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회칙개정과 관련하여 운영위원회 회의록을 공개하라는 요청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답을 하지 않는 것 또한 회칙위반입니다.
운영위원회 회의록을 공개하는 것은 회칙 제18조 3항에 명시되어 있고
이 부분에 대해 김옥숙 전 실무부회장이 여러번 요청하였으나 계속해서 무시했습니다.
이에 회칙개정과 카페변경에 관한 회의록을 공개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됩니다.
22대 회장 보궐선거 절차에 대해 상당한 유감을 표합니다.
보궐선거 입후보자 등록 공고를 평일이 아닌 일요일 오후에 업로드 하면서
입후보자 등록 기간을 일요일 오후부터 다음날까지 정하는 것은 그 기간을 최소한으로 정하여
다른 입후보자의 등록을 막고자하는 의도가 아닌가 하는 문제로 보여집니다.
그 의문의 근거는 입후보자 등록 공고문에 연락처를 기재하지도 않고 유선으로 연락하라고만 기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타 입후보자의 등록 기회를 박탈하고 이미 결정해 놓은 후보를 적극적으로 당선시키겠다는
탄핵되었던 22년도 회장선거와 너무나 닮아 있습니다.
모든 결정에 있어서 절차는 무시되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사항입니다.
단 한 가지 위반이나 생략, 축소 등은 명백한 절차 무시입니다.
회장선거나 회칙 개정 모두 학생회의 중대 사안이기 때문에 그 절차 또한 중대 사안입니다.
따라서 두 절차 과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입니다.
회칙 위반이 탄핵 사유이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자면 회칙개정의 발의부터 결정까지의 과정에
주도적으로 동의한 사람은 이미 회칙을 위반한 사람으로서 학과의 중책을 맡을 자격이 없다고
사려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회장 선거를 진행한다면 최소한 그 절차상 부당함은 없어야 한다고 사려됩니다.
이 모든 글에 대해 계속해서 졸업생이라거나 개인의 의견일 뿐이라고 말하기 이전에
학과의 회칙과 전통을 지켜온 선배들의 수고와 노력을 계숭해야 하는 것이 당연한 이치임을 자각하시기 바랍니다.
첫댓글 23년도에도 다투었는데 또다시 다투고 있는데 일반 학생인 나로서는 뭐가 뭔지 잘 모르겠으나 부산지역대 문화교양학과에 영 정이 안 간다
좀 흠결이 있어도 화해하고 통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