시적 화자의 태도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추모하고 있다.
② 예찬하고 있다.
③ 관조하고 있다.
④ 사모하고 있다.
⑤ 그리워하고 있다.
<유형: 작품의 미적 범주 파악하기>
3. 이 노래에서 발견할 수 있는 미적 범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숭고미② 비장미③ 우아미
④ 골계미⑤ 조화미
<유형: 소재의 상징적 의미 파악하기>
4. 이 노래에 등장하는 소재의 상징적 의미를 적절하게 파악하지 못한 것은?
① 눈: 무언가를 덮어 버리는 존재이므로, 시련이나 역경을 상징한다.
② 자갈: 냇가에 근처에 있는 존재이므로, 화자가 존재하는 공간을 상징한다.
③ 달: 높은 곳에 떠 있는 광명의 존재이므로,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상징한다.
④ 수풀: 기파랑의 모습인 줄 착각하게 만든 존재이므로, 기파랑을 사칭하는 세력을 상징한다.
⑤ 잣나무: 하늘을 향해 높이 솟은 존재이므로, 쉽게 꺾이지 않는 기파랑의 높은 절개를 상징한다.
<유형: 작가의 신분과 창작 의도 파악하기>
5. <보기>를 참고하여, 이 노래를 지은 작가의 신분과 창작 의도가 무엇인지 서술해 보자.
<보기>
향가는 화랑과 관계가 깊다. 향가의 작자 중에 화랑이 많다는 점도 향가와 화랑의 긴밀한 관계를 말해 준다. ‘모죽지랑가’의 작자 득오곡(得烏谷)은 화랑 죽지랑이 이끄는 무리에 속한 사람이다. ‘찬기파랑가’와 ‘안민가’의 작가 충담사(忠談師)와 ‘혜성가’의 작가 융천사(融天師)는 승려이지만 화랑도에 속해 있는 승려 낭도(僧侶郎徒)로 여겨진다. 화랑은 산수(山水)를 찾아다니면서 수련을 하였으므로 정신 수양과 정서 함양에 노래가 큰 역할을 했으리라고 추정할 수 있는데, 이때 향가가 불렸을 가능성이 크다. 한편 화랑에 대한 책인 “화랑세기”에도 향가가 들어 있다.
<유형: 작가의 개성 파악하기>
6. 이 노래를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할 때, 각 부분에 해당되는 구와 그 중심 내용을 적절하게 짝지은 것은?
① 1~4구: 기파랑이 떠나가는 풍경
5~8구: 기파랑이 지닌 마음가짐
9~10구: 기파랑에 대한 추모의 정
② 1~5구: 기파랑의 고결한 모습
6~8구: 기파랑에 대한 그리움
9~10구: 기파랑에게 닥친 시련
③ 1~3구: 기파랑이 떠난 슬픔
4~6구: 기파랑의 아름다운 모습
7~10구: 기파랑을 따르고자 하는 마음
④ 1~4구: 떠나간 기파랑을 추모하는 마음
5~8구: 기파랑의 깨끗하고 맑은 모습
9~10구: 기파랑이 죽게 된 원인
⑤ 1~5구: 기파랑에 대한 그리움
6~8구: 기파랑을 따르고자 하는 마음
9~10구: 기파랑의 높은 인품에 대한 찬양
<유형: 다른 해석과 비교하기>
7. <보기>와 같이 해석할 경우 달라지는 점이 아닌 것은?
<보기>
열치매 나토얀 리 구름 조초 가 안디하 새파 나리여 기랑(耆郞) 즈 이슈라 일로 나리ㅅ 낭(郞) 디니다샤온 좇누아져 아으 잣ㅅ가지 노파 서리 몯누올 화반(花判)이여. |
[현대어 풀이]
(구름 장막을) 열어 젖히매 나타난 달이 흰 구름 따라 떠 가는 것 아니냐? 새파란 냇가에 기랑의 모습이 있구나. 이로부터 냇가 조약에 낭이 지니시던 마음의 끝을 따르련다. 아아 잣나무 가지 높아 서리조차 모르시올 화랑의 우두머리여. |
① 화자가 달을 상상 속이 아닌 직접 바라보는 것으로 형상화된다.
② 화자가 느끼고 있는 슬픔이 보다 덜 직접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③ 첫 구절이 단도직입적으로 표현되어 시적 긴장도가 높아지게 된다.
④ ‘돌’을 의미하는 ‘자갈’이 ‘조약’으로 해석되면서 기파랑의 인품을 상징하는 소재가 된다.
⑤ 기파랑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해석되던 ‘냇물’이 기파랑의 인격을 상징하는 소재로 해석된다.
<유형: 향가에서 감탄사의 역할 파악하기>
8. <보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시어(구)를 찾아 써 보자.
<보기>
• 시상을 전환한다.
• 정서적 고양을 드러낸다.
• 시적 완결성을 드러내기 위한 구절을 이끈다.
• 대상에 대한 흠모의 정을 단적으로 표출한다.
( )
<유형: 작품의 의의 파악하기>
9. <보기>의 밑줄 친 ‘뜻이 매우 높다’는 평가가 가능한 근거를 서술해 보자.
<보기>
경덕왕이 말하기를 “짐이 일찍이 대사가 기파랑(耆婆郞)을 찬미하여 사뇌가(詞腦歌)를 지어 그 뜻이 매우 높다고 들었는데 과연 그런가?” 하니, 대답하기를 “그렇습니다.” 하였다.
왕이 이르기를 “그렇다면 짐을 위해 안민가(安民歌)를 지으라.” 하였다. 승(충담사)이 곧바로 왕명을 받들어 노래를 지어 바치니, 왕이 아름답게 여겨 왕사(王師)에 봉하였으나, 승이 재배(再拜)하고 받지 않았다.
<유형: 서로 다른 두 작품 비교하기>
10. 이 노래를 <보기>와 비교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去隱春皆理米 毛冬居叱沙哭屋尸以憂音 阿冬音乃叱好支賜烏隱 皃史年數就音墮支行濟 目煙廻於尸七史伊衣 逢烏支惡知作乎下是 郞也慕理尸心未[行乎尸道 蓬次叱巷中宿尸夜音有叱下是 |
간 봄 그리매 모 것 우리 시름 아 나토샤온 즈 샬쯈 디니져 눈 돌칠 이예 맛보디 지리 낭이여 그릴 녀올 길 다봊 굴허헤 잘 밤 이시리 |
[현대어 풀이]
간(지나간) 봄을 그리워함에, 모든 것이 울어 시름하는구나. 아름다움을 나타내신 얼굴이 주름살을 지니려는구나. 눈 돌이킬(눈 깜빡할) 사이에 만나 뵈옵기를 지으리. 낭이여, 그리운 마음의 가는 길, 다북쑥 우거진 마을에 잘 밤 있으리오. |
- 득오곡, ‘모죽지랑가’
① 두 작품 모두 서정적 색채가 두드러진다.
② 두 작품 모두 계절적 배경이 암시되고 있다.
③ 두 작품 모두 대상의 죽음이 시 창작의 동기로 작용하고 있다.
④ 이 노래와 달리 <보기>에는 인생무상에 대한 인식이 드러나 있다.
⑤ 이 노래와 달리 <보기>에는 대상의 모습이 상징적 소재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풀이>
• • 소단원 형성 평가 • •
찬기파랑가 |
1 ⑤ 2 ③ 3 ① 4 ④ 5 해설 참조 6 ⑤ 7 ⑤ 8 아야 9 해설 참조 10 ⑤ |
[해설]
1 이 노래는 삼국 시대에 신라에서 창작된 향가로 중세의 문학에 속한다. 향가는 한자를 이용한 차자 표기인 향찰로 창작된 노래이며, 이는 국어 문장을 표기하기 위해 한자를 빌려 온 것이다. 또한 향가는 집단 창작이 아닌 개인 창작시이다. 향가의 노랫말은 제시된 작품 외에도 다수 전해진다. ‘정읍사’가 백제의 문학 중 노랫말이 전해지는 유일한 작품이다.
2 이 작품에서 시적 화자는 ‘기랑(耆郞)’의 높은 인격을 사모하면서 그를 예찬하고 있다. ‘기랑’은 이미 ‘흰 구름을 따라 떠나간’ 존재이고, 화자는 그 흔적을 ‘흐느끼며’ 바라보고 있으므로, 떠나간 ‘기랑’을 추모하고 그리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이 작품에서 기파랑은 고결한 인격을 가진 숭고한 존재로 그려지고 있으므로, 이상적인 경지에 대해 느낄 수 있는 숭고미가 이 작품의 미적 범주로 적절하다.
(오답 해설)
② 비장미는 부정적 현실에 대한 비애감이나 좌절감에서 느껴지는 미적 범주이다.
③⑤ 우아미나 조화미는 현재 주어진 것의 아름다움과 그에 대한 만족감을 일컫는 미적 범주이다.
④ 골계미는 해학이나 풍자를 통해 주어진 상황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하는 데서 느껴지는 미적 범주이다.
4 ‘수풀’은 화자로 하여금 기파랑의 모습이라고 생각하게 만든 존재이다. 이는 ‘수풀’이 기파랑의 모습을 사칭하는 세력이기 때문이 아니라, 수풀의 깨끗한 모습이 기파랑을 떠올리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④는 적절하지 않다.
5 (예시 답안) 작가는 화랑도에 속한 승려로, 자기가 속한 화랑을 이끄는 ‘기파랑’을 추모하기 위해 이 노래를 창작했다.
6 이 작품의 1~5구에서는 떠나간 기파랑을 그리워하며 수풀의 깨끗한 모습에서 기파랑을 떠올리고 있다. 6~8구에서는 자갈 벌에서 기파랑의 마음가짐을 떠올리며 그것을 따르고자 하고 있다. 9~10구에서는 눈도 차마 덮지 못하는 잣나무에 기파랑의 인격을 비유하면서 그의 높은 인품을 찬양하고 있다. 이를 적절하게 정리한 것은 ⑤이다.
7 ‘냇물’은 지문에 제시된 해석에서는 시적 화자가 처해 있는 공간이었는데, <보기>에서는 기파랑의 푸르고 맑은 정신세계를 상징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기파랑이 처한 공간이 아니라 화자가 처한 공간이었으므로 ⑤는 적절하지 않다.
8 낙구의 감탄사가 하는 역할을 파악하는 문제이다. 향가의 9구를 ‘낙구’라고 부르는데, 낙구의 첫머리에 오는 감탄사는 시상을 전환하면서 정서적 고양을 드러낸다. 또한 9~10구는 주로 시상을 완결하기 위한 구절로, 낙구의 감탄사는 이 구절을 이끌어내는 역할도 한다.
9 (예시 답안) ‘사뇌가’는 10구체 향가를 일컫는 말로, 이 당시 10구체 향가는 고도의 완성도를 지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게다가 이 노래는 탁월한 상징적 기법으로 기파랑의 고매한 인격을 형상화하였으므로 문학성이 높다. 경덕왕은 이 노래에 대해 ‘그 뜻이 매우 높다’고 평가했다.
10 이 노래에는 대상의 모습이 ‘달’, ‘수풀’ 등의 상징적 소재를 통해 표현되고 있는 반면, <보기>에는 대상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소재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⑤는 적절하지 않다.
첫댓글 5555555555555555555555555555555555555555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