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승문보살십주제구단결경 제7권
19. 화중생품(化衆生品)
[모든 법이 한 모양 그대로이다]
그때에 최승(最勝)보살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어떻게 보살마하살은 생사를 겪으면서 부지런히 고행하며 한 부처님의 국토로부터 다른 한 부처님의 국토에 이르는 동안 중생을 기르고 도량을 장엄하며,
비록 중생을 교화한다 하더라도 또한 교화하는 것을 보지도 않고 또한 중생도 보지 않으며,
또한 스스로 ‘나는 교화한 바가 있다’라고도 보지 않나이까?
그렇게 하는 까닭은 법성은 텅 비어 없고 고요해서 있는 바가 없다고 관하기 때문이옵니다.”
부처님께서 최승에게 말씀하셨다.
“그러하느니라, 그러하느니라. 너의 말과 같아서, 보살마하살은 크고 넓은 서원과 가장자리도 폭도 없는 뜻을 지니고서 중생을 기르고 부처님 국토를 청정하게 하며,
비록 중생을 교화한다 하더라도 역시 교화하는 것을 보지도 않고 또한 중생을 보지도 않나니,
그렇게 하는 까닭은 법성은 텅 비어 없고 고요하여 모두 있는 바가 없다고 관하기 때문이니라.
모두가 공(空)하고 모두가 고요하여 형용도 없고 모양도 없나니,
볼 수 없기 때문에 모든 법은 법 또한 스스로 공하고 중생도 중생 스스로 공하며,
국토는 국토 스스로 공하고 열반은 열반 스스로 공하며 보살은 보살 스스로 공하느니라.
그러하느니라. 최승아, 보살은 관찰하되 깊이 법요에 들어가서 모든 법이 한 모양[一相] 그대로임을 이해하여 알며,
모든 법의 온갖 지혜도 텅 비어 고요하고 함이 없고 물들거나 집착하는 바가 없나니,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아서,
뜻을 받들어 도(道)에 나아가는지라 마음은 무너뜨리기 어렵나니, 반드시 위없는 바르고 참된 도에 이르러 최정각(最正覺)을 이루느니라.
뜻은 마치 금강(金剛)과 같아서, 역시 전환(轉還)하지 않고 영락의 도수(道樹)는 무위의 법[無爲法]으로써 하며,
처음 뜻을 내어서부터 도량에 이르기까지 수왕(樹王) 아래 앉아 아직 항복받지 못한 무리를 이미 항복받고 장차 항복받으며,
그 중간에는 만(慢)의 뜻으로,
‘내가 수승하고 그는 그렇지 못하다’고 하는 만이나,
‘나는 그와 동등하다’고 하는 만이나,
‘그가 훌륭하고 나는 그보다 못하다’고 하는 만이나,
증상만(增上慢)ㆍ증중만(增中慢)ㆍ증하만(增下慢)이나,
중상만(中上慢)ㆍ중중만(中中慢)ㆍ중하만(中下慢)이나,
하상만(下上慢)ㆍ하중만(下中慢)ㆍ하하만(下下慢)을 일으키지 않느니라.
이와 같이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사유하여 이 모든 만을 제거하고 또한 질투하지 않고 높은 체하는 마음을 숨겨야 하며,
보살은 정(定)에 들어가 중생을 관찰하여 제도되지 못한 이를 제도해야 하고,
선권방편으로써 5도(道)와 8무한처(無閑處)에 들어가며,
만일 어떤 중생이 교화를 받아야 할 이면 곧 그 사람을 위하여 벗이나 아는 이가 되어 주고 혹은 부모ㆍ형제ㆍ권속이 되기도 하며,
혹은 큰 부호(富豪) 장자가 되어 앞의 중생의 모자란 바를 대어 주되 한량없는 창고에 있는 금ㆍ은의 값진 보배와 자거ㆍ마노ㆍ진주ㆍ호박과 좋은 명월주와 여의보주를 내어 주기도 하느니라.
혹은 음식ㆍ평상ㆍ침구ㆍ병을 치료하는 의약을 다 베풀어 주되 인색한 바가 없으며,
혹은 또 어떤 사람이 보살에게 와서 은근히 머리ㆍ눈ㆍ손발ㆍ나라ㆍ재물ㆍ처자와 일곱 가지 값진 기구를 요구하면 모두 보시하되 역시 보시하였다는 생각이 없나니,
이때에 보살은 곧 법계의 자재정의삼매정수에 들어가서 권방편으로써 그 중생을 위하여 허무(虛無)하다는 법을 연설하여 주느니라.
[법은 주인이 없다]
너희들은 알아야 하느니라.
법이란 함이 없고 또한 하는 바도 없으며 6정(情)을 분별하여도 전혀 주인이 없느니라.
만일 눈으로 빛깔을 볼 적에 빛깔 또한 대(對)함이 없는데도,
중생이 어리석고 미혹되어서 그 가운데서 식(識)을 일으키고 분별하며 사유하거니와,
안식에는 주인이 없느니라.
또 귀로 소리를 듣거나 코로 냄새를 맡거나 혀로 맛을 알거나 몸으로 세활(細滑)을 알거나 뜻으로 법을 분별하거나 간에 보살은 도무지 아무것도 없다고 관찰하느니라.
법이 일어나는 것은 처소를 따라 일어나고 법이 소멸하는 것도 처소에 따라 소멸하나니,
일어나도 일어나는 것을 알지 못하고,
소멸하여도 소멸하는 것을 알지 못하며,
12인연과 18본지(本持)도 역시 그와 같으니라.
[사자분신 삼매]
혹은 때로 보살은 사자분신(師子奮迅)삼매에 들어가서 다시 여러 가지 변화를 나타내 보이고 그 가운데서 청정한 음성을 연출하며,
이미 국토를 나타내되 온갖 보배로 장식하고 향기로운 꽃이 향기를 풍기면서 오색이 찬란하며 위의가 맑고 깨끗하며 뜻이 광명을 내는 것과 이전할 수 없으며,
다시 한량없는 정의 법문(定意法門)을 나타내어 여래께서 항상 즐기는 것으로 모든 법과 중생의 근본을 모두 앞에 나타나 있게 하느니라.
[한량없는 정]
이때에 보살은 다시 신족으로써 한량없는 정(定)에 들어가 스스로 나타내 보이고 한 송이 연꽃 위에 가부(跏趺)하고 앉았는데,
그 색신(色身)은 한량없는 아승기겁 동안의 모든 법의 공덕을 나타내며,
중생이 생각하고 집착하는 자취를 깨끗이 제거하여 보살로서 출요(出要)의 길로 인도하며,
일체지에 의지하여 감로의 법을 연설하고 지혜의 광명을 드날려 부처님의 지혜를 나타내 보이되 물들거나 집착하는 바가 없으며,
혹은 값진 보배로써 칠보탑(七寶塔)을 일으켜 한 천하에 가득 채우기도 하고,
혹은 두 천하에, 혹은 세 천하에, 혹은 네 천하에, 혹은 범천(梵天)까지 이르고, 혹은 일구경천(一究竟天)까지 이르게 하기도 하되,
겁(劫)을 지나도록 머물러 멸도를 취하지 않기도 하느니라.
혹은 때로 보살은 권방편으로써 무위의 고요한 정(定)에 들어가서 모든 선근을 갖추고 여래께서 갖춘 일체지를 버리지 않고 삼매의 힘으로써 중생을 가르치느니라.
혹 어떤 중생은 소리를 듣는 것으로 가르쳐 주어야 제도될 이가 있기도 하고,
혹 어떤 중생은 냄새를 맡는 것으로 가르쳐 주어야 제도될 이가 있기도 하며,
혹 어떤 중생은 그 맛의 뜻[味義]을 알려 주어야 제도될 이가 있기도 하고,
혹 어떤 중생은 몸의 부드러움을 얻게 되어야 제도될 이가 있기도 하며,
혹 어떤 중생은 법을 체달하여 뜻을 깨치게 되어야 제도될 이가 있기도 하느니라.
이때에 보살은 다시,
‘소리를 듣는 중생은 반드시 나의 청정한 뜻을 듣고 싶어하므로,
나는 이제 마땅히 여래의 8음(音)을 연설하되,
그 음성에는 여덟 구의 고의 음[苦音]과 습의 음[習音]과 진의 음[盡音]과 도의 음[道音]과 고를 보고는 고를 향하고,
습을 보고는 습을 향하며, 진을 보고는 진을 향하고, 도를 보고는 도를 향하는 음성을 연설하겠다’라고 생각하나니,
이때에 중생은 이와 같은 소리를 듣고도 뜻을 깨치지 못하고서,
광명과 그의 신체를 보고 싶어하면,
보살은 정(定)에 들어가 평등한 관[平等觀]으로써,
곧 지종(地種)의 산이나 강물ㆍ석벽(石壁)ㆍ수목(樹木)이며, 꽃과 열매를 모두 다 7보인 자거ㆍ마노ㆍ수정ㆍ유리ㆍ산호ㆍ호박 등으로 변화시켜 모두가 광명을 놓으니,
그 광명과 광명이 서로 비추어 햇빛과 달빛을 가리게 하느니라.
이때에 중생은 뜻이 깨치지 못하여, 다시 해와 달의 광명을 보고 싶어하면,
보살은 그가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을 관찰하고서,
곧 무애심념(無碍心念)삼매에 들어가서 천억의 수없는 털구멍에서 광명을 놓되,
그 낱낱의 광명에는 7보로 된 연꽃이 있고,
그 낱낱의 연꽃에는 7보로 된 대(臺)가 있으며,
그 낱낱의 대 위에는 7보로 된 일산[蓋]이 있고,
그 낱낱의 일산 아래에는 7보로 된 자리[座]가 있으며,
그 낱낱의 자리 위에는 모두 여래께서 계셔서 그 중생을 위하여 고(苦)의 근본을 말씀하시는데,
고가 생기되 고가 없으면 이것은 바로 고제(苦諦)가 없는 것이요,
습(習)이 생기되 습이 없으면 이것은 바로 습제(習諦)가 없는 것이며,
진(盡)이 생기되 진이 없으면 이것은 바로 진제가 없는 것이요,
도(道)가 생기되 도가 없으면 이것은 바로 도제가 없는 것이니라.
그 소리를 듣는 중생으로서 그 광명을 본 이가 고(苦)에 관한 음향을 듣고는,
마음에 싫증을 품어 저마다 괴롭고 공(空)하고 내가 없다[無我]는 생각과 생멸이 없다는 생각[無生滅想]을 일으켜,
곧 그 자리에서 고의 근원을 다하는 청정한 음향에 상응하게 되느니라.
이때에 그 자리에서 냄새를 맡고도 중생의 뜻이 깨치지 못하면, 다시,
‘우리들은 지극히 미묘한 향기를 향하여 나아가고 싶다.
그런데 지금 큰 성인께서는 소리에 관한 가르침을 연설하시는구나’라고 생각하느니라.
보살은 그 중생이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고,
곧 지극히 미세한 온갖 향기[極微衆香]의 정의정수삼매(定意正受三昧)에 들어가서,
곧 지종(地種)의 산이나 강물ㆍ석벽ㆍ수목이며, 꽃과 열매를 모두 다,
향기가 자욱한 우두전단(牛頭栴檀)과 계설애납(鷄舌艾納)ㆍ발향몽경(跋香夢經)ㆍ목필소합(木榓酥合)이며 분다리꽃[分陀利花]ㆍ수건제꽃[須乾提花]ㆍ만원건제꽃[滿願乾提花]과 청련(靑蓮)의 향기로운 꽃 등 이와 같은 여러 가지 꽃의 수천백 가지로 변화시켜,
사방에 두루하게 하여 향기를 맡지 않음이 없게 하느니라.
이때 중생은 비록 이런 향기를 맡고도 뜻이 깨치지 못하고,
그 향기 가운데서 도의 가르침이 나오기를 바라면,
그때에 보살은 그 중생이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고,
곧 향기 가운데서 6중(重)의 법을 연설하나니,
이때에 향기 맡는 중생은 마음이 열리고 뜻이 깨쳐,
이 세간의 과환(過患)을 다 마치고 다시 와서 나지 않으며, 괴로움의 끝[苦際]을 다하고 곧 도과를 이루느니라.
이때에 자리 위에서 맛을 탐낸 중생은 뜻이 깨치지 못하면, 곧,
‘우리의 뜻은 미묘한 맛[妙味]을 좋아하고 집착하는 데에 있다.
그런데 지금 큰 성인께서는 향기에 관한 것을 말씀하고 계시니, 실로 본심으로 탐하고 그리는 바가 아니다’라고 생각하느니라.
보살은 그 중생이 마음속으로 생각한 바를 알고는 곧 지극히 미세하고 청정한 맛[極微淨味]의 정의정수삼매에 들어가서,
곧 지종의 산이나 강물ㆍ석벽ㆍ수목이며 꽃과 열매를 모두 다 감로가 되게 하고, 저절로 된 음식으로 변화시켜 향기가 자욱하고 감미로움이 한량없게 하느니라.
그때에 중생이 비록 이런 맛을 얻었다 하더라도 뜻이 깨치지 못하여,
앞의 것을 탐내면서 저절로 보내 주어서 그 형상을 보게 되어야 나의 소원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하면,
보살은 그 중생이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고는,
곧 속질무애(速疾無碍)삼매에 들어가서,
곧 지종의 산이나 강물ㆍ석벽ㆍ수목이며, 꽃과 열매를 변화시켜 모두 다 중생들이 되게 하고,
그 하나하나의 중생들이 여러 가지 저절로 된 감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감로의 음식 가운데서,
‘단 맛(甘味)은 밖에 있는 것인데 설식(舌識)으로 맛보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법이 섞이고 만나야 비로소 진로(塵勞)를 일으키는 것이니,
우리는 이제 스스로 조절하여 만족할 줄 아는 것을 으뜸으로 삼으며,
욕심 있는 몸[支形]으로 나아가되 고통이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은 마치 수레에 기름을 쳐서 무거운 짐이 실릴 수 있게 한 것과 같나니,
상처 있는 데는 약을 얻어서 힘써 그 통증을 구제할지어다’라는 소리가 났다.
이와 같은 법의 가르침이 모두 그 맛에서 나오면, 중생은 그것을 듣고 마음이 열리고 뜻이 깨우쳐져서,
이 세간의 과환을 다 마치고 다시는 와서 나지 않으며, 괴로움의 끝을 다하여서 곧 도의 과위를 이루느니라.
이때에 자리 위 중생의 무리에서 세활(細滑)을 탐내는 이는 뜻이 깨치지 못하면서, 곧,
‘우리의 지금의 뜻은 세활을 탐착하는 데 있다.
그런데 지금 큰 성인께서는 미묘한 맛을 설명하고 계시니 실로 본심으로 탐하고 그리는 바가 아니다’라고 생각하느니라.
보살은 그 중생들이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고,
곧 지극히 미세하고 유순하려는[極欲微細柔順] 정의정수삼매에 들어가,
곧 지종의 산이나 강물ㆍ석벽ㆍ수목이며, 꽃과 열매 등을 변화시켜 모두 다 중생이 되게 하고,
하나하나의 중생들이 모두 저절로 된 겁파육의(劫波育衣)를 입고 하늘의 비단이나 하늘의 채색으로 몸을 감아 있으면,
중생들이 그것을 보고 손으로 가까이 대보면서 스스로 부드러움을 깨닫지만,
얻어 가질 수는 없으므로 뜻에 한 벌의 옷을 생각하나니,
곧 백 개로 쪼개져서 스스로 이르게 되며 중생은 마음이 깨어나게 되느니라.
그제야 자신을 몹시 책망하면서,
‘안타깝구나. 무엇 하러 이런 옷을 탐착했는가?
스스로 떨어져서 진로(塵勞)를 늘리려고 하는 것이 아닌가?
형상은 마른 뼈로 된 것을 피와 살로 휘감고 있을 뿐이다’라고 하면,
곧 공중에서 소리를 내느니라.
‘남자야, 알아야 한다. 인간의 5욕락은 진실이 아니고 있는 것도 아니다.
마음에 세활(細滑)을 집착하면 점점 서로 당기면서 관련되게 되나니, 생각에 스스로 엄히 책망하면서 이런 탐애(貪愛)를 버릴지니라.’
그때에 그 중생은 공중에서 나는 소리를 듣고서야 비로소 깨치게 되나니,
이 세간의 고통을 다 마치고 다시는 와서 나지 않고, 괴로움의 끝을 다하여 곧 도의 과위를 이루느니라.
이때에 자리 위의 중생 무리로서 법(法)을 탐한 이는 뜻이 깨치지 못하자, 곧,
‘나의 지금의 뜻은 미묘한 법에 있다.
그런데 오늘 큰 성인께서는 세활을 연설하고 계시는구나.
실로 본심으로 탐하고 그리는 바가 아니다’라고 하면,
보살은 그 중생들이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고는 곧 한량없는 법계의 정의삼매정수에 들어가,
곧 지종(地種)의 산이나 강물ㆍ석벽ㆍ수목이며, 꽃과 열매 등을 변화시켜 모두 다 중생이 되게 하고,
그 하나하나의 중생들이 모두 6도무극과 공ㆍ무상ㆍ무원과 선정ㆍ해탈과 유위ㆍ무위와 유루ㆍ무루와 생기고 소멸하고 집착하고 끊고 하는 이것은 바로 있는 바가 없다는 것을 연설하게 하느니라.
혹은 때로 보살은 중생의 마음과 뜻이 나아가는 바를 관찰하고,
곧 방편으로 계책을 쓰되 몸의 색상(色相)을 나타내어 숨거나 없어짐이 자유자재하며,
허공으로 올라가 18가지 변화를 짓고 공중에서 왔다갔다하는 것에 걸림이 없으며,
혹은 다시 국토와 성곽을 나타내 보이면서 부처님 법을 연설하여 중생들로 하여금 불가사의한 모든 부처님의 요긴한 선정[要定]을 체득하게 하기도 하느니라.
이때에 보살이 교화하고 있는 성곽(城郭)에서 인민들이 돌아다니며 제한이 없이 함께 서로 공경하고 대접하는 것이,
마치 아버지와 같이 하고 어머니와 같이 하며, 형님과 같이 하고 아우와 같이 하며, 겸손하고 낮추면서 언제나 먼저 공경하게 되느니라.
[비유할 수 없는 광명]
보살은 그때에 다시 비유할 수 없는 광명에 들어가서 모든 보살들로 하여금 이 광명으로 들어가 가부(跏趺)하고 앉아 있게 하느니라.
혹은 높은 자리에 앉아 있게 하기도 하고,
혹은 연꽃에 앉아 있게 하기도 하되 온 세계에 가득 차서 빈 자리가 없게 하며,
혹은 부처님 몸을 나타내어 보배 연꽃에 앉아 모든 부처님의 6도무극과 공ㆍ무상ㆍ무원과 선정ㆍ해탈을 연설하게 하기도 하며,
또 여래의 18불공법과 4무소외로써 중생들을 가피하여 저마다 제도될 수 있게 하느니라.
그때에 보살은 다시 신족의 힘으로써 큰 광명을 놓아 부처님 세계 억백천 나라를 나타내고 낱낱의 광명마다 각각 억백천 중생들을 이끌어 광명을 타고 여기에 와서 법을 듣고는 제도되게 하느니라.
낱낱의 모공에는 10억의 광명이 있고 낱낱의 광명에는 10억의 국토가 있으니,
때에 변화로 된 국토에는 자연히 스스로 깨닫게 하는 마니보(摩尼寶)가 있고 여러 가지 진기한 보배로써 그 사이에 섞였는데,
그 마니보는 열 길이나 떨어진 허공에 달려 있어 보주의 광명이 사무쳐 비추지 않는 데가 없느니라.
다시 기이한 마니보로써 그것을 장엄하였고,
그 낱낱의 보배 위마다 십억의 강물의 모래 수만큼 많은 모든 부처님 국토와 십억 백천의 누관(樓觀)과 대각(臺閣)이 있으며,
그 낱낱의 누관에는 십억 백천의 부처님 국토의 보배 연꽃으로 된 사자좌(師子座)가 있고,
그 낱낱의 보배 사자좌마다 십억 백천 국토의 신령한 보배 연꽃이 나 있으며,
그 낱낱의 꽃 위에는 십억 백천의 여래께서 사자좌에 앉아 계시고,
그 한 분 한 분의 여래는 큰 광명을 놓아 십억 백천의 부처님 국토를 온통 뒤덮으셨으며,
그 낱낱의 부처님 국토마다 십억 백천의 여래 사자의 두려움이 없는 덕(德)이 있고,
그 낱낱의 두려움이 없는 덕에는 십억 백천의 중생들이 사는 곳[居處]이 있으며,
그 하나하나의 중생에게는 십억 백천의 모든 부처님 국토가 나타나 있느니라.
그 낱낱 부처님 국토에는 십억 백천의 법구의 의미(義味)와 모든 부처님의 법이 있으며,
그 낱낱 법구의 의미와 법에는 십억 백천의 모든 경법(經法)이 생겨 진로(塵勞)를 활활 태우며, 더 나아가 모든 법과 정의 문[定門]도 역시 그와 같고,
낱낱의 모든 법문 가운데에서는 한량없는 온갖 지혜의 모습과 불퇴전법을 연설하되 여러 가지 지혜와 의미가 같지 않으며,
낱낱이 굴리는 법륜 가운데서는 십억 백천의 중생을 제도하여 순숙(純熟)한 행을 얻고,
그 낱낱의 중생 세계에는 다시 십억 백천의 부처님 국토가 있었으니,
저마다 자기 세계를 교화하여 좋은 곳[善處]으로 나아가게 하고 중생들로 하여금 다 함께 부처님 도[佛道]에 이르게 하느니라.
보살 대사(大士)는 이 삼매에 들어가서 스스로 한량없는 위신력의 변화를 나타내되,
삼매의 경계는 아직 일찍이 있지 못하였고 아직 일찍이 보지 못했던 것이며,
교화한 바가 기이함을 다하여 마음으로 헤아릴 바도 아니고 뜻으로 꾀할 바도 아니며,
안팎과 중간에도 도무지 처소가 없고, 또한 오는 때를 보지도 못하고 또한 가는 때도 보지 못하느니라.
그 까닭이 무엇인가?
모든 법의 체성이 자연이기 때문이며,
백 겁의 수행으로 그 때[垢]를 다하고자 하고 여래의 서원을 향하여 중생에게 가피하기 때문이니라.
다시 헤아릴 수 없고 한이 없는 수겁(數劫) 동안에 집착이 없고 머무른 것도 없고 또한 물든 바도 없으며,
또한 다시 이름을 붙일 수도 없고 그 근본을 찾아보아도 영원히 처소가 없나니,
설령 어떤 사람으로 하여금 권모술수를 써서 이 정(定)의 조화(造化)와 형상을 찾고 궁구하게 하여도 뜻이 지극하고 매우 깊어서 불가사의하느니라.
이것은 바로 모든 부처님께서 행하셔야 할 법이요, 아라한이나 벽지불로서 닦을 바가 아니니라.
최승아, 다시 이런 이치를 사유해야 하느니라.
보살은 괴로움을 마다하지 않고 8난(難)에 노닐며,
중생들의 뜻에 애욕이 있는 마음과 애욕이 없는 마음의 많이 있고 적게 있음을 관찰하여 또한 모두 다 알고,
성냄이 있는 마음과 성냄이 없는 마음의 많이 있고 적게 있음도 역시 모두 다 알며,
어리석음이 있는 마음과 어리석음이 없는 마음의 많이 있고 적게 있음도 역시 모두 다 아느니라.
만일 그 중생이 애욕의 마음이 있어 치우치게 여색에 집착하여 곱고 살지고 흰 것을 마음에 사랑하고 버리거나 여의지 못하면,
이때에 보살은 다시 임시로 꾀를 내어 널리 방편을 써서 곧 그를 위하여 오로(惡露)가 깨끗하지 못하다고 각관(覺觀)하는 생각을 나타내 보이고,
그 중생 앞에서 몸은 덧없다는 것과 4대는 흩어지고 떨어지며 딴 곳에 떨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되,
하루ㆍ이틀, 나아가 이레가 되면 형체가 띵띵 부풀어 오르고 악취가 나서 깨끗하지 못하며,
혹은 때로는 죽은 시신의 피와 살이 녹아 다하고 힘줄과 뼈만이 서로 이어진 것을 나타내기도 하며,
혹은 괴이하게 변화하여 여러 가지 형상으로 나타내기도 하고,
혹은 해골과 넓적다리의 뼈며 팔다리가 저마다 한 군데에 있되 오래되면 차츰차츰 변하여 흰 비둘기 같은 빛이 되고, 세월이 차츰 오래 지나면 썩은 흙과 같이 되는 것을 나타내기도 하느니라.
이와 같이 보살이 중생에게 보이고 나면 곧 스스로 깨우치고,
비로소 허망한 욕심은 바로 범부의 행으로 악취(惡趣)에 떨어지고 바른 도에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마음으로 스스로 옛날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을 뉘우치고 고치며,
이에 큰 성인에게 몸을 던져 범행(梵行)을 좇아 닦고 청정한 못에 들어가 음욕의 때[垢]를 씻으며,
정신을 단련하고 속박을 버리고 위없고 지극히 참된 정각(正覺)을 이루며 자기의 국토를 청정하게 하여 중생을 기르나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애욕의 마음을 관하여 곧 그를 위해 설법하여 도의 과위를 얻게 하는 것이니라.
보살은 알아야 하느니라.
혹시 어떤 중생이 애욕의 마음은 없으나 뜻이 작은데 국한하여 큰 도에 이르지 못하면,
보살은 부지런히 힘써 평등하고 바르게 깨닫는 도를 이루게 해야 하느니라.
지혜 창고[智慧藏]는 둘이 없는 법으로써 인도하고 지시하여 바른 길을 알게 하고,
대승에 안전하게 세워 소승의 도[小道]를 취하지 않으며,
수없는 겁으로부터 공을 쌓고 덕을 세우고 선(善)을 행하되 게으르지 않으며,
뜻이 헷갈리고 마음이 미혹하여 진위(眞僞)를 구별하지 못하다가 이제야 스스로 구경(究竟)에 이르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느니라.
[둘이 아닌 도]
어떤 것이 보살의 둘이 없는 도(道)라 하는가?
보살이 수행하는 둘이 아닌 도[不二道]는 보살은 언제나 청정하면서도 청정한 데에 처하지 않고 청정한 데서 놀고 즐기면서도 밖으로는 중생을 교화하나니,
이것이 바로 둘이 아닌 도요,
보살은 언제나 고요하면서도 밖으로는 어지러운 것과 같이 나타나고 고요한 데서 놀고 즐기면서도 중생을 교화하나니,
이것이 바로 둘이 아닌 도이며,
보살은 정(定)에 들어가서 처음부터 착오가 있지 않고 정의(定意)로부터 일어나 밖으로 중생을 교화하나니,
바로 이것이 둘이 아닌 도이니라.
보살은 보시하는 마음이 처음부터 뉘우침을 품지 않고 갚음에 생각이 없는 견고한 뜻을 지니며 밖으로 중생을 교화하되 세 가지 생각[想]을 제거하게 하나니,
이것이 바로 둘이 아닌 도이며,
보살은 계율이 구족하여 처음부터 이지러짐이 없고 다시 금률(禁律)로써 밖으로 중생을 교화하나니,
이것이 바로 둘이 아닌 도이며,
보살은 매우 깊은 지려(智慮)가 넓고 커 스스로 찬탄하면서,
‘이룩한 바가 있다’라고 찬탄하지 않고,
안으로는 언제나 한 마음이어서 더러움에 물든 바가 없나니,
이것이 바로 둘이 아닌 도이며,
지혜를 지니어 짓고 교화함이 실로 끝이 없으며,
그 가운데서 뜻을 다잡아 분산하지 않게 하고,
또한 이 법으로써 중생을 가르치고 교화하되, 너른 들판의 근심 없는 진펄[無憂澤]을 지나가게 하나니,
이것이 바로 둘이 아닌 도이니라.
[인정정 삼매]
보살은 인정정(忍正定)삼매를 닦아 현재의 몸으로 부지런히 애써 사람 없는 산택(山澤)에 살며,
혹은 촌락 근처에서 걸식을 하되 때로는 일 년 내지 백천 년을 지나기도 하고,
혹은 한 겁 내지 백천 겁을 지나되 그 가운데서 현재 있는 몸으로 한량없는 고통을 받느니라.
그때에 산중에는 사람인 듯 아닌 듯한 따위인 나찰귀(羅叉鬼)나 두 발ㆍ네 발ㆍ여러 발 달린 귀신이 저마다 칼이나 몽둥이를 가지고 보살에게 와서 접촉하기도 하고,
혹은 날카로운 칼로써 그의 코를 베면 코가 곧 다시 생겨나곤 하는데 마치 염부 열매와 같으니라.
최승아, 알아야 하느니라.
염부 열매는 한 개를 따면 두 개가 생기고 두 개를 따면 네 개가 생기며,
네 개를 따면 여덟 개가 생기고 여덟 개를 따면 열여섯 개가 생기며,
열여섯 개를 따면 서른두 개가 생기나니,
이와 같이 하여 차츰차츰 나무는 온통 열매로 뒤덮혀 다시는 나무의 형상도 없게 되고,
또한 가지ㆍ잎ㆍ줄기ㆍ마디조차 보이지 않게 되느니라.
보살은 정(定)에 들어가서 인(忍)을 행하는 것이 이와 같으니라.
어떤 사람이 와서 보살의 코를 벨 적에 한 번 베면 두 개가 생기고,
그 두 개를 베면 네 개가 생기며 네 개를 베면 여덟 개가 생기고,
여덟 개를 베면 열여섯 개가 생기며 열여섯 개를 베면 서른두 개가 생기나니,
이와 같이 차츰차츰 몸은 온통 코가 되어 다시는 몸의 형상도 없고 또한 손ㆍ발ㆍ머리ㆍ눈조차 보이지 않나니,
중생에게는 다만 헤아릴 수 없는 코만이 보일 뿐이므로,
곧 그때에 생각을 내어 그의 코를 벤 것을 후회하고 보살의 본래 몸을 보게 되기를 원하느니라.
이때에 보살은 삼매를 버린 뒤에 마음과 뜻이 안온하고 자상하면서 정(定)으로부터 일어나,
도로 그의 형상을 본래와 다름 없이 나타내고 점차로 몸을 움직이고 흔들며,
숨을 들이쉬고 내쉬며 차츰 다시 눈을 뜨면서 할 말이 있는 것같이 하면,
중생은 그것을 본 뒤에 모두가 온몸을 땅에다 던지고, 스스로,
‘원컨대 심부름꾼이 되어 보살의 곁에 있게 하소서’라고 하며 귀의하나니,
이때에 보살은 그 중생들이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고는 때에 따라 잘 제도하여 해탈시키느니라.
[정 삼매]
보살은 다시 정삼매(定三昧)에 들어가 안의 마음이 고요해져서 딴 생각이 없을 적에,
다시 어떤 중생들이 보살에게로 와서 모두가 함께 에워싸고는 그의 눈을 후벼 파내면,
눈이 곧 다시 생겨나되 마치 녹여 만든 유리(琉璃)를 흩은 것과 같이 되나니,
가령 어떤 사람이 녹여 만든 유리를 취하여 비라(毘羅) 열매만큼을 땅에다 뿌리면 겨자씨처럼 흩어져서 주울 수 없는 것과 같거니와,
그 광명과 광명이 서로 비추면서 저마다 정광(精光)이 있는데,
그 중생들은 다만 보살의 형체가 온통 눈이 되어 있는 것만을 볼 뿐이요, 다시는 본래의 형체나 모습은 볼 수 없으므로,
곧 그때에야 생각을 내어 본래 했던 일을 후회하고 곧 자신들을 몹시 책망하며 보살의 본래 몸을 보고 싶어하느니라.
이때에 보살은 곧 삼매를 버리고 마음과 뜻이 안온하고 자상하여 정(定)으로부터 깨어나,
도로 그의 형상을 본래와 다름 없이 나타내고 점차로 움직이고 흔들면서,
숨을 들이쉬고 내쉬며 마치 할 말이 있는 것같이 하면,
그 중생들은 그것을 본 뒤에 모두가 온몸을 땅에다 던지며, 스스로,
‘원컨대 심부름꾼이 되어 보살의 곁에 있게 하소서’라고 하며 귀의하나니,
이때에 보살은 그 중생들이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면서 때에 따라 알맞게 제도하고 해탈시키느니라.
[다시 정에 들어가다]
이때에 보살은 다시 정에 들어가 안의 마음이 고요하여 다른 생각이 없을 적에,
다시 어떤 중생들이 보살에게로 와서 손에 날카로운 칼을 가지고 그의 머리와 발을 베어버리면 머리와 발이 도로 생기는 것은 마치 구다라나무[瞿多羅樹]와 같이 되느니라.
구다라나무는 만일 어떤 사람이 와서 그 나무의 가지ㆍ잎ㆍ줄기ㆍ마디를 베어 그 뾰족한 데를 조각조각 내어서 각각 다른 곳에 있게 하면, 손가락을 튀기는 잠깐 동안에 곧 지기(地氣)로 인하여 다시 본래대로 가지ㆍ잎ㆍ줄기ㆍ마디가 생겨 각각 나무가 되느니라.
그때에 보살도 역시 그와 같아서,
형체와 팔다리가 온통 머리와 발이 되어 다시는 본래의 형상이 없나니,
중생들은 다만 보살의 형체가 모두 다 머리와 발 뿐이요, 다시는 본래 모습의 형상은 볼 수 없으므로,
곧 그때에 생각을 내어 본래 했던 일을 후회하고 곧 스스로 몹시 책망하며 보살의 본래의 몸 보기를 원하느니라.
그때에 보살은 곧 삼매를 버리고 마음과 뜻이 안온하고 자상하여 정(定)으로부터 깨어나 도로 그 형상을 본래와 같이 나타내며,
점차로 움직이고 흔들어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것을 보이고 차츰 다시 눈을 뜨면서 할 말이 있는 것같이 하면,
중생들은 그것을 본 뒤에 모두가 온몸을 땅에다 던져, 스스로,
‘원컨대 심부름꾼이 되어 보살의 곁에 있게 하소서’라고 하며 귀의하느니라.
이때에 보살은 중생들이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을 관찰하고 때에 따라 알맞게 그들을 제도하고 해탈시키느니라.
이것이 바로 보살이 애욕(愛欲)이 있는 마음과 애욕이 없는 마음이 많이 있고 적게 있는 것을 모두 다 안다고 하는 것이니라.
또한 스스로,
‘나는 진로(塵勞)에 있으면서 그 공(功)을 헛되이 버린다’라고 생각하지 않고,
또한 다시,
‘이 중생들을 쉬이 권유하여 나아가게 하였다’라고도 생각하지 않으며,
보살의 행하는 것은 행하되 행함을 보지 않고,
또한 다시 교화를 받는 이가 있다고도 보지 않나니,
행(行)과 교(敎)의 두 가지 일은 스스로 텅 비어 고요하며,
또한 하나[一]라고 보지도 않고 또한 하나가 없다고도 보지 않느니라.
하나에도 스스로 하나가 없거든 하물며 하나가 있다고 말하겠느냐?
하나의 법이라고 말하는 것은 또한 스스로 붙인 이름[假號]이니라.
눈이라고 말하는 것도 스스로 붙인 이름이요,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법과, 빛깔ㆍ소리ㆍ냄새ㆍ맛ㆍ닿임[細滑]ㆍ법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보살이 하나의 법이라고 말하는 까닭은 법문(法門)을 열고 한량없는 문[無量門]을 나타내어 이끌어서 무법(無法)에 이르러 중생을 가르치려 함에서이니라.”
[성냄이 있는 마음과 성냄이 없는 마음]
이때에 최승이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어떻게 중생의 성냄이 있는 마음과 성냄이 없는 마음이 많이 있고 적게 있는 것을 모두 다 알게 되나이까?”
부처님께서 최승에게 말씀하셨다.
“보살 대사가 세계의 한량없는 부처님 국토에 들어가 노닐 적에,
그 낱낱의 형상이 있는 종류로써, 기고 날고 꿈틀거리고 기어 다니면서 숨을 헐떡거리고 맨 아래의 개미 새끼에 이르기까지,
성냄이 있는 마음과 성냄이 없는 마음이 많이 있고 적게 있는 것을 관찰하여 모두 다 분별하며 그 낱낱을 요량하고 간택하여 약을 주느니라.
[성냄이 많은 이가 있으면]
가령 어떤 중생이 성냄이 많은 이가 있으면, 곧 고(苦)ㆍ공(空)ㆍ비상(非常)의 변(變)을 당하게 되나니,
혹은 어떤 이는 벌레나 짐승에게 잡아먹히기도 하고,
혹은 어떤 이는 도적이나 병사의 칼날에 해를 당하기도 하며,
혹은 물이나 불에 뜻밖에 타고 삶겨지기도 하나니,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재변은 헤아릴 수 없느니라.
가령 그 중생이 마음에 깨우침을 얻으면 그의 가르침과 경계[敎誡]를 따라 그 교화를 받나니, 곧 그곳에서 제도하고 해탈하게 할 수 있느니라.
만일 어떤 중생이 덧없는 변화를 보고도 마음으로 깨닫지 못하면,
보살은 그때에 다시 권혜(權慧)로써 인(忍)의 삼매에 드나니,
그 삼매의 이름은 무상관(無常觀)이며 다시 삼매가 있나니, 이름은 자항복거에(慈降伏去恚)삼매이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이 삼매정수에 들면 곧 성내는 마음을 항복받아 제거할 수 있느니라.
설령 지극히 악한 나찰 귀신이나 범ㆍ이리나 도적 등 폐악한 부류가 보살에게로 와서 상해하려 하지만 아직 이르기도 전에 중도에서 혹 되돌아가느니라.
그렇게 되는 까닭은 자정(慈定)의 힘이 사방 여러 세계를 덮고 수호하는지라 억(億)ㆍ해(姟)의 세계 국토가 구제받지 않음이 없기 때문이니라.
[자 삼매의 열 가지 일]
자삼매(慈三昧)에 들 수 있는 이에게는 법도(法度)에 열 가지 일[事]이 있느니라.
어떤 것이 열 가지인가?
이른바 매우 깊은 지혜를 닦고 한량없는 업(業)을 행하며,
총지로 오래도록 잘 기억하고 뜻을 무너뜨리기 어렵고,
스스로 한량없으되 법계로써 양을 삼아 한량없음에 들어가며,
모든 부처님께서 닦아 익힌 위없는 법인(法印)으로써 그를 봉인(封印)하고,
[當來過去現在諸佛之所修習, 無上法印而封印之]
여래의 힘에 의지하여 부처님 국토를 더욱 늘리며,
항상 스스로 뜻을 세우고 도량을 청정하게 닦아 보살의 업을 세우는 것이니라.
이와 같이 행하는 이는 법과 율에 상응하게 되고, 나는 곳이 없는[無所生] 데도 상응하며,
안목이 열리게 되어 환히 크게 깨쳐 혜안(慧眼)이 청정해지고 영원히 티끌의 가림[塵曀]이 없으며, 종성(種姓)의 눈을 얻고 부처님의 청정한 눈을 얻느니라.
혜안은 바깥이 없고 의안(議眼)은 깊고 멀며,
법안(法眼)은 언제나 안정되고 선지식의 눈은 영호(營護)가 되고,
도안(道眼)은 매우 깊어 변재의 눈[辯才眼]을 얻고,
말은 막힘이 없으며 의심이 없는 눈[無疑眼]에 이르고,
마음은 피차(彼此)가 없어 또한 망설임이 없으며,
법문의 눈[法門眼]에 들어가서 소경의 무리를 인도하여 보이고,
의미(義味)를 분별하여 법문을 드러내며,
진실로 아는 이[眞知識]를 친근하여 도의 마음[道心]을 성취하고,
세운 바 경계는 막을 수 있는 이가 없으며,
또한 어떤 이도 헐뜯을 수 있는 이가 없나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모든 눈을 분별하여 도업(道業)을 이루어 마치는 것이니라.
모든 세간을 위하여 어질게 돕는 착한 벗이 되고,
미리 아직 생기지 않은 것을 분명히 알아 위엄 있는 모양을 드러내 보이며,
선근을 세워 교화하는 바가 막힘이 없고,
공덕이 청정하여 원하는 바가 반드시 이루어지며,
포태(胞胎)가 진실하고 바르며 모든 해탈을 만나 의심 그물을 끊고,
지혜의 겹친 구름이 퍼져서 허공의 세계에 두루 차며,
현성의 법으로써 마음의 때[心垢]를 통하여 알고,
세운 바 뜻하는 원[志願]이 항시 앞에 나타나 있으며,
마음으로 한 일에는 끝내 의심이나 어려움이 없고,
신근이 견고하여 공업(功業)이 다함 없으며,
모든 부처님을 친근히 받들어 근심이나 즐겁다는 생각을 없애고,
도의 마음이 한층 더 깊어 지혜의 값진 보배를 채취하며,
지혜로운 선비[智士]를 공양하고 받듦이 마치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이 바람에 불려서 맡지 않는 이가 없는 것과 같나니,
그 어떤 더럽고 악한 것도 모두 다 청정하게 되느니라.
최승아, 알아야 하느니라.
나는 지금 이 염부리(閻浮利) 안에 사는데 살고 있는 나라는 비사리(毘舍離)이니,
육안(肉眼)으로 모든 방향의 국토를 살펴보아도 온갖 고통과 근심과 번거로움은 이곳보다 더하지 않느니라.
그리고 여래의 종성(種姓)을 내었으나 지금 이 중생들의 향기롭지 못한 악취는 위 허공의 십천 유순[由延]까지 뻗치며,
그리고 하늘은 인간을 기대고 인간은 천종(天種)을 돕는데, 하늘은 또한 스스로 알아서 전생 일[宿命]을 보거니와,
내가 쌓은 덕은 모두가 사람의 몸[人身]을 말미암은 것이니,
가령 인간에서 온갖 덕의 근본을 심지 않으면 복과 경사[福慶]를 받지 못하느니라.
최승아, 알아야 하느니라.
그때에 모든 하늘들은 저마다 종자[從]들을 거느리고 세간으로 함께 와서 공중에 도달하려 하다가,
인간 세상의 고약한 냄새가 겹친 구름 끝에 배인 인간의 비린내와 부정(不淨)한 것을 맡고는,
곧 그들이 있는 데로 되돌아가 인간에 이르지 않느니라.
그렇게 한 까닭은 그들의 향기롭고 청결한 몸으로써는 머무를 수 없었기 때문이니라.
보살 대사는 큰 자비를 행하는지라 교화할 국토에 대하여,
이것은 곱다, 이것은 누추하다, 이것은 깨끗하다, 이것은 깨끗하지 않다는 것으로 선택하지 않으며,
또한 마음으로,
‘나는 지금 바라고 좋아하니 여기는 교화할 만하거니와, 저 곳은 할 만하지 못하다’라고 생각하지 않느니라.
마치 내가 오늘 이 인계(忍界)에 있으면서 중생을 교화하여 연(緣)을 다 끝내고 남음이 없음을,
시방의 모든 여래ㆍ등정각께서는 각기 당신이 계신 그 세계의 4부 대중에게 모두 알려서,
‘아무 지방에 아무 부처님의 성씨와 명호는 능인(能仁) 여래이신데,
거기의 인계(忍界)는 다섯 가지 펄펄 끓는 솥[鼎沸] 안이요,
다섯 가지 찌르는 쇠꼬챙이[剌鐵] 안이며,
다섯 가지 칼과 검[刀劒] 안이요,
다섯 가지 훨훨 타는 불길[盛焰] 안이며,
다섯 가지 거칠고 어지러운[荒亂] 안이요,
다섯 가지 구제가 없는[無救] 안이며,
다섯 가지 꾸어 쓰기 어려운[難債] 안인데도 그 가운데 능히 계시면서 중생을 가르쳐 교화하시니,
매우 기이하고 특별하게 성현의 모든 도무극을 분별하시느니라’라고 찬탄하셨느니라.
모든 하늘은 청정하여 몸에 때[垢]나 더러움이 없는지라, 악취가 난 구름 끝에 이르렀다가 곧 천상으로 되돌아가서는 궁중에 이르러 후원(後園)으로 나아가,
무우지(無憂池)에 들어가서 7일 밤낮 동안을 스스로 몸을 씻고도, 오히려 인간의 더러운 냄새가 몸에 붙어 있을까 두려워하나니, 마음으로 인간에 돌아다니기를 좋아하지 않느니라.
이때에 모든 하늘에는 향기로운 바람이 멀리 퍼지고, 아래로 허공계의 1만 8천 유순까지 이르렀으며,
다시 이 수효보다 더한 수람풍(隨嵐風)이 있어 향기가 아래로 지나가 허공의 풍향계(風香界)의 2천 유순까지 이르렀으니,
모든 하늘에는 비록 온갖 덕의 향기가 있어도 오히려 이와 같은 욕심 없는 사람이 지닌 계향(戒香)보다는 못하느니라.
보살은 마땅히 관해야 하나니,
모든 하늘의 식복(食福)이 길고 오랜 것으로 여기지마는,
천사(天使)가 앞에 와 있으면 그제야 후회하여도 어찌할 수 없자,
인간 안에서 공(功)과 복된 업을 일으키기를 원하고 탐하는 것이니,
이때에 뜻이 어찌 향기나 악취 사이에 있겠느냐?
보살 대사도 역시 그와 같아서,
비록 고뇌의 다섯 가지 훨훨 타는 불길 가운데 있다 하더라도 마음에 고달파하거나 싫어하지 않고 또한 뉘우치거나 물러나지 않으며,
뜻은 언제나 중생을 제도하고 해탈시키는 데에 있느니라.
만일 어떤 현성인 신통 지닌 사람이 그의 신통력으로써 한 범부를 붙잡고 위의 허공의 향훈 지경[香熏界]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와 이 인간 세계에 있으면,
몸에서 향기가 풍기는 것이 삼칠(三七) 일의 때를 경과하고서야 향기가 비로소 없어지거니와,
욕심 없는 사람으로서 계율을 완전히 갖춘 이는 겁(劫)을 지나고 겁이 가도록 계덕(戒德)의 향기는 마침내 끊어지지 않느니라.
그리고 보살 대사가 같이 세간에 처하면, 세간의 어른이며 다시 세간에서의 큰 횃불의 광명이 되나니,
비록 애쓰는 수고가 있다 하더라도 괴롭다고 여기지도 않고, 도의 뜻이 왕성하여 마음에 이지러짐이 없느니라.
이것이 바로 보살이 중생의 성냄이 있는 마음과 성냄이 없는 마음이 많이 있고 적게 있는 것을 관찰하여 모두 다 안다고 하는 것이니라.”
[어리석음이 있는 마음과 어리석음이 없는 마음]
그때에 최승이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어떻게 보살은 한 마음으로 사유하되, 중생의 어리석음[愚癡]이 있는 마음과 어리석음이 없는 마음이 많이 있고 적게 있는 것을 관찰하여 모두 다 아는 것이옵니까?”
“이에 보살은 곧 명혜(明慧)의 정수삼매에 들어가서 널리 세계를 관하되 허공의 끝[虛空際]에 이르기까지, 그 안에 있는 모든 중생으로서 한 발, 두 발, 나아가 여러 발의 천ㆍ용ㆍ귀신ㆍ아수라ㆍ가루라ㆍ긴나라ㆍ마후라가ㆍ인비인 등의 근원을 알고 낱낱이 분별하여 그 진실을 찾고 궁구하느니라.
[어리석음이 많으면]
만일 어떤 중생이 어리석음이 많으면, 곧 그를 위하여 견주고 헤아려 12인연(因緣)의 근본을 연설하느니라.
무명(無明)은 행(行)의 연(緣)이 되고,
행은 식(識)의 연이 되며,
식은 명색(名色)의 연이 되고,
명색은 6입(入)의 연이 되며,
6입은 갱락(更樂)의 연이 되고,
갱락은 통(痛)의 연이 되며,
통은 애(愛)의 연이 되고,
애는 수(受)의 연이 되며,
수는 유(有)의 연이 되고,
유는 생(生)의 연이 되며,
생은 사(死)와 근심ㆍ걱정ㆍ고뇌 등의 연이 되느니라.
모든 청정하지 못하고 산란한 생각의 마음이 있는 이면 역순(逆順)으로 다함 없는 지혜를 널리 연설하느니라.
무명이 멸하면 행이 멸하고,
행이 멸하면 식이 멸하며,
식이 멸하면 명색이 멸하고,
명색이 멸하면 6입이 멸하며,
6입이 멸하면 갱락이 멸하고,
갱락이 멸하면 통이 멸하며,
통이 멸하면 애가 멸하고,
애가 멸하면 수가 멸하며,
수가 멸하면 유가 멸하고,
유가 멸하면 생이 멸하고,
생이 멸하면 사가 멸하고,
사가 멸하면 다시는 걱정ㆍ근심ㆍ고뇌와 모든 청정하지 않는 행[不淨行]이 없나니,
번뇌[漏]는 큰 근심거리가 되고 열반[泥洹]은 미묘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보살은 모든 모양을 관하면서 그를 위하여 연설하되 근원을 궁구하여 다하느니라.
만일 어떤 중생이 어리석은 마음이 견고하여 식(識)이 환히 밝지 못하면,
점차로 나아가 인도하되 고요한 곳으로 데리고 가서 다시 그를 위하여,
본래 없는 법이라 생기거나 소멸하는 법이 없고 집착이나 끊는 법이 없음을 널리 알리며,
삼세 흥쇠의 모양과 어리석은 행이 지나가 버려도 식(識)은 소멸할 수 없다는 것을 분별하나니,
널리 빛나는 법문으로 미묘한 지혜를 나타내어 부처님 도를 일으키되 온갖 덕을 완전히 갖추고 보살로서 선지식의 행을 버리지 않으며,
언제나 보살의 한가하고 고요한 집에 노닐면서 모든 여래의 깊고 요긴한 관(觀)에 들어가느니라.
[열 가지 견고하고 요긴한 법]
또 열 가지 견고하고 요긴한 법을 사유해야 하느니라.
어떻게 열 가지 견고하고 요긴한 법을 사유하는가?
부처님의 창고[佛藏]와 법신(法身)의 모양을 친근히 하며 부사의를 생각하되 도리어 하나[一]로 포섭하며,
공(空)임을 알고 생각이 없되 또한 약간의 것도 없고 스스로 일어나 스스로 소멸하여 역시 주된 바탕[主質]이 없으며,
지나간 행(行)은 실마리도 없고 수호하여 지닐 수도 없으며,
모든 도(道)를 출생하고 법계와 허공의 경계도 또한 끝나거나 다함이 없으며,
속박과 해탈을 스스로 알되 중생의 집착을 버리고 선근에 의지하여 일체지를 이루며,
한량없는 지혜의 경계를 초월하여 민첩하고 빠른 지혜로 모두 다 성취하며,
보살로서의 희망하는 마음을 충족시키고 모든 보살의 말과 행의 자취를 청정하게 하며,
여래의 도의 뜻이 일찍이 새어 없어지는 일이 없고,
온갖 법성의 모양을 버리며 들어갈 바의 지극하고 미묘한 데에 뜻이 잘못되지 않고,
마음은 금강과 같고 힘은 무너뜨릴 수 없으며,
모든 부처님에게 그의 명호와 수기를 받으며,
모두 다 제도해야 할 중생도 없고 말한 바는 둘이 없되 전환(轉還)할 수 없는 것이니라.
이것이 바로 보살의 열 가지 견고하고 요긴한 법이며, 나아가 도과를 이루고 도(道)를 취하되 어렵지 않는 것이니라.
이것이 바로 최승아, 보살에게 으뜸가고 다함 없는 법이니 마땅히 생각하여 수행해야 하느니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