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몽고의 침입과 장성의 대몽항쟁
북아시아 초원지대의 유목민족으로서 성장한 몽고의 가장 중요한 정복 대상은 남쪽 농경민족이었다. 그것은 농경민족들이 지니는 풍부한 생산품이 그 구미를 돋구어 주었기 때문이다. 이리하여 금․송과 함께 고려도 몽고의 침략 대상의 하나가 되었던 것이다. 게다가 금나라를 치고 남송과 일본을 정복하기 위한 기지를 구하려는 목적도 몽고가 고려에 침략의 손을 뻗친 하나의 이유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가 몽고와 최초의 접촉을 가지게 된 것은 몽고에게 쫓겨 오는 거란인을 협공하더 때부터였다. 거란인은 금이 망할 무렵 독립하였다가 다시 몽고에게 쫓기어 고려의 국경 안으로 들어 왔던 것이다. 이들은 강동성(江東城)에 의거하였으나 고려는 몽고와 함께 이를 함락하여 버렸다(고종 6년, 1219). 이러한 일이 있은 이후 몽고는 고려의 은인을 자처하며 매년 고려로부터 공물을 취하여 갔다. 그 요구가 지나치게 무거운 것이었기 때문에 고려는 이에 불응하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사실을 계기로 고려와 몽고와의 사이는 벌어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몽고의 사신 저고여(著古與)가 고려로부터 귀국 도중 살해된 사건을 구실로 드디어 고종 18년(1231)에 제1차 침입을 하여 오게 되었다.
살례탑(撒禮塔)이 거느린 몽고군은 귀주(龜州)에서 박서(朴犀)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쳤으나 이를 버려 둔 채 수도 개경을 압박해 들어 왔다. 이에 고려가 강화를 청하자 몽고는 다루가치를 서북면에 두고 군사를 철퇴시켰다. 그러나 최이는 몽고와의 항쟁을 결의하고 서울을 강화로 옮기었다(고종 19년, 1232). 이것은 바다를 두려워하는 몽고의 약점을 찌른 것이었다. 귀족들이 강화로 들어감과 동시에 일반 백성들에게도 산성(山城)이나 해도(海島)로 피난케 하였다. 이러한 고려의 항몽정책은 몽고를 자극하여 재차의 침입을 보게 되었다. 비록 몽고의 장군 살례탑이 처인성(處仁城. 龍仁)에서 김윤후(金允侯)가 거느린 처인부곡민(處仁部曲民)에게 살해된 후 곧 물러갔으나 뒤에도 몽고의 침략은 계속되었다. 이리하여 몽고는 전후 30년 간에 6차례의 침입을 해오기에 이르렀다.
몽고군 침략의 말발굽이 장성지역에까지 이른 것은 제6차 침입 때의 일이었다. 앞서 제3차 침입(고종 22년, 1235~고종 26년, 1239) 중의 고종 23년과 제5차 침입(고종 40년, 1253) 때에 몽고군 병력의 일부가 현재의 전북지역에까지 쳐들어 왔었으나 노령산맥을 넘지는 못하였다. 그랬다가 제6차 침입(고종 41년, 1254~고종 46년, 1259) 중의 두 번째 침입 때에 마침내 갈재(蘆嶺) 너머에까지 그 발길이 미침으로써 전라도 전역이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되었다. 그리고 이때 장성지역도 몽고군의 말발굽에 유린을 당하게 되었던 것이다.
당시 장성지역의 주민들은 입암산성(笠巖山城)에 들어가 몽고군의 침입에 대항하여 싸웠다. 처음 조정에서는 장군 이광(李廣)과 송군비(宋君斐)로 하여금 연해안지역의 섬을 방비하도록 명령하였다. 그리하여 선박에 군사 300명을 태우고 영광군을 향하여 내려가던 그들은, 서로 길을 나누어 몽고군을 양측에서 협격하기로 약속하였다. 그러나 몽고군이 미리 그것을 알아채고 대비하자 하는 수 없이 이광은 섬으로 돌아가고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송군비만 입암산성으로 들어가 몽고군과 대치하였다. 그러던 어느날 송군비는 짐짓 성안의 식량이 다 떨어진 것처럼 꾸며서 노약자 여러 명을 성 밖으로 내보냈다. 그러자 이에 속아 넘어간 몽고군이 방심한 채 입암산성 아래에 밀어닥쳤고 그것을 노리고 있던 송군비가 정예병을 거느리고 성문을 나서 기습적인 공격을 감행하였다. 그리하여 다수의 적군을 살상한 끝에 몽고군을 격퇴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송군비의 입암산성 승리는 그의 뛰어난 계략과 지휘의 덕분이었던 것으로 기록에 전한다. 그러나 당시 여러 차례 몽고군에게 시달렸던 다른 지역의 경우 주민들이 자진하여 몽고군에게 항복하는 것이 그리 드물지 않은 실정이었음을 떠올리면 반드시 그렇게 생각할 일만은 아닌 듯싶다. 전통시기의 기록이 으레 그러하듯이 모든 것이 전투를 지휘한 송군비 위주로만 남아 있는 한계를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그들 지휘부를 도와 함께 싸워 외적을 물리치는 데 온 몸을 다 바쳤고 또 그러다가 이름없이 스러져 갔을 수많은 장성지역 주민들의 존재를 결코 잊을 수가 없다. 그들의 분투가 없었던들 그처럼 놀라운 승리를 쟁취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리라는 것은 두 말할 나위가 없지 않을까 여겨지는 것이다.
(장성군청 홈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