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TSC (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NTSC란 전미 TV방식위원회를 뜻하며, NTSC에서 만든 방송규격(television standard)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는 미국, 캐나다, 멕시코, 일본 등에서 사용되는 칼라TV 시스템으로서 앞에서 나온 전미 TV방식위원회의 권고에 의해
FCC가 승인한 TV방식입니다.
NTSC M은 방송표준이며(M은 525 line/60 field을 뜻한다) 이를 NTSC로 정의합니다.
이 방식은 흑백이나 컬러의 구별 없이 방송과 수신이 가능한 점이 가장 큰 특징으로 화상신호로
휘도신호와 색 부반송파를 변조한 색신호로 나누어 양자를 다중화해 전송합니다.
컬러 수상기에서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컬러 화상을 얻고, 흑백 수상기에서는 휘도신호만으로 흑백 화상을 얻습니다.
NTSC TV 이미지는 프레임당 525개의 수평 주사선을 가지며 이러한 주사선들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리고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주사되는데, 매 한 줄씩 건너 뛰어서 주사합니다.
그러므로, 하나의 완전한 프레임을 완성하려면 화면을 두 번 주사해야 하는데, 한번은 홀수 번째 줄을,
다른 한번은 짝수 번째 줄을 주사합니다.
절반의 프레임을 주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1/60초 정도 소요되므로, 완전한 프레임은 매 1/30초마다 주사됩니다.
이러한 주사 시스템을 인터레이싱(interlacing)이라고 부릅니다.
NTSC방식은 30 Frame(60Hz)과 525line으로, PAL과 SECAM방식은 25 Frame(50Hz)과 625line으로 구성됩니다.
즉, 한 개의 화면은 625line으로 된 PAL과 SECAM방식이 좋습니다.
다만, Frame수가 NTSC에 비해 초당 5 Frame이 적기 때문에 빠른 영상에는 불리합니다.
이런 이유로 PAL과 SECAM방식에는 NTSC에 비해 약간의 화면의 깜빡 거리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트리커현상 이라고 합니다.
NTSC를 PAL이나 SECAM으로 바꾸면, 트리커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트리거 현상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방식변환기(시스템컨버터라고함)의 성능입니다. PAL에서 NTSC로 바꿀 때에는 초당 5 Frame이 추가됩니다.
PAL (Phase Alternation by Line)
PAL은 Phase Alternation by Line의 약어로서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과 전세계에 널리 사용되는 컬러코딩 시스템으로
대부분 625/50 line/field 시스템입니다.
미국에서 개발한 NTSC 방식과 비슷하지만 색신호를 취급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이 방식은 NTSC 방식에서 크로미넌스(chrominance)를 제어하는 2개의 영상신호 중 하나의 위상을
주사선마다 180°씩 반전시켜 전송·검출하기 때문에 색반송파의 위상편이를 상쇄할 수 있어 NTSC 방식보다
색변형이 적고 신호전송에 따른 방송설비시 고도의 규격이 필요 없습니다.
그러나 수상기의 색반송파의 1주사시간(64μs)의 지연회로가 필요함에 따라 수상기의 값이 비싼 단점이 있습니다.
참고로 송신기에서 점유 주파수의 폭은 NTSC의 경우 6MHz, PAL의 경우 8MHz, HDTV의 경우 20MHz,
AM 라디오의 경우 9kHz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