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설(상차리기): 제사상에 음식을 차린다 (아래의 제사상 차림표 참고)
지방 혹은 사진을 모신다.
2. 분향,강신: 조상님께서 오시기를 청하는 절차.
모든 참석자는 제사상 앞에 선다.
제주(맏아들)가 제사상 앞 중앙 향로 앞에 꿇어 앉아 향을 먼저 피우고,
좌집사는 제사상에서 빈잔을 내려 제주에게 주면
우집사는 술을 따르고(반 정도만 채움) 향 위나 앞에서 3번 거친 후(돌린다)
퇴주그릇에 3번에 걸쳐 잔을 비운다.(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들고)
빈잔은 좌집사로 하여금 다시 제사상의 원위치에 놓고
제주만 두번 절(재배)한다.
(향로에는 고운모래나 쌀을 넣는다)
# 좌집사 우집사 없이
한사람이 좌측에서 잔을 받아 내리고 올리기로 한다
3. 참신:
조상님이 오셨으므로 조상님께 인사드리는 절차이다.
제주 및 참석자 전원이 2번 절한다
4. 초헌: 맨 처음 올리는 술이다.
제주(초헌관)가 다시 제사상 앞에 꿇어 앉는다.
좌집사가 상위의 잔(잔 받침대까지)을 주고,
우집사가 술을 가득 부어주면.
먼저 집사가 받아서 신위 앞에(상 위에)올린다.
(부부 제사를 한 상에 지낼 때에는 같은 방법으로 여자 조상님 잔도 올린다)
집사들이(혹은 제주) 젓가락을 세워 상 바닥에(또는 수저 접시에) 똑똑똑
세 번 가지런히 한 후 젓가락 끝(가는 쪽)이 사람이 봐서 오른쪽을 향하도록 하여
수저 접시나 음식위에 올려 놓는다
제주는 두 번 절한 후 물러난다.
* 집사들은 술잔을 퇴주 그릇에 비운후 다시 그 자리(상 위에, 신위 앞에)에 놓는다.
다음의 제주가 마시거나, 비우고서 다시 잔을 채워 올리기도 한다
5. 독축:
참석자 일동은 꿇어앉고 집사등 축관이나 제주가 축문을 읽는다.
다읽고 나면 제주는 두 번 절한다.(전원이 절하는 가문도 있다)
*요즘은 축문 읽는 것은 생략하는 가정이 많다.
6. 아헌:
아헌관이(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사람) 제사상 앞에 꿇어 앉는다.
보통 두번째 잔은 보통 주부가 올린다
나머지 방법은 초헌 때와 같이 한다.
7. 종헌:
종헌관이(세 번째로 술잔을 올리는 사람) 제사상 앞에 꿇어앉는다.
제주 다음가는 근친자가 올린다
이 때에는 잔에 술을 70% 정도만 채워서 올린다.
나머지 방법은 초헌 때와 같이 한다.
8. 삽시 정저:
집사들이(혹은 주부가) 밥그릇 뚜껑을 열고 두껑은 상 바닥에 내려놓는다.
('상례비요'라는 책에는 초헌때 밥 뚜껑을 연다고 되어 있다 함)
집사들이(혹은 제주나 주부가) 숟가락 바닥이 동쪽(우측)을 향하게 밥 가운데에 꽂는다.
9. 부복 (합문):
신위께서 음식을 드시도록 방문을 닫고 나오는 것을 말하는데
요즈음은 제사상 앞에서 몇분 정도 엎드렸다가 제주의 인기척을 듣고 일어선다.
(대략 아홉 숟가락 드시는 시간 정도를 기다린다)
자리가 비좁은 경우에는 뒤돌아 섯다가 제주의 인기척에 돌아선다,
10 첨작(유식): 조금 더 드시기를 청하는 절차이다.
다시 제주(초헌관)가 제사상 앞에 꿇어앉는다.
우집사가 다른 빈 잔(혹은 메 뚜껑)을 주고, 술을 조금 따라 주면
좌집사가 그 잔을 받아
종헌때 덜 채웠던 잔에 조금씩 세 번 따라 가득 차도록 붓는다.
* 술병을 향위에 3번 거친후 술잔에 3번 채우거나
제주가 잔을 받은 상태에서 우집사가 3번 채우기도 한다.
첨작자(제주)는 두 번절(재배)하고 물러난다.
(첨작후에는 절을 안 하고, 삽시 정저까지 한 다음에 절하는 가문도 많다)
11. 헌다:
갱(국)을 내리고 그 자리에 숭늉을 올린다.
메(밥)를 조금씩 세 번 떠서 숭늉에 말아 놓고 숟가락은 그대로 숭늉 그릇에 담가 놓는다.
(숟가락 손잡이는 왼쪽을 향하게 한다. 메 그릇에 걸치게 놓는 가정도 있다)
참석자 모두 잠시 고개를 숙이고(揖-읍) 기다린다.
12. 철시복반:
수저 젓가락을 거두어서 시저 접시에 놓는다.
메(밥) 그릇을 덮는다.
(하시 합 반개(下匙 闔飯蓋)라고도 한다)
이성- 모든 제례의 행사가 끝났음을 독축자가 제주에게 알리는 행사로
독축자는 제주를 바라보면서 "이성",,,,,,,이라고 외친다
요즘 가정에서는 많이 생략되고 문중의 행사같은 큰 행사시엔 그대로 진행된다
13. 사신:
제사를 다 끝 마쳤으므로 안녕히 가시라고 인사하는 절차이다.
참사자 모두는 두번 절한다
14. 분축:
촛불과 향불을 끄고 축문과 지방은 불사른다
15. 철상:
제사상을(음식) 치우고 식사 준비를 한다.(뒤에서부터 치우기도 한다)
음식 한 가지를 내려놓거나 제사상을 들어 앞쪽으로 약간 이동시킨다
16. 음복:
조상께서 주시는 복된 음식이란 뜻으로 온 가족이 모여 시식(식사)을 하며
친척 및 이웃 어른께 대접하기도 한다.
첫댓글 독축을 했으면 사신앞에 독축자는 제주에게 이성(理成)을 고한다....양손을 모으고 "이성"이라고 소리내면서 반배한다
식사시간은 부복이라고 해서 엎드리거나 돌아서서 잠시 기다리고ㅡ헌다때는 읍이라 해서
두손을 마주잡고 배 앞에 모으는 절차이나 묵념이라 생각하면 좋겠다
이성이란
독축을 했던 사람이
제사의 모든 의식이 끝났을때
제주에게 끝났음을 고하는 의식으로
사신앞에 ㅡ이성ㅡ이라고 제주께 외친다
읍(揖)
인사하는 예. 두 손을 맞잡아 얼굴 앞으로 들어올리고 허리를 앞으로 공손히 구부렸다가 몸을 펴면서 손을 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