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을 빨리 보내는 아쉬움, 이 해도 얼마 남지 않았다는 생각 등이 칠순을 넘긴 후손에게 복잡한 감정으로 스며든다. 얼마 전에 병사공종중 큰 행사 중의 하나인 모송재시제를 끝내므로서 갑진년 종사는 마무리되고 12월 ‘송년의 밤’ 행사 만을 앞두고 있다. 2025년은 간지가 을사(乙巳)이다. 육십갑자의 42번째 간지로 천간인 갑(甲)과 을(乙) 색깔은 청(靑)이니 내년은 ‘파란 뱀의 해’가 된다. 올해는 ‘푸른 용의 해’이었다. 이러한 셈법은 수비학(數秘學)에 근거한다. 자료를 살펴보니 120년 전인 1905년 을사년은 일제에 의하여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을사늑약이 덕수궁에서 체결되었던 암울한 조선의 역사가 있었고 훨씬 앞서 945년 왕규의 난이 있었다. 고려태조께서 붕어하신 이후 장자인 혜종 때의 왕위 계승을 둘러 싸고 왕실 외척 왕규가 외손인 광주원군을 왕위에 등극시키기 위해 일으킨 반란이나 태조의 아우인 왕식렴에 의해 진압되었다. 왕규는 원래 양근함씨이었으나 고려개국공신으로 왕씨 성을 하사 받아 두 딸을 태조의 부인으로 혼인케 하였으니 제15비와 16비 후비이다. 광주원군은 16비의 아들이다. 왕규의 혜종 암살이 그 이전 도모되었지만 혜종은 이를 불문에 붙였고 차기 왕인 정종이 등극하자 반란을 시도하였다. 일부 역사학자는 이 난을 동복 형제간인 정종과 광종이 꾸몄다는 견해를 밝히기도 한다. 고래(古來)로 역사는 승리자의 편에서 기록되기 때문이다. 고려 또한 개국 초기 을사년이 태평스러운 한 해가 되지 못하였다. 내년 1월 20일 정오에 미 대통령 트럼프가 취임을 한다. 그는 미국의 국익을 우선시하는 정치인으로 미국의 세계경찰 지위를 언제든지 내려 놓을 만큼 보호무역을 지상최고주의로 삼는다. 앞으로 무거운 숙제를 얼마만큼 우리에게 내놓을지 이를 지켜보는 국민의 시선은 곱지만 않다. 교서감공의 출생년을 두고 이의를 제기하는 인터넷 자료가 보인다. 창간무오세보(1798년)에는 공과 부인의 출생년이 을사생이라 등재되어 있다. 조선태조실록으로 비추어 보건대 을사년은 고려공민왕15년인 1365년을 의미한다. 자료에는 "우왕3년(1377년)에 치루어진 국자감시(진사시)에서 십운시(十韻詩) 과목으로 합격하여 공께서 출사하였다"는 내용이다. 문신 김종서 등이 공동으로 편찬한 고려사절요 제30권편(우왕1∼4년)을 검색하니 “우왕3년 3월, 지신사(정3품/조선의 도승지) 김도(金濤)가 정준 등 99명을 선발하였다”고 적고 있다. 그러나 그 명단은 알 길이 없다. 이 내용으로 공의 출생년을 대입하면 13살에 과거를 보았다는 등식이 성립된다. 그리고 아우인 전공판서공(왕흥)의 별세 시 연세가 삼십대 초반이 된다. 판서공께서 여러 관직을 거쳤으니 이에 비추어 상충하고 질녀(우왕비 선비)의 나이별 행적도 맞지 않다.(개성왕씨홈페이지 자유게시판 76번 참고) 교서감께서 세보 기록 보다 아마 20년 정도 일찍 출생하지 않으셨을까 조심스럽게 추정하여 본다. 과거(科擧)는 고려광종이 군주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증국의 오대십국시대 후주인 쌍기의 건의에 의하여 당나라 과거제를 본따 시행되었다. 고려시대에는 관리를 등용하기 위해 과거와 음서, 천거 등의 방법이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과거는 자질을, 음서(蔭敍)는 가문과 혈통을 중히 여겼다. 광종은 음서에 의해 등용된 공신 자손들의 세력을 누르고 자신에게 충성하는 문신 관료가 필요하였다. 군주권 강화에는 노비안검법이 또 한몫하였다. 귀족이 불법으로 소유한 노비를 원래대로 풀어주는 정책으로 이 역시 후주의 개혁정치를 모방하였다고 한다. 아래 내용은 '고려사절요 전(箋)'이다. 김종서 등이 세조에게 올린 절요를 편찬하게 된 경위와 사유를 적었다. 역사를 공부하는 개성왕씨 후손은 조선의 역사라고 경시(輕視)해서는 아니 된다. 고려사절요를 올리는 전(箋)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우의정 영집현전 경연사 감춘추관사 세자부 (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右議政 領集賢殿 經筵事 監春秋館事 世子傅) 신 김종서(金宗瑞) 등은 삼가 새로 찬술한 『고려사절요』를 정서(淨書)하여 올립니다. 신 김종서 등은 진실로 황송하여 머리를 조아리고 또 조아리면서 아뢰옵니다. 가만히 생각하건대, 편년체(編年體)는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근본을 두고, 기전체(紀傳體)는 사마천(司馬遷)의『사기(史記)』에서부터 비롯되었는데, 반고(班固)의〈 『한서(漢書)』〉 이후로는 역사를 기록하는 자들이 모두 사마천의 『사기』를 근본으로 서술하여 누구도 어기지 않았던 것은 그 규모가 크고 넓기에 서술이 두루 갖추어질 수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번잡하게 길어서 궁구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근심을 면할 수가 없으니, 이것이 사가(史家)들은 〈편년체와 기전체가〉 각기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쪽을 버릴 수가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생각하건대, 고려는 당(唐) 말기에 일어나 뛰어난 무예로써 흉악한 무리들을 베고, 관대함으로써 뭇사람들의 마음을 얻었으며, 마침내 대업(大業)을 이루어 후손[後昆]에게 전하였습니다. 무릇 교사(郊社)를 세우고 〈통치의〉 법도를 정하였으며, 학교를 일으키고 과거제를 시행하기에 이르렀고, 중서성(中書省)을 설치하여 기무를 총괄하니 통치[體統]에 체계가 있게 되었고, 안렴사(按廉使)를 파견하여 주현을 감찰하니 탐악하고 부패한 자들이 감히 마음대로 굴지 못하였습니다. 부위제(府衛制)는 병사들이 농사에 의지하여 살게 하는 법도를 얻은 것이요, 전시과(田柴科)는 관리들이 대대로 녹봉(祿俸)을 받게 하려는 뜻이 있었으며, 형정(刑政)이 거행되고 품식(品式)이 갖추어지니 중외(中外)가 편안[寧謐]하고 백성들의 살림살이가 넉넉하여, 태평한 다스림이 성하였다고 할 만 하였습니다. 중엽 이후로는 〈왕이 그 책무의〉 부담을 이기지 못하여 안으로는 폐행(嬖幸)들에 의해서 미혹하여지고, 밖으로는 권신(權臣)과 간신(姦臣)들에 의해서 휘둘리게 되었으며, 강성한 적들이 번갈아 침입하여 창과 방패가 번뜩였습니다[爛熳]. 쇠락함은 가짜 왕씨가 왕위를 도둑질하는 데에까지 이르러 왕씨(王氏)의 제사가 끊어져 대대로 이어지지[血食] 못하게 되었습니다. 공양왕(恭讓王)이 반정(返正)을 하였으나, 끝내 어리석음과 나약함으로 인해 스스로 망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대개 하늘[天]이 참된 군주를 낳아서 우리 백성들을 평안하게 한 것이지 진실로 사람의 힘으로 한 것이 아닙니다. 태조(太祖) 강헌대왕(康獻大王)께서 처음으로 보신(輔臣)들에게 고려의 역사를 모아 정리하도록 명하셨고, 태종(太宗) 공정대왕(恭定大王)께서 다시 오류를 바로잡으라고 명하셨으나, 끝내 잘 진행되지 못하였습니다. 세종(世宗) 장헌대왕(莊憲大王)께서는 신성한 자질로써 문명의 교화를 밝히시었고, 신 등에게 요속(寮屬)들을 선별하고 관청을 설치하여 편수하라고 명하시면서 이르시기를, “먼저 전체적인 역사를 편수하고, 그 다음에 편년체로 하라.”라고 하셨습니다. 신 등은 두려워 떨면서 〈그 뜻을〉 받듦에 감히 조금도 게을리 하지 못하였습니다. 불행하게도 책이 아직 진어(進御)되지 않았는데 문득 군신(群臣)들을 버리셨으니, 주상전하께서 선왕의 뜻을 공경히 받들어 신 등에게 일을 끝마치도록 명하셨습니다. 돌아보건대, 일찍이 선왕으로부터 명을 받았을 때에 감히 황루(荒陋)함을 들어 굳이 사양하지 못하고, 해를 넘긴 신미년(1451) 가을에서야 책이 완성되었습니다. 이에 다시 세상을 교화시키는 데에 관계되는 사적(事跡)들과 삼가 본보기로 삼을 만한 제도들을 가려 모아서 번잡한 것은 깎아내어 간략하게 하고, 연월일을 표시하여 기록함으로써 상고(詳考)하고 열람하기에 편하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런 후에야 475년 동안의 32명 왕들의 일이 남김없이 포괄되고, 상세한 내용과 간략한 내용이 모두 기록되니, 사가(史家)의 체재(體裁)가 비로소 대강이나마 갖추어진 듯합니다. 비록 문장이 비루하고 속되며 기술한 체계가 정교하지는 않지만, 선행(善行)을 권장하고 악행(惡行)을 징계함에 있어서는 다스리는 법도에 작은 도움이나마 있을 것입니다. 한가하고 조용한 여가(餘暇)에 틈틈이 살펴보시어, 옛 일을 상고(詳考)하는 훌륭한 덕에 힘쓰시고, 세상을 다스리는 큰 계책[大猷]을 갖추셔서 이 백성들로 하여금 모두가 그 은덕을 받게 하신다면,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심히 다행이겠습니다. 새로 찬술한 『고려사절요』 35권을 삼가 전(箋)을 붙여 올리오니, 지극히 감격스러운 마음을 추스를 길이 없습니다. 신 김종서 등은 너무나도 황송하여 머리를 조아리고 또 조아리면서 삼가 아룁니다. 경태(景泰) 3년(1452년) 2월 일.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우의정 영집현전 경연사감춘추관사 세자부 신 김종서 등이 삼가 전(箋)을 올리옵니다. |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