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 1. 종교적 의미, 불교에서 유래
2. 고구려(7세기초)때 하늘의 지도인 "천문도"가 만들어짐-->조선초 태조 이성계4년에 천문도를 바탕으로 조선시대에
밎는 "천문도"를 만듬(일명"천상열차분야지도"- 고궁박물관 보존)
3. 별자리- 28계 하늘- 33계 로 나눔
보신각 : 고종이전까지 "종루"라 불리워짐-->고종때 "보신각"으로 바꿈
태조 이성계의 비인 "신덕왕후"의 능에 있던 종(정능)-->원각사에 옮김-->지금 이 자리-->훼손-->다시 조성
조선시대 시계가 없던 시절- 통행금지시간(이경-밤10시경)-->28번(=인정)
통행금지가 끝나는 시간(오경-새벽4시)-->33번 (= 파루)
즉, 4대문(흥인지문,숭례문,돈의문,숙정문)이 열리고 닫힐때 종을 쳤슴
의미 : 모든 백성의 건강과 무병장수를 기원,홍익인간, 유교의 도리(인,의,예,지,신)로 백성을 다스리는 기도를 우주 전체에
맹세한다는 의미..
해방후인 1946년부터 시작..
** 한번씩 칠때마다 그 기를 받으세용**
첫댓글 감사합니다.
지금도 아름다우시지만 새해에는 더욱 예뻐지시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