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수의 들꽃에세이③
![](https://t1.daumcdn.net/cfile/blog/1152F74D4F27D60803)
봄과 여자와 사랑의 강가에 심은 나무
버드나무(버들)
Salix koreensis Andersson
쌍떡잎식물강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의 낙엽교목
「버드나무」는 물을 좋아하는 식물로 봄이 오면 앞 다투어 강이나 호숫가에 나가 연둣빛 긴 가지를 떨며 지나는 바람마다 붙들고 춤을 춘다. 하늘하늘 날개를 단 가녀린 여인의 어깨인 듯 춤사위가 가볍다. 마치 고려수양(高麗垂楊:약명)이라 부르는 토종의 ‘능수버들’이나 중국에서 건너온 ‘수양버들’의 이미지다.
왕버들
버드나무는 봄과 여인의 그것처럼 잉태와 출산의 상징으로 오랜 사랑을 받아왔는데 “양류(楊柳:버드나무)는 옆으로 꽂든 바로 꽂든 거꾸로 꽂든 모두 산다.<본초강목>” 했을 정도이니.
버드나무는 종류도 많다. 갯버들, 냇버들, 여우버들, 고리버들, 떡버들, 왕버들, 용버들, 수양버들...
(능수)버들은 길고 부드럽게 빛나는 여인들의 머리오리를 닮아 유발(柳髮)이라 했다.(예사 수양버들과 능수버들의 구별을 어려워하는바, 수양의 어린 가지는 ‘적갈색’이고, 능수는 ‘녹황색’이다.)
미인의 눈썹은 버들잎 같아서 유미(柳眉)요, 버들의 눈을 여자의 눈에 비유하여 유안(柳眼)이었으며, 나긋나긋한 여인의 허리는 유요(柳腰)다.
기녀를 유지(柳枝), 노류장화(路柳墻花)로, 예쁜 얼굴을 유용(柳容), 아름다운 교태를 유태(柳態)라 답하며 버드나무는 참으로 많은 여인들 앞에 제 이름을 바치었다.
버드나무 류(柳)는 ‘머무르다’는 뜻의 유(留)와 동음이다. 따라서 버드나무를 꺾어서 건네는 행위는 ‘그대 떠나지 말고 머물기 바란다’의 뜻이 담겨 있다.
또 아지랑이 봄 언덕에 눈처럼 희게 흩날리는 꽃 이삭을 ‘버들강아지, 버들개지’라 하는데 ‘빼어난 감성에 뛰어난 재주를 가진 여성’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단다.
능수버들
![](https://t1.daumcdn.net/cfile/blog/120BC14F4F27D34124)
중국의 시사(詩詞)에는 ‘버들개지가 눈처럼 날리는 날에 버드나무 가지를 꺾어 이별하는 사람들’의 정경이 자주 등장한다.
버들이 강가에서 여인이라면 그 건너편에 노니는 새는 필시 사내일 터. 사랑이 있으면 이별도 있거니와 수많은 연인들이 헤어지며 꺾어 보낸 이별의 정표는 바로‘버드나무 가지’였다.
봄으로 왔다 봄으로 떠나는 것이 우리들 이승의 사랑이던가!
조선전기의 문장가 최경창을 사랑한 어린 기생 ‘홍랑’의 시는 우리 문학사에서 가장 아름다운 연시의 하나로 꼽힌다.
묏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임의 손에
자시는 창밖에 심어두고 보소서
밤비에 새잎 곧 나거든 날인가도 여기소서
더 스토리 '누군가 너를 위하여'
얼마나 사랑하였으면, 죽은 연인의 무덤가에 움막을 짓고 9년의 시묘살이를 하며, 유사 남정네들을 피해 스스로 얼굴을 자해하고, 임란 중에 그의 시문들을 안고 돌아와 마침내 경창이 죽은 무덤 아래 묻힌다 하는가!
경창이 부럽다. 이 비련의 사랑도 사랑이기에 차마 행복하고, 이 가슴 치는 그리움도 그리움이기에 차마 안타깝다. 밤새워 새싹이 돋아나도록 수줍고 뜨겁고 애타며 간절한 버드나무가지 하나 뚝 분질러 오늘 밤 기꺼이 창가에 꽂자, 연인들이여!
/ 김진수 전남들꽃연구회장 (전남타임스 기고글)
수양버들
![](https://t1.daumcdn.net/cfile/cafe/187A50364F2BA8BF1C)
첫댓글 봄이 오는 길목에 물이오르는 첫번째를 꼽으라면 .버들일겁니다.새순이 돋기전에 잔가지에 도는 푸른빛이
곧 싹을 틔우겠구나 했는데..부지깽이도 땅에 꽂으면 순을 내민다는 식목일에 꺽꽂이 단골은 버들종류였습니다.
그러고 보니 종류도 다양하네요..낭창낭창 휘어지는 부드러운 가지가 청상 여자를 표현하기에 적절한데
사방 어디를 둘러보아도 해빈하고는 하나또 닮은데가 없는데 우짜지요?..손가락.발가락도 영 안닮았어요
에라~~머리카락이나 길러볼까요?~ㅋ
다 낫고 머리 길어지면 능수버들처럼 치렁치렁 길러보세요^^ 제가 유미주의자이긴 합니다만 나긋나긋한 허리를 나꿔채는 것보다 나긋나긋한 마음씨를 휘감는 취미가 좋아서 비교적 중년을 덜 고생합니다만 소년시대엔 '긴머리 소녀'를 설렜고 '슬픈 눈동자의 소녀가 강변을 걸어가네 바람에 흩날리는 검은 머리 혼자서 걸어가네" 이런 노래를 즐겼던 편입니다. 지금은 상투처럼 대충 말아올려 커다란 핀을 꽂은 일상의 여인도 곱더군요...^^
아파트 창문에 매달아 놓을테니 눈 뜨거들랑 날인가도 여기소서ㅎㅎ 노래도 버드나무 처럼 간절한 호소력이 있어요. 누군가 널 위해 기도하네.
간절한데 만나지 못하는 애간장도 고통이 맞지요? 애고(愛苦)예요. 우리 나이에 그런 마음이 고인 호수가 있다는 것은 정말이지 타고난 행운이고 큰 복이라 해야 맞을 거예요. 열망과 애욕이 삶에 얼매나 뜨거운 불쏘시갠지 몰라요.
귤이 회수를 건너가면 탱자가 된다더니,
우리집에서는 영 생기가 없던 버드나무가 주인을 만나 낭창낭창 생기가 돕니다.
금성산 골짜기 친정집 선산 가는 계곡에 봄이면 분홍빛 버들강아지가 핍니다.
중학교 1학년때 처음 발견한 곳인데 거의 해마다 찾아가봅니다.
작년에 갔을 때는 그 아름드리 가지가 그 전 여름 폭우에 다 휩쓸리고
몇 가지만 남아있더군요. 올핸 또 어떨른지...
이제 자정이 지났으니 입춘이군요.
다들 입춘대길(立春大吉)하시압!
귤껍질을 산행에 버리면 안 되지요? 건 잘 썩지를 않기 때문이죠. 형개나 청피, 굴피 이런 약재는 오래 묵을수록 효능이 높아집니다. 화가 지망생들이 과거에 목탄으로 데생을 하였는데 이 차아코울이 저 수양이나 능수버들의 가지를 적당히 잘라 만든 숯이예요. 남녀가 수양버들 아래 서면 바람 한줌에도 가슴이 설렐거예요이? 그 연초록이 마음까지 파릇한데 그 하늘거리는 실가닥이 얼굴을 스치면 파르르 떠는 강물결 같은 닭살... 호수면 같은 소름... 윽...!
'봄으로 왔다 봄으로 떠나는 것이 우리들 이승의 사랑이던가'라 하셨습니까? 덕흥리 깊은 산속에 움막하나 짓고 살고 싶어하는 저에게 왠지 애써 외로워지고 싶어하는 사람같다 하셨습니까? 그 무엇 하나 좌우 앞뒤로 어김이 없으셨지요. 기도하는 이도 인간인지라 그래서 한 두번 실망하는 아우의 모습을 보일때도 있었지요..기도하는 이에게 처절한 아픔을 그것도 십수년동안 안겨주었던 내가 가장 가깝게 생각해왔던 나의 친형은 가족에서 별 심상치 않는 이웃쯤으로 마음정리를 한 다음에서야 가족이라는 인연의 실타레를 비켜갈 수 있게 해 주신 주님은 안일하고 나태한 저를 깨우기 위한 분이셨고 결국 누군가 너를 위하여 하는 찬송곡을..
산다는 것은 사랑한다는 말 같네. 萬藥의 약이 술 아니면 사랑이네. 취하기 쉽지만 깨어나기는 둘 다 어렵지. 깨어나기 싫어 다시 술을 마시기도 하고 살고 싶어 끝까지 사랑하지.
추운 겨울 장로님의 손길이 닿아 석유냄새로 미리 덮혀진 예배당 한 귀퉁이에서 앉아 새벽기도시간이면 들었던 찬송을 이 시간 듣고 있습니다. 기도는 마음이 착하고 여린사람이 이웃에게 말로 모두 표현하기 어려워 할 수 있는 그 무엇이 있어.. 그럴때라야 나의 음성을 들어주실 것만 같은 그분 주님께만 하는 표현법만 같은 것이라는 느낌이 있었는데.. 언제부턴가 곡차를 마시면서도 산행을 하면서도 사랑받기에 합당하다싶은 이 앞에서도 하는 속엣말이 기도가 되어있네요.ㅋ 선과 위선을 아직도 잘 모르겠어요. 마음으로는 조금 알겠는데 머리로는 말로는 많이 모르겠어요. 멍..청..한..조르바~~답..답..한..조르바~~
조르바~~ 답답해 하지 말게... 자넨 어려운 말을 잘 알고 쉬운 말을 잘 모른다는 것만 세상과 다르다네.^^ 자네가 늘 이뻐서 만나자는 건 아니니 그리 알고 곧 전화하소 한잔 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