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원가명세서 작성 방법
1. 제조원가명세서의 작성
제조원가명세서는 최종 결과물로 산출되는 당기제품제조원가를 재무제표인 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에
반영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부속명세서이다. 또한 기말재료재고액과 기말재공품재고액은 재무상태표의
재고자산으로 반영되며, 이는 미소멸 원가가 된다. 제조원가명세서 양식은 다음과 같다.
제 조 원 가 명세 서
(단위 : 원)
과 목 | 당 기 | 전 기 |
Ⅰ. 직 접 재 료 비 1. 기 초 재 료 재 고 액 2. 당 기 재 료 매 입 액 계 3. 기 말 재 료 재 고 액 Ⅱ. 직 접 노 무 비 1. 급 여 2. 퇴 직 급 여 Ⅲ. 제 조 경 비 1. 전 력 비 2. 가 스 수 도 비 3. 운 임 4. 감 가 상 각 비 5. 수 선 비 6. 소 모 품 비 7. 세 금 과 공 과 8. 임 차 료 9. 보 험 료 10. 복 리 후 생 비 11. 여 비 교 통 비 12. 통 신 비 13. 특 허 권 사 용 료 14. ................................. 15. 잡 비 Ⅳ. 당 기 총 제 조 비 용 Ⅴ. 기 초 재 공 품 원 가 Ⅵ. 합 계 Ⅶ. 기 말 재 공 품 원 가 Ⅷ. 타 계 정 대 체 액 Ⅸ. 당 기 제 품 총 제 조 원 가 | | | | |
|
제조원가명세서에서 당기총제조비용은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경비(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를
제외한 모든경비)로 구분하며 생산활동에 투입하는 원가만 제조경비가 된다.
* 당기총제조비용 =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 + 제조경비
* 당기제품총제조원가 = 당기총제조비용 + 기초재공품재고액 – 기말재공품재고액
– 타계정 대체액
2. 재무제표와 제조원가명세서와의 관계
재무상태표의 재고자산 중 원재료는 제조원가명세서의 재료비에서 기말원재료재고액과 연결이 되며,
재공품은 제조원가명세서의 기말재공품재고액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조원가명세서의 최종 산출물인 당기제품총제조원가는 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에 반영되며,
이에따라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및 당기순이익에 영향을 준다. 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은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의 미처분이익잉여금(이월이익잉여금)에 반영되며, 다시 재무
상태표의 자본 계정인 이월이익잉여금에 반영된다. 이처럼 제조기업의 제조원가는 재무제표를 보고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보고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타계정대체 : 완성된 제품을 판매목적 이외에 다른 계정으로 대체되는 것을 말하는데 기부, 접대, 견본,
복리후생, 광고 목적등으로 소비될 때 타계정 대체라 한다.
재무상태표 (20XX. 12. 31 현재)
Ⅰ. 자 산 1. 유동자산 1) 당좌자산 2) 재고자산 ① 상 품 ② 원재료 ③ 재공품 ④ 제 품 | Ⅱ. 부 채 |
Ⅲ. 자 본 1. 자본금 2. 자본잉여금 3. 자본조정 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5. 이월이익잉여금 |
① 손익계산서의 기말상품재고액 대체
② 제조원가명세서의 기말재료재고액 대체
③ 제조원가명세서의 기말재공품재고액 대체
④ 손익계산서의 당기제품제조원가 대체
⑤ 손익계산서의 기말제품재고액 대체
⑥ 재무상태표의 당기순이익 대체
⑦ 재무상태표의 이월이익잉여금 대체
제조원가명세서
20XX. 01. 01 ~ 20XX. 12. 31
Ⅰ. 재료비 1. 기초재료재고액 2. 당기재료매입액 3. 기말재료재고액 Ⅱ. 노무비 Ⅲ. 경 비 Ⅳ. 당기총제조비용 Ⅴ. 기초재공품재고액 Ⅵ. 기말재공품재고액 Ⅶ. 당기제품제조원가 | (1+2)-3 Ⅰ + Ⅱ + Ⅲ (Ⅳ + Ⅴ)-Ⅵ |
손익계산서
20XX. 01. 01 ~ 20XX. 12. 31
Ⅰ. 매 출 1. 상품매출 2. 제품매출 Ⅱ. 매출원가 1. 상품매출원가 1) 기초상품재고액 2) 당기상품매입액 3) 기말상품재고액 2. 제품매출원가 1) 기초제품재고액 2) 당기제품제조원가 3) 기말제품재고액 Ⅲ. 매출총이익 Ⅳ. 판매비와일반관리비 Ⅴ. 영업이익 Ⅵ. 영업외 수익 Ⅶ. 영업외 비용 Ⅷ. 법인세차감전순이익 Ⅸ. 법인세등 Ⅹ. 당기순이익 | (1+2) - 3 Ⅰ - Ⅱ Ⅲ - Ⅳ (Ⅴ+Ⅵ) - Ⅶ Ⅷ - Ⅸ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처분예정일 : 20XX. 2. 28(B/S일로 부터 60일 이내)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1. 전기이월이익잉여금 2. 전기오류수정손실 3. 전기오류수정이익 4. 당기순이익 Ⅱ. 임의적립금 이입액 Ⅲ. 이익잉여금 처분액 Ⅳ. 차이기월이익이여금 | (1+3+4)-2 (Ⅰ + Ⅱ ) - Ⅲ |
문의처 : (주)한국경영회계연구원
(공공기관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제조기업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종합병원 원가관리 진단 및 지도)
☎ 032-240-6335
대표원장 조현석 ☎ 010-2246-3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