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 답사 - 유원. 고창고성 . 아스타나고분군 <2005. 08. 16 - 17>

유원(돈황)역에서 투루판까지 8시간 야간 열차에 오름

열차 창밖의 흑산

실크로드 특급

투루판역 도착

투루판 가이드와 상봉

식당

아침 식탁

물로 뒤덮인 사해 다음으로 낮은 땅이다. 가장 낮은 곳은 해발 -154m. 여름이면 한낮 평균 기온이 45도요, 지표 온도는 80도까지 이른다고 한다. “밀가루를 반죽해 벽에 붙이면 빵이 되고 달걀을 찬물에 집어넣으면 삶은 달걀이 된다. 화기가 불필요한 편안한 땅.” 한마디로 가마솥 같은 모양의 땅이다.

투루판은 고창고성 교하고성, 아스타나Asta-na고분 등 고대국가의 성채와 고분 등이 남아 있는 이곳은 화염산) 베제크리크 천불동 돈황 막고굴과 함께 신강-위구르 자치구의 관광 보고이다.

이곳은 또 그 옛날 수많은 우리 선조들이 활약했던 지역이기도하다. '세계의 지붕'이라 일컬어지는 파미르고원의 주인으로 중앙아시아를 동정서벌 하던 고구려 유민의 후예인 고선지 장군이 파란 많은 삶을 보낸 곳이자 구법을 위해·고국을 떠난 수많은 우리 입축승들이 지나간 곳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왕오천축국전」의 저자인 신라 승 혜초가 바닷길로 천축에 갔다가 돌아오면서 이곳을 지나갔다. 또 서기 668년 고구려가 멸망당한 후 당나라의 고구려인에 대한 추호이식 정책으로 수많은 고구려인들이 끌려와 살던 곳이기도 하다.
고창고성은 고창국이 있던 곳으로 지리적으로 천산 남로와 북로 사이, 옛 실크로드에 있어 중요한 위치에 있던 오아시스 국가였다. 498년 '국문태' 라는 한족이 세운 한나라 식민왕국으로 열렬한 불교왕국이었다.

고창성이 구축된 것은 후한(91년) 때의 일이다. 그 이전인 전한 때에는 투르판에 차사전국이란 나라가 번성하고 있었다. 이 나라는 한의 위협으로 흉노와 동맹을 맺어 휸노군이 투르판분지에 주둔하면서 한과 대적하도록 했다.

불상이 있던 자리

불화 흔적

폐허가 돼버린 고창고성에 지금까지 남아 있는 유적으로 본래 모습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것은 궁전 건물의 일부로 보이는 4층 건물이다. 또 불교사원으로 추정되는 건물의 잔해도 많이 남아있고 또 비교적 잘 보존돼 있는 편이다. 그중 궁전 가까이에 있는 거대한 절터는 아직도 옛 위용을 연상케 해준다

옛성과 복원

인도식 사찰인 이 사원엔 역시 인도식 복발탑과 방형탑, 그리고 파괴되긴 했으나 주위에 승방의 일부가 남아 있다. 현재 사원의 복발탑은 인도의 산치탑과 비슷한 모양으로 복원해 놓았고 방형탑도 일부 복원해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또 방형탑의 서면감실에는 몇 구의 부조상과 벽화 광배가 일부 남아 있다.

낙타가 뭐하는지

고창성은 흙성벽의 밑부분 두께가 12미터에 이르는 것으로 봐 처음 쌓았을 때는 상당히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 중 제일 높은 곳이 11미터인 것으로 봐도 원래 성벽의 높이가 어느 정도였을지 짐작된다.

고창고성은 너무 커서 당나귀차로 이동하며 성벽을 거름한다고 주민이 파괴해서 많이 파괴되었다.

한은 투르판을 점령한 뒤 고창에 작은 성채를 쌓고 군사 5백 명을 주둔시켰다. 이후부터 고창성은 후한 반초(32∼102)장군의 서역 통치시절까지 크게 번성했고 5호16국 시절에는 하서의 전량이 이곳에 군을 창설했다. 그후 5세기(442∼450)부터는 고창왕국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고창국은 640년경 당나라에 의해 멸망했고 14세기경엔 몽고군의 침략을 받아 완전히 폐허가 되고 말았다. 역시 황토흙으로 쌓은 성인데 성의 둘레만 해도 5.5킬로미터에 달한다. 성안에는 당시 3만 7천여 명이 살았다고 전한다. 이곳은 또 현장스님이 당태종의 불허에도 불구하고 은밀히 천축으로 갈 때 1개월간 머물며 왕의 요청으로 인왕경을 설했던 곳이기도 하다.

고창성은 그후 오랫동안 잊혀져 있다가 1916년경 영국탐험가 스타인이 고창성 부근에서 고창국 귀족들의 무덤인 아스타나 고분을 발견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위구르어로 '휴식의 장소'란 뜻을 가진 아스타나 고분에선 수많은 고창국 유물과 470구가 넘는 미이라가 발견됐는데 현재 투르판박물관에는 이곳에서 발굴한 미이라 5구와 각종 장신구 등 유물이 전시돼 있다.

위그루 전통복장의 소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