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화기의 역사
소화기의 역사에 대하여 자세하게 기술되어진 자료는 없으나, 1872년 4월 26일 발명가인 Thomas J. Martin에 의하여 만들어진 물소화기를 시초로 보고 있다.
하지만 물에 대한 저장용량과 화공약품에 대한 소화 적응성에 대한 한계 때문에 산 . 알카리소화약제, 포말소화약제, 가스계 소화약제로의 발전이 지속되었다.
그리고 수동식 소화기구에서 폭약과 도화선이 장치된 가죽 물탱크식 스프링클러로 발전되어 자동식 소화시스템이 되었다는 것이 일부 문헌상에 기록되어 있다.
소화기의 원리
아무튼 어떠한 역사와 배경이 되었든지 아직까지는 연소의 기본조건에 대한 소화방법은
1872년 4월 26일 발명가인 Thomas J. Martin에 의하여 만들어진 물 소화기를 시초로 법은 보고 있다.
먼저 연소의 형태를 보면 2가지로 대별될 수 있는데, 분해가스의 지속적인 연소반응을
나타내는 불꽃연소와 순수 탄화물 형태의 표면에서 나타나는 표면연소가 있다.
소화기의 역할은 다양한 연소의 반응공학적 메커니즘이 지속될 수 없도록 가연물의
생성을 억제하고, 연소점 이하로 온도를 냉각시키거나, 연소반응에 필요한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 주변에서 흔히 사용되어지는 소화기는 분말 이산화탄소(CO2), 할로겐
화합물,소화약제를 이용한 것이 대부분인데 이중에서 분말소화기를 중심으로
설명해 보겠다.
분말소화기
분말소화기는 국내에서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질식 소화작용을 원리로 한 소화기로,
불꽃연소 및 심부화재(일반,유류,전기)에 대하여 침투력과 전착성이 뛰어난 ABC급(약제, NH4H2PO4) 소화약제와 표면화재(주로 유류화재)에 적응력이 뛰어난 BC급(약제, NaHCO3 ) 소화약제가 있다.
소화약제는 각각의 화재적응성에 따라 분류가 용이하도록 착색을 하고
실리콘 코팅에 의해 방습 처리,미세한 분말 형태로 만들어져 외부환경에 의한 변질
방지와 장기보존이 가능토록 제조되었다.
방출형태에 따라 소화기의 외부형태를 보면 상부가 개폐가 가능한 캡으로 되어 있고,
비 압력용기의 형태로 방출압력원인 기동가스(소형CO2, 대형N2) 봄베가 용기 내부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장착되어 분말을 가압 방출하는 방식의 가압식 소화기와 상부가
밀폐형으로 압력게이지가 부착되고, 용기자체에 기동용 가스(N2)를 압력하여 소화기 자체가 압력용기의 형태로 되어있는 축압식 소화기로 구분할 수 있다.
분말 소화기의 종류
방사방식을 기준으로 종류를 구분하였다.
1) 축압식 소화기
2) 가압식 소화기
3) 자동확산 소화용구
-장,단점 비교
장점 : 소화능력이 가장 양호하다.
가격이 저렴하다.
단점 : 소화 후 분말 소화약제로 인해 2차 손실이 있다.(잔재물)
-판매 유형
가정, 산업, 건물, 기타 등등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며 압력게이지 부착이 되지 않은 가압식보다 압력게이지가 부착되어 관리하기가 용이한 축압식 분말 소화기가 주로 시판되고 있다.
-사용시 주의사항
1) 분말소화약제는 인체에 큰 피해가 없으나 사람에게는 정면으로 방사하지 말아야 한다.
(특히 눈 주위 부분)
2) 기계, 전자제품, 컴퓨터류, 자동제어 및 통신기기류의 첨단설비에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하론 소화기 권장)
3) 주변 온도가 섭씨 40도 이상되는 장소에 장시간 보관하면 축압가스의 기밀유지가 안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장소는 되도록 피해서 설치 보관하여야 한다.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종류
이산화탄소는 고압으로 압축되어 액상으로 용기에 충전되어 있으며, 고압가스 용기를 사용하고, 소화약제에 의한 오손이 적다.
용기 재질 기준으로 종류를 구분하였다.
1) 이산화 탄소 소화기(철제)
2) 이산화 탄소 소화기(알루미늄제)
-장,단점 비교
1) 장점 :
a)소화후 약제 잔재물이 자연 기화하므로 깨끗이 사용할 수 있다.
b)고압용기를 사용하므로 견고하다.
2) 단점 :
a)분말, 하론소화기 보다 용량에 비해 소화능력이 약간 떨어진다.
b)고압용기를 사용하므로 제품이 무겁다.
c)가격이 비싸다.
-판매 유형
주로 산업설비, 선박, 군수용으로 사용하고 5, 10, 15, 50 파운드가 주로 판매 되고 있다.
-사용시 주의사항
1) 인체에 직접 방사하였을 경우 동상피해를 줄수 있으며 밀폐된 곳에서 장시간 사용하는
것은 위험 하다.
2) 주변온도가 섭씨 40도 이상되는 장소에 장시간 보관하면 축압가스 및 소화약제의
기밀 유지가 안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장소는 되도록 피해서 설치 보관 하여야 한다.
하론 소화기의 종류
하론가스(1211,1301,2402)를 채워 사용하며, 무색 투명한 방사성이 있는 증발성 액체로 방사된 약제는 기화하여 화원의 질식 및 억제작용에 의하여 소화한다.
방사방식 + 용기재질 + 소화약제를 기준으로 종류를 구분하였다.
1) 에어졸식 하론1211 간이소화용구
2) 축압식 하론1211 소화기(알루미늄제)
3) 축압식 하론1211 소화기(스텐레스제)
-장,단점 비교
1) 장점 : 소화후 약제 잔재물이 자연 기화하므로 깨끗이 사용할 수 있다.
2) 단점 :
a)일반화재급 화재에서 용량에 비해 소화능력이 약간 떨어진다.
b)가격이 분말소화기 보다 비싸다.
-판매 유형
가정,산업,판촉물,자동차,특히 컴퓨터 관계 및 자동제어 분야,통신설비,선박등 전반적으로 사용하고 하론1211 소화기가 주종이며 소형 에어졸식(400g단구,쌍구)과 알루미늄제(1.3kg) 스텐레스제(3kg)가 주로 시판되고 있다.
-사용시 주의사항
1) 인체에는 큰 피해를 주지 않으나 다만 밀폐된 곳에서 장시간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다.
2) 주변온도가 섭씨 40도 이상되는 장소에 장시간 보관하면 축압가스 및 소화약제의
기밀 유지가 안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장소는 되도록 피해서 설치 보관 하여야 한다.
소화기의 유지관리
-소화기의 설치
소화기는 각 대상물별 용도와 바닥면적을 고려하여 산출한 소화기의 개수를 설치하되,
항상 쉽게 눈에 뛰는 장소에 비치, 유사시에 쉽게 사용이가능 하도록 바닥으로부터 1.5m 이내의 낮은 곳에 설치한다.
또한 소형 소화기의 경우에는 보행거리 20m 이내(대형 30m)에서 사용이 가능하여야 하며, 약제가 동결되거나 변질 또는 분출의 우려가 적은 곳에 설치한다
-소화기의 사용(PASS 방식- Pull, Aim, Squeeze & Sweep) 요령
I . Pull the pin : 안전핀을 뽑는다
II. Aim the nozzle toward the fire : 호스노즐을 화점을 향하여 겨눈다.
III. Squeeze the handle : 손잡이를 꽉 움켜쥔다.
IIII. Sweep the nozzle back and forth : 화점의 전후를 호스노즐로 소진시킨다.
-소화기의 점검 및 정비
먼저, 분말소화기 중 가스가압식 소화기의 경우에는 소화기를 상하 또는 수평으로
기울여 분말약제의 유동상태를 확인하고 약제의 변질여부를 확인한다.
기동가스 용기의 적정성 여부는 손잡이 뭉치의 캡을 개방하고 내장되어 있는
가스봄베를 분리하여 봉판의 파쇄 및 가스의 중량을 계량하여 적정여부를 판단하며,
축압식의 경우는 가스가압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화약제의 변질여부를 확인하고,
외장된 압력게이지의 일정압력 변동을 확인하여 점검한다.
또한, 가스계통인 이산화탄소 및 할론 화합물 소화기는 전체 중량을 계량하여 변동이 있을 경우 온도가 높은 수조(60 C정도) 에 담가두고 기포의 발생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검량이 끝나면 반드시 물기를 제거해 주어야 하며,
이상이 있을 경우 소방시설 공사업체 등에 의뢰하여 재충약 하여야한다.
소화기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우리 주변에서 가장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구중의 하나로서 초기화재를 진압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항상 관심을 가지고 언제, 어떻게 쓰일지 모르는 소화기를 양호하게
관리하여 비상시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할것이다.
-소화기 이상유무 확인방법
<가입식 소화기>
- 소화기를 분해해 가압가스 용기의 외부에 표시돼 있는 무게에 미달할 경우 가압가스용기의 재충전이 필요하다.
- 분말 소화약제가 덩어리로 응고돼 있는 경우 약제불량으로 약제교환이 필요하다.
<축압식 소화기>
- 압력 게이지의 바늘이 정해진 위치 녹색부분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재충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