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本文 二十二章
曲則全, 枉則直, 窪則盈, 則新, 少則得,多則惑, 是以聖人, 抱一爲天下
곡즉전, 왕즉직, 와즉영, 폐즉신, 소즉득,다즉혹, 시이성인, 포일위천하
式, 不自見故明,不自是故彰, 不自伐故有功, 不自矜故長,夫惟不爭, 故天下
식, 불자견고명,불자시고창, 불자벌고유공, 불자긍고장,부유부쟁, 고천하
莫能與之爭. 古之所謂曲則全者,豈虛言哉. 誠全而歸之.
막능여지쟁. 고지소위곡즉전자,기허언재. 성전이귀지.
* 本文 二十二章(이십이장) = 굽은게 있어야지만 온전해지고 휘어야만 곧아진다 움푹 파인 곳이 있어야 지만 채워지고 헐어짐이 있어야 지만 새로워지고 부족한 게 있어야 지만 얻어지고 많아지면 되려 곤혹스레 여겨 덜릴 땔 바란다 이래서 성인이 하나를 끌어안아 천하의 법 방을 삼았다 자신을 보지 못함으로 밝고 스스로를 바르다 않함으로 돋보이게 되고 스스로를 자랑치 않음으로 공을 갖게되고 자신을 뽐내지 않음으로 어른대접을 받게 되고 대저 다투지 아니함으로 천하에 더불어 잘 다툴려 듦이 없다 옛의 이른바 굽음이 있어야만 온전해 진다는 게 어찌 헛된 말이라 할 것인가? 그래야만 진실로 온전함으로 돌아가게 되리라
* 굽으면 완전해지고 휜즉 정직해지고 무너지면 새롭게되고 작다싶으면 얻으려 노력하게되며 많을 성싶으면 의심내게[ 이럴가 저럴가 헷갈리게] 된다 , 이래서 성인 하나를 끌어안아서 천하를 위하는 방식을 삼으니 ,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연고로 밝고, 자신을 바르다 않는 연고로 여럿을 수용할 수 있는 밝아지는 안목을 갖게되며 자신을 자랑하려들지 않음으로 공로를 두게되고 스스로 뽐내지 않음으로 장점을 삼는다
그러므로 천하 더불어 다툴리 잘 없다 옛의 이른바 휘어야 지만 완전해진다는 것이 어찌 헛된 말이라 할 것인가? 이래 진실로 완전해져서 되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蘇註
소주
聖人動必循理 理之所在 或直或曲 要於通而已 通故與物不 不 故全也
성인동필순리 리지소재 혹직혹곡 요어통이이 통고여물불오 불오고전야
直而非理 則非直也 循理雖枉 天下之至直也 衆之所歸者下也 雖欲不盈
직이비리 즉비직야 순리수왕 천하지지직야 중지소귀자하야 수욕불영
不可得矣 昭昭察察非道也 悶悶 若將 矣 而日新之所自出也 道一而已
불가득의 소소찰찰비도야 민민 약장폐의 이일신지소자출야 도일이이
得一 則無所不得 多學而無以一之則惑矣 抱一者復性者也 蓋曲則全 枉則
득일 즉무소부득 다학이무이일지즉혹의 포일자복성자야 개곡즉전 왕즉
直 窪則盈 則新 少則得 皆抱一之餘也 故以抱一終之 目不自見 故能見
직 와즉영 폐즉신 소즉득 개포일지여야 고이포일종지 목불자견 고능견
物 鏡不自照 故能照物 如使自見自照 則自爲之不 而何 及物哉 不自
물 경불자조 고능조물 여사자견자조 즉자위지불하 이하하급물재 불자
見 不自是不自伐不自矜 皆不爭之餘也 故以不爭終之 世以直爲始 以曲爲
견 불자시불자벌불자긍 개부쟁지여야 고이부쟁종지 세이직위시 이곡위
非 將循理而行於世 則有不免於曲者矣 故終篇復言之曰 此豈虛言哉 誠全
비 장순리이행어세 즉유불면어곡자의 고종편복언지왈 차기허언재 성전
而歸之 夫所謂全者 非獨全身也 內以全身 外以全物 物我兼全而復於性
이귀지 부소위전자 비독전신야 내이전신 외이전물 물아겸전이복어성
則其爲直也大矣.
즉기위직야대의.
* 소씨는 주석하대. 성인은 움직이대 반드시 순리로 움직인다 이치가 존재하는 곳은 혹 곧기도 하고 혹 굽기도 하다 중요한 건 통용에 있을 따름이다 통하여 씀으로 사물이 더불어 오역함이 없고 거슬리지 아니함으로 온전해진다 할 것이다 곧아서 그것이 그릇된 이치라 하면 곧지 않으면 될 것이다 이치를 따름 비록 휜 것이라도 천하가 곧음에 다다름이라 모두가 돌아가서 수긍하여서 (*순응해 옳은 이치에 숙인다는 것임) 비록 채우려 들지 않음을 바란다 하더라도 그렇게 되지 않으리라 세속에 평범한 사람들처럼 영리에 얽매여 昭昭察察(소소찰찰)한다는 것은 길이 아니다 번민해서 장차 무너트리려는 듯해야지 날로 새로움이 저절로 나오게 되 있는 것이다 길은 하나를 집중 꿰뚫는데 있을 따름이라 (*得一則)= 모든 걸 하나로 집약 수용하는 그런 자세라면 얻지 못할게 없을 것이다 (*포용해서 용납되지 않을게 없다) 많이 배워서 하나로 꿰뚫고 집약할 줄 모르면 곤혹스러 워 지리라 하나를 끌어안는 것은 거듭 본성으로 회귀하는 것이다 대저 굽어야 지만 온전해지고 휘어야 지만 곧아지고 구렁져야 지만 채워지고 무너지면 새로워지고 부족한 게 있어 야지만 얻어짐은 모두 하나로 끌어안은 여력인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를 끌어안음으로써 마칠 것이니 눈은 자신을 잘 보지 못함으로서 사물을 볼 수 있고 거울은 스스로를 비춰 볼 수 없음으로서 다른 물건을 잘 비춰 볼 수 있다 만일 자신을 보고 자신을 비춘다면 스스로를 위하려 듦도 한가롭지 못할 것인데 어느 겨를에 물사를 관찰하고 비춰봄에 이른다 할 것인가? 자신을 보지 못함으로 인해서 자신만을 옳다않고 자신을 자랑하려 들지 않고 자신을 으시대려 들지 않게 되는 것은 모두 다투려 들지 않는데서 나오는 여유인 것이다 그러므로 다투지 아니함으로써 결실을 맺는다 세상이 곧음으로서 바름을 삼고 굽음으로서 그릇됨을 삼음에 장차 이치를 쫓아서 세상에 실천하려 든다면 굽음을 면치 못할게 있지 아니하리라 그러므로 글 말미에 거듭 말씀을 해서 말하길 이 어찌 헛된 말씀이라 하리요 그래야만 진실로 온전함에 돌아가리라 함인 것이다 대저 이른바 온전하다 하는 것은 유독 자신의 온전함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내적으로 자신을 온전하게 함으로써 외적으로 모든 物事[물사]를 온전하게 한다는 뜻이다 내가 이 저를 겸한 온전함을 가져서 본성에 돌아오면 그 곧음 됨이 크다 할 것이다
呂註
여주
能知衆甫之然 則能抱一致柔 能抱一致柔 則能曲能枉能窪能 矣 曲者曲
능지중보지연 즉능포일치유 능포일치유 즉능곡능왕능와능폐의 곡자곡
之自然者也. 枉者曲之使然者也 天下之物 唯水爲幾於道 一西一東 而物
지자연자야. 왕자곡지사연자야 천하지물 유수위기어도 일서일동 이물
莫之能傷 是曲則全也 避 萬折而必東 是枉則直也 善下而百谷歸之 是窪
막지능상 시곡즉전야 피애만절이필동 시왕즉직야 선하이백곡귀지 시와
則盈也 受天下之垢而莫淸焉 是 則新也 唯得一者爲足以與此 故曰少則
즉영야 수천하지구이막청언 시폐즉신야 유득일자위족이여차 고왈소즉
得 衆人所以不能然者 以其不一故也 故曰多則惑 制財用必有式 傳土木必
득 중인소이불능연자 이기불일고야 고왈다즉혹 제재용필유식 전토목필
有式 所持者約 而所應者博也 聖人抱一以爲天下式 亦如是而已 故可以曲
유식 소지자약 이소응자박야 성인포일이위천하식 역여시이이 고가이곡
可以枉 可以窪 可以 無往而非一也 故因天下之 所見而見之 而我不自
가이왕 가이와 가이폐 무왕이비일야 고인천하지 소견이견지 이아불자
見也 則所見無不察 故曰不自見 故明 因天下之所是而是之 而我不自是也
견야 즉소견무불찰 고왈불자견 고명 인천하지소시이시지 이아불자시야
則所是莫之能 蓋故曰不自是故彰 歸天下以功 而我不自有也 故有功 任萬
즉소시막지능 개고왈불자시고창 귀천하이공 이아불자유야 고유공 임만
物以能 而我不自矜也 故長如是者無他 得一則無我 無我則不爭 夫唯不爭
물이능 이아불자긍야 고장여시자무타 득일즉무아 무아즉불쟁 부유불쟁
天下莫能與之爭矣 古之所謂曲則全 其要如是而已 知所以曲則全 則知所
천하막능여지쟁의 고지소위곡즉전 기요여시이이 지소이곡즉전 즉지소
以枉則直 窪則盈 則新矣 而不自見故明 不自是故彰 不自伐故有功 不
이왕즉직 와즉영 폐즉신의 이불자견고명 불자시고창 불자벌고유공 불
自矜故長 皆由是也 豈非所謂全 而歸之哉.
자긍고장 개유시야 기비소위전 이귀지재.
* 여씨 주석하대. 모든 衆甫(중보= 영걸) 들의 그러함을 잘 알면 하나를 잘 끌어안아 부드러움에 이름인 것이다 하나를 잘 끌어안아 부드럼에 이르면 꺽이길 잘하고 휘길 잘하고 파여지길 잘하고 (*들어올 자리를 잘 비워둔다는 뜻) 허름해지길 잘함이리라 꺽히는 것은 가식 없는 자연적인 굽힘인 것이다 휘는 것은 저절로 하여금 (*누가 시키지 않아도)(*屈=굴)굽신 거리는 것이다 천하의 사물이 오직 黃河水(황하수)처럼 길 하는 게 몇이나 될까? 한번은 서로 꺽였다가 한번은 동으로 꺽였다가 해서 흘러 만물을 잘 상하게 함이 없음이니 이는 굽이침으로서 온전해 짐인 것이다 장애를 피하고 만 번이나 꺽 이면서 필히 동으로 흐른다 이는 휘면 곧아진다는 표현이리라 잘 흘러 내려서 일백 골짜기가 짐은 이는 고랑지면 채워진다는 표현이리라 천하의 더러움을 받아 들여서 맑음이 없음은 이 허름해지면 새로워진다는 뜻이리라 오직 하나로 집약 한자만이(*포용 또는 수용한자만이) 유족하게 이와 더불어 한다할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아직 젊어 부족한 점이 많은 듯 하면 살아가면서 얻어지는 게 많다 할 것이다 여러 사람들은 그렇게 잘못하는지라 그는 곧 하나를 제대로 수용치 못함에서 인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수용해서 貫一(관일)치 못하고 많은 가짐을 제대로 소화 정리치 못한다면 곤혹스럽게 된다는 것이다 재물을 사용하는 제도 에 있어서도 필히 방식이 있고 흙과 나무를 다루는데도 필히 방식이 존재해서 그런걸 잘 알아 지닌 자는 그런 일 에 임함에 있어서도 간추려 묶길 잘하고 응용하는바에 있어서도 넓다 성인이 하나를 포용해서 천하에 방식을 삼음도 역시 이와 같을 따름이라 그러므로 써 바르게 꺽임을 쓴다 할 것이요 바르게 휨을 쓴다 할 것이요 바르게 고랑 짐을 썻다 할 것이요 바르게 헐어짐을 썻다할 것이니 이왕이 하나로 집약됨이 아니 없다 할 것이다 그런 까닭에 천하의 보는 바로 인하여서 보아가고 내 자신을 보는게 아니면 (*혹은 자신의 좁은 안목으로 보는 게 아니라면) 보는 게 살피지 못할게 없음이라 그러므로 말하길 자신을 보지 못함으로 밝고(*혹은 자신의 좁은 소견으로 보지 않음으로 밝고) 천하 옳게 여기는 바로 인해서 옳게 여겨짐이라서 내 자신을 바르다 아니하면 바른 게 잘 덮힐리(*엄폐될리)없다 그러므로 말하길 스스로 옳타 아니 함으로써 돋보이게 된다 천하에 공을 돌림으로서 내 자신이 두었다 하지 아니하는지라 그러므로 공이 있게 된다 만물을 맡아서 무르 성숙케 하여도 내 뽐내지 않는지라 그러므로 어른대접을 받게 된다 이 같은 것은 다른 게 없다 하나를 얻으면 내라함이 없고 내라함이 없으면 다툼이 없어진다 오직 다툼이 없어 짐 이라야 천하 더불어 잘 다툴려 듦이 없어지리라 옛의 이른바 꺽이어 서만 온전해 진다는 게 그 요점이 이와 같을 따름이다 꺽이어야 지만 온전해짐을 알면 휨에 있어서도 곧게 되고 파인 곳에 있어서도 채워지게 되고 헐어짐이 있어서 새로워 짐을 앎음 이라서 자신을 보지 않고 밝고 자신을 옳타 않함으로 돋보이고 자신을 자랑 않함으로 공을 두게 되고 자신을 뻐기지 않음으로 어른대접 받음이 다 이로 말미암았다 할 것인데 어찌 이른바 온전함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할 것인가? (*온전하지 않는 곳으로 돌아간다 할 것인가?)
朴註
박주
曲折也 枉屈也 窪虛也 故也 天道虧盈而益謙 故曲者能全 枉者能直 窪
곡절야 왕굴야 와허야 폐고야 천도휴영이익겸 고곡자능전 왕자능직 와
者能盈 者能新 少者能得 皆以謙而得益也 多者反惑以盈而得虧也 是以
자능영 폐자능신 소자능득 개이겸이득익야 다자반혹이영이득휴야 시이
聖人 抱道以爲天下法 不自見則聰明 廣不自是則德善彰不伐則克 有功義
성인 포도이위천하법 불자견즉총명 광불자시즉덕선창불벌즉극 유공의
不矜則能保身名 四者皆虛心 而無所爭曲之道也 故曰曲則全者 豈虛言哉
불긍즉능보신명 사자개허심 이무소쟁곡지도야 고왈곡즉전자 기허언재
惟其能曲 天實以全歸之耳 .
유기능곡 천실이전귀지이 .
* 박씨는 주석하대. 曲(곡=굽다 휘다 굽히다 휘게하다 마음이 바르지 아니하다 사악하다)이란? 折(절= 꺽다 자르다 쪼개다 꺽이다 부러지다)즉 꺽임을 뜻한다 枉(왕= 굽다 굽히다 邪曲한사람)은 屈(굴=굽다 굽히다 물러나다 베다 자르다) 즉 굽혀듦을 뜻한다 窪(와=웅덩이 우묵한 것 맑은물) 는 빈 것을 뜻한다 (페= 해지다 깨지다 부서지다 지다 패배하다)는 오래져서 헐어진 것(故)을 뜻한다 (*그래야만 새로운 게 나타난다는 뜻이리라) 하늘길(天道)은 가득한 건 이지러 지게 하고 겸손하면 더하게 함으로 曲이진건 잘 온전해지고 枉 한게 잘 곧아지고 파인 곳이 잘 채워지고 부족한 게 잘 얻어지게 되고 등 모두 겸손함으로서 더함을 얻는 것이다 많은 건 되려 곤혹스러워서 찬 것은 이지러짐을 얻게 된다 이래서 성인이 길을 수용해서 천하의 법을 삼을진대 자신을 보지 않으면 총명이 넓어지고(*자신의 영리만을 추구케 되면 물심이 앞을 가려 시야가 좁게됨으로 총명이 흐려진다) 스스로를 바르다 아니하면 덕을 좋게 돋보이게 되고 공을 자랑치 않음 성숙한 공을 두게 되고 아름다움을 뽐내지 않으면 잘 몸과 명리를 보전케 된다 (*譯者言= 요즈음 세상이야 어디 그런 가 자기선전 과시 시대라 자기를 돋보일려 노력 않함 뒷전으로 밀려나 낙오자 신세를 면치 못한다 할 것이다= 그런데 노자 사상은 겸허한 방법으로 자신을 돋보일려 한다는 것인데 성장하는 사람에겐 다소 무리가 있다 할 것이다 어느 정도 인정받을만한 인지도가 쌓인 사람이면 물러나는 방법을 채택해 자신을 한껏 돋보이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하겠지만 아직 성장하고 배우는 자의 입장에선 진취적이어야 할텐데 어찌 양보만 미덕이겠는가? 서로가 경쟁하는 속에 동량이 되는 것이니 노자의 말씀은 어느 정도 올라선 자 덕 쌓인 자에게 해당하는 말씀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젊은이들도 아주 취할 것 없는 건 아니다 자기를 내보이는데는 여러 가지 수단이 이용되는데 겸허나 양보나 회생이나 이런걸 갖고 해서 주위에 점수를 많이 따놓는 것도 자기 위상을 높이는데 한몫을 한다할 것이다) 이상의 네 가지가 모두 마음을 비워서 겸쟁할 게 없는 꺽임의 길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꺽이면 온전해 진다는 게 어찌 헛된 말이라 할 것인가? 오직 부드럽게 잘 꺽이어 져서 하늘 참(實)으로 온전하게 돌아 갈 뿐이다 (*譯者言=사람이 모든걸 포용하면 하늘같은 큰그릇이 된다는 뜻이다)
本文 二十三章
希言自然, 故飄風不終朝, 驟雨不終日.孰爲此者, 天地, 天地尙不能久, 而
희언자연, 고표풍불종조, 취우불종일.숙위차자, 천지, 천지상불능구, 이
況於人乎.故從事於道者, 道者同於道, 德者同於德, 失者同於失.同於道者,
황어인호.고종사어도자, 도자동어도, 덕자동어덕, 실자동어실.동어도자,
道亦樂得之, 同於德者, 德亦樂得之, 同於失者, 失亦樂得之.信不足, 有
도역락득지, 동어덕자, 덕역락득지, 동어실자, 실역락득지.신부족, 유
不信.
불신.
* 本文 第二十三章= 말수가 드믄(希言) 자연을 말함은 회오리 바람이 아침을 가지 못함인가? 비바람 세차게 내리는 비가 종일을 가지 못함을 말함인가? 뉘 이러함을 갖다 자연이라 하였는가? 하늘 땅 하늘땅 하나 오히려 하늘 땅도 오래 영구함이 없거늘 하물며 인간사이야 말할 나위리요? 그런 까닭에 길에 종사한다 함인 것이다 길에 종사하는 자란 길에 같이하는 자요 덕에 종사하는 자는 덕과 함께 하는 것이요 잃어버림에 종사하는 자는 잃어버림과 같이하는 자라 길과 함께 하는 자는 길 역시 즐거이 받아들이고 덕과 함께 하는 자는 덕 역시 즐거이 받아들인다(* 덕될만한 것이 자신을 알아줌을 좋아서 즐거워한다는 뜻임) 잃어버림과 같이하는 자는 잃어버림 역시 즐겁게 받아들인다 (* 사람이 마땅히 끊어버릴걸 끊어버린다면 무슨 서로가 미련을 갖고 얽매여 들리요 서로가 풀려 벗어나 홀 가분 할 따름이지...... 세속 어떤 사람들은 영리에 눈이 어두워 이를 못 벗어나 모든 삶의 구애에 얽매여 허덕인다) 부족 한 점을 감싸 믿어주고 불신할만한 것이라도 부지케 해서 존재의 진가를 발휘케 한다 (*믿음이 부족한 점이 있는 것에까지 밋치게 하고 불신 하려드는 자 들에게 까지도 존재케 한다)
* 회소 성을 자연이라 말한다 회오리바람이 하루아침을 가지 않고 줄기차게 내리는 비가 하루를 못 간다 누가 이러한 것을 하는가 하늘 땅 이란 자이다 하늘땅도 오히려 오래가지 못하거늘 하물며 사람이야 말할 것 있으랴? 그러므로 [옛 의] 길이라 하는 것에 종사하게 된다 길이라 하는 것은 길에 같이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고, 덕이란 것은 덕에 같이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잃어버린다하는 것은 잃어버림에 같이하는 것을 말한다 할 것이라
길이란 것에 같이하려 드는 자는 길도 역시 얻어짐을 좋아하고, 덕이란 것에 같이하려 드는 자는 덕 역시 자신이 그에게 얻어짐을 즐거워하고, 벗어버릴 것과 같이하는 자는 그 벗어날려 하는 것 역시 그 탈출 벗어남 얻어지는 것을 [소이 그로부터 버려지는 것을] 좋아한다 이래 믿음이 부족하여선 그 불신함을 갖게되는 것이라 불신함을 갖게된다면 어떻게 오래 갈 것인가 다 믿음이 넉넉한 가운데 위와 같이 뜻한바가 이뤄지는 것이다
蘇註
소주
言出於自然 則簡而中 非其自然而强言之 則煩而難信矣 故曰道之出口 淡
언출어자연 즉간이중 비기자연이강언지 즉번이난신의 고왈도지출구 담
乎其無味 視之不足見 聽之不足聞 用之不可旣 此所謂希言矣 陰陽不爭
호기무미 시지부족견 청지부족문 용지불가기 차소위희언의 음양부쟁
風雨時至 不疾不徐 盡其勢之所至而後止 若夫陽亢於上 陰伏於下 否而不
풍우시지 불질불서 진기세지소지이후지 약부양항어상 음복어하 부이부
得洩 於是爲飄風暴雨 若將不勝 然其勢不能以終日 古之聖人言出於希 行
득설 어시위표풍폭우 약장불승 연기세불능이종일 고지성인언출어희 행
出於夷 皆因其自然故久而不窮 世或厭之 以爲不若詭辯之悅耳 怪行之驚
출어이 개인기자연고구이불궁 세혹염지 이위불약궤변지열이 괴행지경
世 不知其不能久也 孔子曰 苟志於仁矣 無惡也 故曰仁者之過易辭 志於
세 불지기불능구야 공자왈 구지어인의 무악야 고왈인자지과역사 지어
仁猶若此 而 志於道者乎 夫苟從事於道矣 則其所爲 合於道者得道 合於
인유약차 이황지어도자호 부구종사어도의 즉기소위 합어도자득도 합어
德者得德 不幸而失 雖失於所爲 然必有得於道德矣 不知道者 信道不篤
덕자득덕 불행이실 수실어소위 연필유득어도덕의 부지도자 신도불독
因其失而疑之 於是益以不信 夫唯知道 然後不以得失疑道也.
인기실이의지 어시익이불신 부유지도 연후불이득실의도야.
* 소씨 주석하대.
자연에서 나온다 말함은 곧 간이한(*쉽고 간소한) 가운치다 그 자연이 아니고 억지주장은 번거롭고 믿게 하기 어려움에서 리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입에서 내는 길은 그 맛없음에 담백하다 볼려고 해도 보지 못하고 들을려 해도 듣지 못하고 쓸려해도 이미 지난 것이라 (*다한 것이라=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른다) 이를 일러 말수가 드믄 것이라 한다 음과 양이 다투지 않고 풍우가 때로 이름이 급하지도 느리지도 않아 그 세가 완만함을 다한 후에 머무른다 만일 그 양이란 게 위로만 높이 뜨고 음이란 게 밑으로만 엎드려서 서로 사귀지 못하고 서로 접촉해 그 기운을 발산치 못한다면 이에 회오리바람이나 폭우처럼 되어 그 세를 이기지 못할 듯이 나대나 그러나 그 勢(세)란 게 종일을 못 간다 옛 성현이 말수는 드믈게 하시대 실행하심은 손쉽게 하시니 모두 그 자연으로 인하였음이라 그러므로 오래되어도 궁색해지지 않았다 세상에 혹두 권태나 염증을 느낄 정도에 있는 것이 궤변을 즐겨 함만 못할 것이라 하고 괴이한 행위로 세상을 놀라킴에 그 오래가지 못할걸 알지 못한다 공자는 말하길 진실로 어짊에 뜻을 둔 자는 미워할게 없다 하였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어진 자의 허물은 말을 쉽게 함에 있다 했다 어짊에 뜻을 둠도 이러할 진데 하물며 길에 뜻을 둠에야 말할 것 있으랴? 진실 되게 길의 일에 종사하면 그 위하는 게 길에 합할 것이면 길을 얻고 덕에 합할 것이라면 덕을 얻게 되리라 불행 이도 끊어 버릴게 있어서 비록 하던 바를 미련 없이 끊어 버린다 하더라도 그러나 필히 도덕에 존재 가치를 얻게 될 것이다 길을 모르는 자 길 믿음을 독실하게 않는다 그로 인하여 그 끊어 버릴걸 의심 낸다 이래서 더욱 불신함이다 오직 길을 안 연후에 라야 얻고 잃음으로써 길을 의심 내려 들지 않으리라
如註
여주
聽之不聞名曰希 言而知其所以言 則言出於不言 而聽之不聞矣 故曰希言
청지불문명왈희 언이지기소이언 즉언출어불언 이청지불문의 고왈희언
希言者以道言也 故曰自然飄風驟雨 成之暴戾 非出於常然也 故雖天地爲
희언자이도언야 고왈자연표풍취우 성지폭려 비출어상연야 고수천지위
之 尙不能終朝終日之久 人之言不出於自然 則多而數窮宜矣 故唯從事於
지 상불능종조종일지구 인지언불출어자연 즉다이수궁의의 고유종사어
道者 爲能無我 無我 則道也 德也 失也 吾不見其所以異 故道者我則同於
도자 위능무아 무아 즉도야 덕야 실야 오불견기소이리 고도자아즉동어
道 德者同於德 失者同於失 而恢詭譎怪 通爲一也 夫唯不見其所以異而與
도 덕자동어덕 실자동어실 이회궤휼괴 통위일야 부유불견기소이리이여
之同 則彼雖有以異我 而未嘗去我也 故曰 同於道者道亦得之 同於德者
지동 즉피수유이리아 이미상거아야 고왈 동어도자도역득지 동어덕자
德亦得之 同於失者失亦得之 唯其信不足 則於是乎有道有德有失 而不同
덕역득지 동어실자실역득지 유기신부족 즉어시호유도유덕유실 이부동
矣 故曰信不足有不信.
의 고왈신부족유불신.
* 여씨 주석하대. 들을려도 듣지 못함은 말씀이 희미해서다 그말씀의 하고자 하는 뜻의 처지나 요지를 알면(* 말하고자 하는 향방을 알면) 말씀이 말씀 아니함에서 나올 수 있고 들리지 않는다 해도 들으리라 그러므로 말하길 말수가 적은 드믄 말씀(希言)이라 한다 말수가 적은 것은 길로써 말씀하기 때문이다 (*譯者言= 그렇다면 길의 말씀化는 입에서 형언해내는 말씀만이 아닌가? 그렇다 할 것이니 세상우주가 곧 길(*道)이요 그것은 곧 사람의 입에서 형용해내는 말씀과는 관찰의 차원이 있다 할 것이다) 회오리바람과 후두득비가 사나움을 이룸이 자연이라서 평상시에 정상적으로 생기는 거완 다름인지라 그런 까닭에 비록 하늘땅이 한다해도 아침을 못 가고 종일을 못 간다 (*즉 非常道는 한참을 못 베겨 난다는 뜻) 사람도 말씀을 자연스럽게 내지 않으면 억지로 꾸며서 내는 것이라 말은 많아도 자주 궁색해 지는 게 당연하리라 그러므로 결론컨대 길에 종사하는 자는 내라 함이 없음에 능숙해야 되고 내라함이 없으면 곧 그것이 길이고 덕이고 미련을 끊어 버린 것이 된다 (*譯者言=요런 뜻에 말을 이용해 먹으려는 얄팍한 무리가 생겨날까 의심스럽다 대략은 신앙에 심취해 있는자들이 감언하길 즐기고 그를 포섭의 수단으로 이용한다 즉 나를 버리라 하곤 자기네의 사상을 파종하려 드는 것이다 지혜가 있는 자는 저울질을 잘한다 저울질을 해봐서 득이 될만한 것이라면 포섭전파를 역이용하라 이런 말도 또한 감언에 속한다 할 것이다 감언이라 생각하면 모든게 의심스러워 성현에 말조차 감언 아닌 게 없다 받아들여 소화시키는 자가 판가름을 잘한다면 무슨 여러 잡다한 게 병될 게 있을 건가? ) 내- 그와 다른걸(쓰는걸)보지 못했다 그러므로 길이란 게 나일 것 같으면 길과 함께 하는 것이요 덕일 것 같으면 덕과 함께 하는 것이요 미련을 끊어버리는 것이라면 그와 또한 같이해서 기괴한 권모술수와 여러 방책들이 통털어 하나가 될 것이다 (*하나를 위하려 들 것이다) 대저 오직 달리 쓸걸 보지 못해서 더불어 함께 하면 저 가 비록 나를 이상히 여기는 게 존재 한다하더라도 일찍이 나를 버리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하는 말인데 길과 함께 하려는 자는 길도 역시 받아 드릴려(*저쪽이 도로 이쪽을 얻을 려)하고 덕과 함께 할려는 자는 덕 역시 받아 드릴려 하고 미련을 끊어 버림과 같이 할려는 자는 그 주체 대상이 역시 받아들이게 된다 오직 결론컨대 그 부족 한 것이라도 유족한 듯 믿으면 그렇게 길의 존재가 있게 되고 덕의 존재를 두게 되고 끊어버림의 존재를 두게 된다 그렇게들 한가지로 못하는지라 그러므로 부족한걸 믿으면 믿지 못할게 존재케 된다 함인 것이다(* 오직 그 믿음이 부족하면 이에 하여금 길의 존재와 덕의 존재와 미련을 끊는 존재와 같이하지 못할 것이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믿음이 부족하면 불신할게 존재한다 했다)
朴註
박주
希言簡淡之言也 所謂貴言者是也 自然不苟崖異而隨順於物也 風雨天地之
희언간담지언야 소위귀언자시야 자연불구애리이수순어물야 풍우천지지
所爲而飄驟 則失於自然 故尙不能久人之多言 能無窮乎 故從事於道者 與
소위이표취 즉실어자연 고상불능구인지다언 능무궁호 고종사어도자 여
道者居而同於道 與德者居而同於德 與失者居而同於失 同者隨順無違之意
도자거이동어도 여덕자거이동어덕 여실자거이동어실 동자수순무위지의
同於失則同其塵矣 我旣同於彼則彼皆樂得我 是我信而彼信之也 若夫多言
동어실즉동기진의 아기동어피즉피개락득아 시아신이피신지야 약부다언
者 則喜立異而物與之爲敵 故曰信不足有不信 蘇氏曰言出乎自然 則簡而
자 즉희입리이물여지위적 고왈신부족유불신 소씨왈언출호자연 즉간이
中非其自然而强言之 則煩而難信矣 故曰道之出言淡乎其無味 視之不足見
중비기자연이강언지 즉번이난신의 고왈도지출언담호기무미 시지부족견
聽之不足聞 用之不可旣 此所謂希言矣
청지부족문 용지불가기 차소위희언의
*박씨 주석하대. 말수가 적은 것은 간결하고 담백한 말씀을 뜻한다 이른바 말씀하는 자체를 귀하게 여기는 게 바로 그렇다 자연이란 실로 어디 유별나게 동떨어져 다른 게 아니고(*이상한대 언덕 삼는 게 아니고) 유순하게 사물을 쫓음을 뜻한다 비바람은 하늘땅이 짓는 것이라도 회오리치고 후다닥거려 사납게 나대면 자연에 순리를 잃은 모습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그렇게 나댐은 오래갈 수 없는 것이다 사람도 말이 많으면 궁색함이 없을 손가? 그러므로 길에 종사하는 사람은 길과 더불어 하는 것이니 머물러서 길과 함께 하는 것이고 덕과 더불어 하는 자는 머물러서 덕과 함께 하는 것이고 잃어버림과 더불어 하는 자는 머물러서 잃어버림과 함께 하는 것이다 같이한다는 것은 유순하게 쫓아 어김이 없다는 뜻이다 잃어버림과 같이함은 그 몽진과 같이함이다 (*譯者言= 모든 걸 잊고 내 자신을 내어 던진다 그것이 구도자의 갈 길이다 하고 주장을 세운다면 찌든 세파 몽진사회에 파뭍혀서 세상과 함께 한다는 뜻이니 이는 자기를 각고와 궂음속에 내어던져 득도 대달 성취하겠다는 구도자의 한 모습이라 할 것이다=*길 자신이 몽진과 함께 한다는 뜻 표현을 我가 무엇을 어떻게 한다로 여기서 말하는 것 같기도 하다) 내- 이미 저와 같이 한다면 저- 다들 내 얻음을 즐거워 할 것이니 이는 내가 저들을 믿음으로서 저들이 나를 믿게 한다는 뜻이다 이를테면 대저 말이 많은 자일수록 이상한걸 세우길 깃거워 해서 物事(물사)의 이치와 더불어 대적하길 즐길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믿음이 부족하면 불신 당함이 있다는 것이다 소씨는 말하길 말씀이 자연스럽게 나오면 간결하면서도 사리에 맞고 부자연 스럽게하면 억지로 꾸며서 하는 것이라 곧 변명 비슷하게 번거롭고 신빙하기 어렵게 됨인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길로 인하여 말을 내면 그 맛없음이 담백하고 보는 게 부족한 듯 하고 듣는 게 어정쩡해 보이고 행동이 민첩치 못한 것 같다 (*用之=씀= 사용=활동함. 不可旣=다하지 못함=몸놀림을 제대로 갖추어 하지 못하는 것 같음) 이러함을 일러 말수가 적다 함인 것이다
本文 二十四章
者不立, 跨者不行. 自見者不明, 自是者不彰.自伐者無功, 自矜者不長.
기자불립, 과자불행. 자견자불명, 자시자불창.자벌자무공, 자긍자부장.
其在道, 曰餘食贅行.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기재도, 왈여식췌행.물혹악지, 고유도자불처.
* 本文 第二十四章= 발을 지겨 듸듸는 사람은 제대로 서질못하고 (*발꿈치를 들어 듸듸는 사람) 걸터앉은 사람은 제대로 갈수없다(*털썩 주저앉아 엉덩이로 밍기적거리는 행위) 자신이 잘본다 하는자는 밝지 못하고 자신이 옳다 하는자는 돋보이지 않고 자신을 자랑하는자는 공이 없어지고 스스로를 뽐내는자 (저잘난체 하는자 으시대는자 자부심 가득한한자 자신에 차있는자 등등) 는 성장치 못하고 그길있음을 말하고 무의미하게 여벌로 먹고, 없어도 될걸 군더덕이로 붙어 행함을 사물은 혹두 미워하는지라 그러므로 길에 있는자는 그런것에 머물르지 않는다
* 발 지겨 디디는 자는 바로 설 수가 없고 걸터앉은 자는 바로 행할 수가 없다 스스로 본다한다면 밝지 못할 것이고 스스로 바르다하는 자는 소견이 좁다 스스로를 자랑하려드는 자는 그 공로가 사라지며 자신을 뽐내려드는 자는 취약점의 단점만 존재하게된다
그 길이라 하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갖다가선 여벌로 먹는 행위요 군 더덕이로 행할 것이라 사물 됨에선 혹두 미워하게 된다 그러므로 길이 있다 하는 자는 그런데 머무르지 않는다 소위 돌출 난 행위 속에는 길이란 것은 존재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蘇註
人未有不能立且行者也 苟以立爲未足 而加之以 以行爲未足 而加之以跨 未有不喪 失其行立者 彼其自見自是自伐自矜者亦若是矣 譬如飮食 適飽則已 有餘則病 譬如四體 適完則已 有贅則累 .
* 소씨는 주석하대. 사람이 서고 또 행함을 잘못함이 있지 않으나 실로 섬이 흡족치 못하다해서 발지겨 듸듸딤을 덧보태기하고 행하는게 흡족치 못한게 있다해서 걸터앉아 밍기적 거림을 덧보태기 하면 그 행하고 섬을 상실치 아니할 자 있지 아니하리라 이처럼 저 자신이 밝다하고 자신이 바르다 하고 자신을 자랑하고 등 저잘난체 하는자가 역시 이와 같다 할 것이다 비유컨대 음식이 배부름에 맞으면(*포식) 그만두는 것인데 남음이 있음 병되게 여기고 비유컨대 사대육신이 멀쩡하면 그만인 것을 거기다가 군더덕이로 뭐가 붙어 있다면 이것이 도리혀 심신을 얽어매는 것으로 될 것이다
呂註
여주
之爲立 非立之常也 跨之爲行 非行之常也 則不可久 故雖立不立 雖行
기지위입 비립지상야 과지위행 비행지상야 즉불가구 고수입불립 수행
不行也 道固無我 無我則不爭 則夫自見自是自矜者 亦非其常也 故其爲道
불행야 도고무아 무아즉부쟁 즉부자견자시자긍자 역비기상야 고기위도
也 爲餘食贅行而已 夫俗人皆嗜之矣 而吾復取焉 是餘食也 性本無是 而
야 위여식취행이이 부속인개기지의 이오복취언 시여식야 성본무시 이
特侈之 是贅行也 餘食贅行 物或惡之 則有道宜其不處也 夫道處衆人之所
특치지 시취행야 여식취행 물혹오지 즉유도의기불처야 부도처중인지소
惡 而曰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何也蓋卑虛柔弱者 衆人之所惡 而去之者
오 이왈물혹오지 고유도자불처 하야개비허유약자 중인지소오 이거지자
也 故有道者處之 見是矜伐者 衆人之所惡而爭之者也 是以不處 則或處
야 고유도자처지 견시긍벌자 중인지소오이쟁지자야 시이불처 즉혹처
或不處 其爲不爭一也.
혹불처 기위부쟁일야.
* 여씨는 주석하대. 뒤꿈치를 들어 섬을 위함은, 섬의 떳떳한 모습이 아니다 (*譯者言= 몇 천년 전에 요즘 힐 높은 신을 싣는 것을 내다 봤다 할 것인가?) 걸터앉아 밍기적거려 행함을 위함은, 행함의 떳떳한 모습이 아니다 (*譯者言=요즘의 교통수단의 편한 자리가 걸터앉아 가는 모습이다) 이것은 오래 갈 수 없다 (*譯者言= 유행이 가고 에너지 고갈이 됨 그런건 오래 가지 못한다) 그런 까닭에 설것이 서지 못하고, 행할 것이 행치 못하게 된다 (*譯者言= 소위 뱀에 발을 그리고 갓다 붙인다 는게 오히려 뱀 생긴대로 배로 기어가게 하는 것만 못하다는 뜻이니 무위자연에 맡겨 두라는 것이다. 人爲的으로 作爲함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부작용이 일고 부수적인 공해가 있게 하지말고 ....... 그러나 시위를 떠난 화살이 멈출수 없듯이 그냥 그대로 굴러가게 하는 게 자연스러울지 모른다 괜히 잘 굴러가는 걸 자연으로 돌린답시고 도로 망가트릴게 없다는 것이다 ) 길은 실로 내라함이 없다 내라함이 없음 다툼이 없다 즉 대저 스스로 밝다하고 바르다하고 잘난 체 하는 자 역시 그 떳떳치 못한 게 있음이라 그러므로 길을 위하는 자는 남는 여벌을 먹고 군더덕이로 행할 따름이라 여너 사람들이 즐기고 난 다음에 내 거듭 취함을 이 남는 음식을 먹는다 함인 것이다 (*譯者言= 사자가 먹고 난 다음 재칼 하이애나 등이 먹고 독수리가 먹고 맨 마지막에 그 찌꺼기 뼈다귀는 길이 먹는다는 뜻이리라) 성품이 본대 바름이 없어서 특별나고 사치스럽게 꾸미길 잘하고 이 군더덕이로 붙쳐 행하길 좋아한다 먹는 게 남아돌아 흩찰리 되고 군더덕이로 붙쳐 행함(*낭비적 요소)을 物事(물사)는 혹두 미워하는데 그래서 길에 뜻을 둔 자는 마땅히 그런걸 행하는데 머물르지 않는다 대저 길이 머무를려 하는 것엔 여러 사람들이 미워 하는 바이라서 또 말들을 하길 物事(물사)도 혹두 미워한다 함인지라 그러므로 길에 뜻을 둔 자는 머물르지 않는 것이다 왜냐하면 대저 낮고 비고 연약하고 유약한 것을 여러 사람이 미워해서 버리는 것이다 그런 이유로 해서 길에 뜻을 둔 자는 거기에 머물른다, 밝다하고 바르다하고 자부한다하고 자랑하는 이상의 몇 가지는 여러 사람들이 (*譯者浮言=자신들의 잇속을 대변하고 위상을 제 뜻대로 나타 낼려는 속에서 서로) 미워함으로서 다투는 것이라 이래서 머무르지 않는다 즉 이래서 혹간 머물르기도 하고 혹간 머물르지 않기도 함은 그 한결같이 다투려 아니함을 위함인 것이다
朴註
박주
足不着地曰 股間夾物曰跨 者不能自立 跨者不能自行 發此兩句以明
족부착지왈기 고간협물왈과 기자불능자립 과자불능자행 발차양구이명
下四句之意 又繼之曰此於道也 猶食之餘棄行之贅 爲物所惡故 有道者不
하사구지의 우게지왈차어도야 유식지여기행지취우위물소오고 유도자불
處也 .
처야
* 박씨 주석하대. 발을 땅에다 꽉 대질 않고 서는걸 갖다 지겨 듸듼다 한다 종아리 외 허벅지 새에 물건을 끼고 않는걸 갖다 걸터 앉는다 한다 그렇게 되면 앞으로 마음대로 걸음걸이 할수 없다 지겨 듸듸는 자는 자립치 못하고 걸림 막대를 끼면 스스로 가질 못한다 이상의 두구절을 일으켜서 아랫 네구절의 뜻을 밝힘이고 또 승계해 말하대 이러함은 길에 뜻을 두는 자에 있어서 보이길, 먹고 남는 게 있어 버리는 것 같고 군덕덕이로 행케 하는 혹과 같다 이러함을 사물들이 미워하는 지라 그러므로 길에 뜻을 가진 자는 이러함에 머물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本文 二十五章
有物混成, 先天地生.寂兮寥兮, 獨立不改, 周行而不殆, 可以爲天下母 吾不
유물혼성, 선천지생.적혜요혜, 독립불개, 주행이불태, 가이위천하모 오부
知其名,字之曰道, 强爲之名曰大. 大曰逝, 逝曰遠, 遠曰反,故道大, 天大,
지기명,자지왈도, 강위지명왈대. 대왈서, 서왈원, 원왈반,고도대, 천대,
地大, 王亦大, 域中有四大, 而王居其一焉.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
지대, 왕역대, 역중유사대, 이왕거기일언.인법지, 지법천, 천법도, 도법자
然.
연.
* 本文 第二十五章= 사물이 썩이어 이루어 존재하대 먼저 하늘 땅이 생겼다 고요하고 휑하게 빔이여 독립해서 있어 고치려 들지 않는다 두루 행하여서 안 미치는 곳 없고 또 그렇게 행한다 해서 위태롭게 되지 않는다 그래서 천하의 어머니가 된다 내 그 이름을 모른다 그래서 글자를 지어 말하길 길이라 해보는 것이다 굳이 위하여 이름해서 말한다면 큰 것이라 할 것이고 큰 것은 말하길 이왕 지나간 것만 한게 없다 이왕 지나간 것은 아득하고 요원하다한다 요원한걸 갖다 그 근본 (*원위치)으로 되돌아 온 것이라 하고 되돌아 간 것이라 한다 (*譯者言= 그러므로 현 위치 또는 아무지점이던 어떤 상항의 기준이 되는위치를 가리킨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길은 광대하다 하늘도 광대하다 땅도 광대하다 왕이 치세함도 광대하다 구역을 지어보는 가운데 이상의 네 가지 큼이 존재하게된다 그중 왕이 한 것을 잡았다{(*왕이 그같이(*한가지로)머무른다)} 사람이 땅의 되어 돌아감을 법하고 땅은 하늘의 이치를 법하고 하늘은 길의 이치를 법하고 길은 자연의 원리를 법 삼는다 즉 자연의 원리를 쫓아 그 흐름에 순응하여 나아갈 지표를 삼는다 =깨닷는다.
* 태초에 사물은 혼성함을 가졌었다 하늘이 먼저고 그 다음 땅이 생기었다 고요하고 조용함이여 독립하여 고치려 들지 않았다 두루 우주에 운행하여 위태하지 않았으니 그렇게 천하의 어머니라 하였다 내 그 이름을 몰라서 글자를 지어서 말하길 길이라 하였다 강함을 위하는 명분을 갖다 붇치길 큼이라 하였다 큰 것을 갖다가선 유구한 세월이 지나 간 것이라 한다 그렇게되면 그 역사가 쌓인 것이 많게 된다 이래서 커 보인다 이래 지나 간 것을 멀다한다 먼 것을 갖다가선 되돌아 온다하는데 부메랑처럼 가서 되돌아오지 않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길은 장대하다한다 하늘도 장대하다한다 땅도 장대하다한다 왕 하는 것도 역시 유구한 역사 이래로 하였을 것이니 장대하다 한다 이렇게 크게 분야를 나눈다면 네 가지 큰 것이 존재한다할 것이다 이중에 왕 하는 것이 그 하나를 차지하고 있다 사람은 땅을 법 삼는다 [소이 땅 됨됨이의 이치를 터득 그에 순응하는 방식을 갖고 삶을 영위한다 ] 땅이 그렇게 생긴 것은 하늘을 법 삼았기 때문이고 하늘이란 또한 길을 법 삼는데 소이 길이 그렇다하는 주장을 쫓는 것을 길을 법 삼는다 하는 것이리라 길은 또 자연을 법 삼는다 자연은 저절로 그렇게 생기고 궁 굴러감을 말함이리라
蘇註
소주
夫道非淸非濁 非高非下 非去非來 非善非惡 混然而成體 其於人爲性 故
부도비청비탁 비고비하 비거비래 비선비악 혼연이성체 기어인위성 고
曰有物混成 此未有知其生者 蓋澹然常存 而天地生於其中耳 寂兮無聲 寥
왈유물혼성 차미유지기생자 개담연상존 이천지생어기중이 적혜무성 요
兮無形 獨立無匹 而未嘗變 行於群有 而未嘗殆 俯以化育萬物 則皆其母
혜무형 독립무필 이미상변 행어군유 이미상태 부이화육만물 즉개기모
矣 道本無名 聖人見萬物之無不由也 故字之曰道見萬物之莫能加也 故强
의 도본무명 성인견만물지무불유야 고자지왈도견만물지막능가야 고강
爲之名曰大 然其實則無得而稱之也 自大而求之 則逝而往矣 自往而求之
위지명왈대 연기실즉무득이칭지야 자대이구지 즉서이왕의 자왕이구지
則遠不及矣 雖逝雖遠 然反而求之一心足矣 由道言之 則雖天地與王皆未
즉원불급의 수서수원 연반이구지일심족의 유도언지 즉수천지여왕개미
足大也 然世之人 習知三者之大 而不信道之大也 故以實告之 人不若地
족대야 연세지인 습지삼자지대 이불신도지대야 고이실고지 인불약지
地不若天 天不若道 道不若自然 然使人一日復性 則此三者人皆足以盡之
지불약천 천불약도 도불약자연 연사인일일복성 즉차삼자인개족이진지
矣.
의.
* 소씨는 주석하대. 무릇 길은 맑 잖고 흐리 잖고 높 잖고 낮 잖고 가 잖고 오 잖고 착하 잖고 악하 잖아서 그렇게 썩이어 몸을 이룬다 그 사람에 있어선 성품이 되므로 말하건대 물질의 존재는 썩이어 이루어졌다 함인 것이다 이는 그 출처를 알지 못함에서이다 대저 깊이 그렇게 젖어들어 늘 상 존재해서 하늘땅이 그 가운데 만들어져 있을 뿐이다 寂(적) 즉 고요하다는 것은 소리 없음을 뜻한다 寥(요) 즉 휑하다는 것은 형체 없음을 뜻한다 독립하여 짝이 없어서 일찍이 변함이 없었으니 모든 존재에 두루 흘러 감돌아 일찍이 자신을 가리키는 뜻에 위태한 모습을 보이지 않았으며 밑으로 굽어봐선 만물을 길렀으니 곧 모든 것에 어머니라 할 것이다 길은 본대 이름이 없으나 성인이 만물이 이로 말미암아 존재치 아니함이 없었음을 보았음으로 (*성인이 모든 만물에서 그理氣(이기)가 감도는걸 관찰하였음으로) 글자를 하여 말하길 길이라 했음인 것이다 만물을 관찰하대 그 영향을 끼침을 이보다 더 유능한 것을 보지 못했음으로 굳이 이름을 위하여 말하길 광대하다했다 광대하다는 것은 그러히 알찬 면으론 얻을수 없는 것을 일컿는 뜻이다 스스로 광대함을 찾을진대 지나간 세월이 요원함이라 또 스스로 이왕 흘러간 것을 돌이켜볼진대 멀리 미치지 아니함이 없었 으리라 비록 그 흘러 쌓임이 아득하고 요원하나 그러나 돌이켜 찾는다 할진대 한마음에서 하면 유족 하리라 (*譯者言= 그러니까 모든 緣由(연유)가 一心으로부터 생겨 있다는 것이다 일심이란 것이 거리감이나 대소 경중등 제 양상에 구애되거나 식별 인식 같은 것에 얽매인 것이 아니다 또 그렇다고 고집하는 그런 것도 아니고 또 그 아니고 아니다 모든 有無의 확실성과 불확실성의 병존을 가리킨다 할 것이다 또 그 외나 그 아니다) 길의 큰 것을 말할진대 비록 하늘땅과 함께 王治者 (왕치자)가 다 유족하게 크다 할 것이나 그러나 세상 사람이 이상의 세 가지는 익히 큰 것으로 알고 있어도 길의 광대함은 믿으려 들지 않는다 알차게 고하건대 사람은 땅만 못하고 땅은 하늘만 못하고 하늘은 길만 못하고 길은 자연만 못하다 함인 것이다 그러나 사람을 시켜 하루 동안만이라도 본성으로 되돌아오게 한다면 사람이 모두 유족 함으로 닥아 가리라
呂註
여주
有氣也 有形也 有質也 而天地人之位分 可聞也 可見也 可搏也 而耳目心
유기야 유형야 유질야 이천지인지위분 가문야 가견야 가박야 이이목심
之官辨 是物也 未見氣與形質者也 氣形質渾淪而未相離者也 而視之不可
지관변 시물야 미견기여형질자야 기형질혼륜이미상이자야 이시지불가
見 聽之不可聞 搏之不可得 則其形不可得而見也 故吾不知其名而命之 其
견 청지불가문 박지불가득 즉기형불가득이견야 고오불지기명이명지 기
義可言也 故字之曰道 不知其名 以心契之也 字之曰道以義言之也 道之爲
의가언야 고자지왈도 불지기명 이심계지야 자지왈도이의언지야 도지위
物用之則彌滿六虛 而廢之莫知其所 則大豈足以名之哉 强爲之名而已 大
물용지즉미만육허 이폐지막지기소 즉대기족이명지재 강위지명이이 대
則周行而無不在 不止於吾身而已 故大曰逝 逝則遠而不禦 故逝曰遠 遠
즉주행이무불재 불지어오신이이 고대왈서 서즉원이불어 고서왈원 원
而不禦 則吾求其際而不可得也 復歸其根 而未始離乎吾身也 故遠曰反 道
이불어 즉오구기제이불가득야 복귀기근 이미시이호오신야 고원왈반 도
大天大地大王亦大 在六合之外 則大不足以言之 所謂四大者 域中而已 王
대천대지대왕역대 재육합지외 즉대부족이언지 소위사대자 역중이이 왕
者人之復命 知常容 容乃公 公乃王者也 故域中有四大 而王處一焉 王者
자인지복명 지상용 용내공 공내왕자야 고역중유사대 이왕처일언 왕자
人道之盡者也 人以有形而合於無形於地亦然 則地之所至 人亦至焉 故曰
인도지진자야 인이유형이합어무형어지역연 즉지지소지 인역지언 고왈
人法地 天之所至 地亦至焉 故曰地法天 道之所至 天亦至焉 故曰天法道
인법지 천지소지 지역지언 고왈지법천 도지소지 천역지언 고왈천법도
道則自本自根 未有天地自古以固存 而以無法爲法者也 無法也者 自然而
도즉자본자근 미유천지자고이고존 이이무법위법자야 무법야자 자연이
已 故曰道法自然.
이 고왈도법자연.
* 여씨는 주석하대. 기운의 존재와 형체의 존재와 바탕이 존재해서 하늘 땅 사람의 위치가 나누어 졌다 바르게 듣고 바르게 보고 바르게 움켜쥐는 것이 귀와 눈과 마음이 분변하는 벼슬(*소임)인 것이다 이런 것을 物性(물성)으로 표현한다면 기운과 더불어 형체 바탕이 보이지 않는 것이고 기운과 형체 바탕이 서로 썪이어서 모양이 떨어지지 않는 것이라서 보려해도 보지 못하고 들을려 해도 들리지 않고 잡을려 해도 얻지 못한다 그것은 곧 그 형체를 볼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내 그 이름을 부여 할줄 모르고 그 뜻의 표현으론 바르게 말할수 있음으로 글자 화하여 말 하대 길이라 함인 것이다 그 이름을 몰라 마음을 얽어 메어서 괴로워 하고 근심한다 글자화 하여 말하대 길이라 함은 뜻을 가진 말(*의로운 의미)의 표현을 그렇게 씀인 것이다 길이 물질을 이루며 物事(물사)를 좌지우지하며 물사에 미치는 영향과 물사에 쌓인 성향을 갖다 그 됨됨이라 하는대 그 됨됨이를 씀엔 산지사방에 그득해서 이지러지는 처소를 알수 없다 곧 그 광대한걸 무엇으로 이름하여 표현 할 것인가? 강하게 이끌어다 표현할 따름이지...... 광대하면 두루 감돌아 존재치 아니하는 곳이 없다 내 몸에 머물름만 아닐 따름이라 그러므로 광대함을 갖다 지나간 모든 것이라 함인 것이다 이왕이 오래면 멀어진 것이라 막아 버릴게 없다 그러므로 지나간 것을 요원하다하고 요원해서 막아버릴게 아니면 내 그 서로 사귐(*際=만나고 합하고 모이고 어울림 기회 極=다한곳 邊=끝간곳 이를테면 하늘가에 다달았다 할제 邊이라한 이상 모든 풀이가 際字의 의미에 해당한다 )을 찾을려 해도 얻을 수 없다 할 것이다 거듭 그 뿌리로 돌아와서 처음 시작한 내 자신에서 떠나지 아니함인지라 그러므로 요원함을 갖다 되돌아 온 것이라 함인 것이다 길이광대하고 하늘이 광대하고 땅이 광대하고 王治者(왕치자)역시 광대하다 육합(*우주)밖의 존재인즉 그 광대한 것을 말로선 유족하게 할수없는 것이다 이른바 네 가지가 크다하는 것은 육합이란 하나의 구역가운데 각 분야의 큼을 가리킬 따름이라 王者란 뜻은 사람이 본성이 부여된 대로 되돌아 와서 떳떳한 거동을 할줄 아는 자다 떳떳한 용납은(*거동은) 곧 구길게(*꿀릴게)없는 공정한 것이고 공정한 모습을 띄는 것은 왕자나 하는 일로 그러함을 띄는 자를 왕자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육합 구역 가운데 네 가지 구역이 존재하는데 왕자가 그 하나를 차지 했다 함인 것이다 왕자란 것은 사람의 길 끝간데 이룸을 뜻하는 것이니 (*대상을 사람으로 하는 길에서 그 이상 없다는 뜻임) 사람은 형체를 두어 형체없음에 합한다 땅에 있어서도 역시 그러하면 땅이 다달은 바는 사람도 역시 다달은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사람이 땅을 법삼고 하늘이 이르는 곳엔 땅도 역시 이른다 할 것임으로 말컨대 땅역시 하늘을 법 삼는다 할 것이고 길이 다달은데는 하늘 역시 이른다 할 것이므로 말하건대 하늘이 길을 법 삼는다 함인 것이다 길인즉 스스로 근본하고 스스로 뿌리 함일세라 하늘땅의 존재 예로부터 굳게 존재함이 있지 않아서 법 없음으로써 법을 삼아 존재케 된 것인지라 무법이란 것은 자연일 따름이다 그러므로 말컨대 길은 자연을 법 한다 함인 것이다
朴註
박주
寂兮[萬]寥兮[萬] 言其不可聽聞也 獨立而不改言其久也 周行而不殆 言其
적혜[만]요혜[만] 언기불가청문야 독립이불개언기구야 주행이불태 언기
通也 字者代名之稱 不知其名强爲之名亦見未易形容而不敢硬言之意逝往
통야 자자대명지칭 불지기명강위지명역견미이형용이불감경언지의서왕
也 曰逝 曰遠 所以形容其大也 曰反者復反於大也 此旣極言道體之大繼之
야 왈서 왈원 소이형용기대야 왈반자복반어대야 차기극언도체지대계지
曰道旣大矣 天地又大矣 王者以 然一身處於其間亦與之同其大 夫王者之
왈도기대의 천지우대의 왕자이묘연일신처어기간역여지동기대 부왕자지
所以爲大者 以其能法天地而合乎道也 故曰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
소이위대자 이기능법천지이합호도야 고왈인법지 지법천 천법도 도법자
然 道以自然爲貴.
연 도이자연위귀.
* 박씨 주석하대. 고요하고 휑함은 그 바르게 듣고 보지 못함을 말함이다 독립하여 고치려 들지 않는다는 것은 그 영원함을 말함이다 두루 감돌아 위태한 모습일 적이 없었다는 것은 그 통달해 막힘 없음을 말함이다 字(자)라 하는 것은 이름을 대신해 일컿는 뜻이다 (*譯者言= 號이니 字이니 또는 諡號를받고 雅號를 짓고 등의 그런 뜻의 字를 말한다 대개 보면 저명인사들이 字가 있고 兒名이 있고 雅號가 있고등 한다) 자는 여기서 그 이름을 잘 몰라서 강하게 이끌어서 이름을 삼는 것을 뜻함이니 역시 형용이 쉽지 아니한 견해로써 구태여 굳게(*확실히 그렇다) 말하지 못하는 뜻이다 逝(서)는 往(왕) 즉 지나간 것을 뜻한다 逝를 말하고 遠(원)을 말함은 형용하는 게 그 큼을 뜻한다 反者(반자) 즉 되돌아옴을 말함은 큼으로 되돌아옴을 뜻한다 이렇게 모두 극한경계에 이르는 말을 함은 길의 몸됨이 크게 승계(承繼)함을 말함이니 길은 이미 큰 것이라 하늘땅도 또한 크다 王者는 작은 모습의 한몸을 띄었지만 그새에 머물르니 역시 함께 그 큼을 같이 함인 것이다 왕자가 크다하는 것은 그 능숙하게 하늘 땅을 법 삼음으로써 길과 합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땅을 법 삼고 땅은 하늘을 법 삼고 하늘은 길을 법 삼고 길은 자연을 법 삼는다 함인 것이니 길이 자연을 법 삼기 때문에 자연이 귀함이 되는 것이다
本文 二十六章
重爲輕根, 靜爲躁君.是以聖人. 終日行, 不離輜重, 雖有榮觀, 燕處超然.奈
중위경근, 정위조군.시이성인. 종일행, 불리치중, 수유영관, 연처초연.내
何萬乘之主, 而以身輕天下. 輕則失根, 躁則失君.
하만승지주, 이이신경천하. 경즉실근, 조즉실군.
* 本文 第二十六章= 무거움은 가벼움의 뿌리가 된다 고요함은 조급함의 임금이 된다 이래서 성인이 하루동안 행함을 짐을 수레에 잔뜩 실어 무거웁듯이 그런 가짐을 지어선 그에서 떠나지 않는다 비록 영화로운 관람의 존재가 있어 연회의 자리가 있는 곳에 있더라도 그것을 뛰어 넘음이니(*超然=超越초연 초월), 내 어찌 만승의 나라 임금이 되었다 해서 (*譯者言= 옛적에 통치자는 실을 수 있는 것이 많은 것으로 崔權位(최권위)와 富强(부강)의 基準(기준)을 삼았는데 만승이란 그만큼 타고 실을수 있는 수레가 많다는 뜻으로 권위 와 부유함을 상징한다 할 것이다 = 天子(천자)를 상징하는 뜻 일수도 있다) 자신의 그러한 처지로서 천하를 가벼히 여긴다 할것인가? 가벼히 여긴즉 뿌리를 잃게되고 조급히 나댄즉 임금을 잃어 버리게 된다 할 것이다
* 무거움은 가벼움의 뿌리가 된다 고요함은 조급하게 나대려는 임금님을 위한다[소이 그래하지 못하게끔 진정시켜 도운다는 뜻] 이래서 성인 종일토록 치중 소이 무거운 처신을 떠나보지 않는다 비록 영화스런 관찰을 갖더라도 그러한 즐기는 곳에 초연한 모습을 보인다 [소이 그러한 것에 혹하여 빠져들지 않고 의젓한=의연한 자신이 지킬 품위를 지키면서 그 영화를 음미한다는 것이리라] 내 어찌 만승의 주인이 되어선 몸의 품행으로서 천하를 가볍게 여길 것인가 [또는, 가볍게 처신함으로 천하에 임한다할 것인가] 가볍게 여긴즉 근본을 잃게되고 조급하게 나댄다면 그 천하를 다스리는 임금의 지위를 잃게 된다할 것이다
蘇註
소주
凡物輕不能載重 小不能鎭大 不行者使行 不動者制動 故輕以重爲根 躁以
범물경불능재중 소불능진대 불행자사행 부동자제동 고경이중위근 조이
靜爲君 行欲輕而不離輜重 榮觀雖樂而必有燕處 重靜之不可失如此 人主
정위군 행욕경이불이치중 영관수락이필유연처 중정지불가실여차 인주
以身任天下 而輕其身 則不足以任天下矣 輕與躁無施而可 然君輕則臣知
이신임천하 이경기신 즉부족이임천하의 경여조무시이가 연군경즉신지
其不足賴 躁則君知其志於利 故曰 輕則失臣 躁則失君.
기부족뢰 조즉군지기지어이 고왈 경즉실신 조즉실군.
* 소씨는 주석하대. 물건이 가벼우면 무거움을 실는 수레를 잘 사용않하게 된다= 사용할 이유가 있겠는가? (* 소위 처신을 신중하게 하란 뜻임) (*작은 그릊이 큰 물건을 담거나 다룰수 없듯이 ) 작음이 큼을 잘 진압하지 못한다 실천함을 시킬 재질이 못 되는 자가 실천함을 시키고 (*행함을 시킬 자질이 아닌자 = 器局이 작은 사람이 행함을 시키고) 움직임을 시킬 자질이 못되는 자가 움직임을 제도하는지라 (*또 말을 바꾸어 실행치 못하는 것을 하여금 실행하고 움직이지 못할 것을 움직이는지라) 그러므로 가벼움으로써 무거움의 뿌리를 삼거나 조급함으로써 고요함의 임금을 삼거나 또 말을 바꾸어서 가벼움은 무거움으로서 뿌리를 삼고 조급함은 고요함으로서 임금을 삼는다 할진데 실천함을 가볍게 하고자 하여서 무거운 실음 가짐을 떠나지 못한다 할 것이라 (*譯者言= 안일을 추구키 위해 소임을 덜어 홀가분하게 벗어나겠다고 신중한 처신을 버리지 못 할 것이란 뜻임) 영화로움을 관람해서 비록 즐겁다 해도 반드시 연회의 자리에 있을 적에 신중하고 고요한 처신을 이같이 해서 잃치 않아야 된다는 뜻이다 사람을 다스리는 위치 임금된 몸으로써 천하의 막중한 소임을 맡아서 그 몸을 가볍게 처신하면 천하를 맡은 소임을 훌륭하게 해내지 못한다 할 것이라 가벼움과 더불어 조급한 처신은 배푸는 게 옳은 게 없다 그렇게 임금이 가볍게 처신하면 신하가 그 신하의 섬길 도리를 제대로 못 할 줄 알고 신하가 조급한즉 임금이 그 뜻이 사리사욕에 만 있는 줄 안다 그런 까닭에 말하건대 가볍게 처신한즉 신하를 읽게 되고 (*충성스런 신하가 가벼히 처신하는 임금님 밑에 붙어 있을리 만무하다) 신하가 조급하게 나대면 임금을 잃는다 함인 것이다 (*조급한 신하를 두면 일을 그릇칠 텐데 聖君이 그런신하를 召命(소명)해 쓰겠는가? 그러므로 그런 신하는 그 임금을 잃게 된다는 것이다) 譯者言=하필 주종관계에 있어서만이 아니라 누구던 사회생활에 있어서 있다고 거만하고 또 없어서 먹고 살겠다고 동동걸음만 친다면 서로 재질이 부족 한게 되고 불신이 쌓여 부실함을 맛보게 된다 할 것이다
여주
輕者先感 重者後應 應者感之所自生 則重爲輕之根矣 靜者役物 躁者役於
경자선감 중자후응 응자감지소자생 즉중위경지근의 정자역물 조자역어
物 躁常爲靜之所役 則靜爲躁之君矣 是以君子終日之間 其行爲可以約齎
물 조상위정지소역 즉정위조지군의 시이군자종일지간 기행위가이약재
矣 然猶不離輜重 則輕之不可以無重也 雖有榮觀 爲足以適矣 而必有超然
의 연유불이치중 즉경지불가이무중야 수유영관 위족이적의 이필유초연
之燕處 則躁之不可以無靜也 終日之行 與其榮觀 猶且如此 乎萬乘之主
지연처 즉조지불가이무정야 종일지행 여기영관 유차여차 황호만승지주
任重道遠 以觀天下 其可不靜且重乎 蓋迫而後動 感而後應 不得已而後
임중도원 이관천하 기가부정차중호 개박이후동 감이후응 부득이이후
起 則重矣 無爲焉 則靜矣 苟其動常在於得已之際 而不能無爲 則是以身
기 즉중의 무위언 즉정의 구기동상재어득이지제 이불능무위 즉시이신
輕天下而不重 不重則躁而不靜矣 故曰 上無爲也 下亦無爲也 是下與上同
경천하이불중 불중즉조이불정의 고왈 상무위야 하역무위야 시하여상동
德 下與上同德則不臣 下有爲也 上亦有爲也 是上與下同道 上與下同道則
덕 하여상동덕즉불신 하유위야 상역유위야 시상여하동도 상여하동도즉
不主 蓋輕則任臣之勞而代之 而臣則無爲 而與上同道 則不臣 不臣則是失
부주 개경즉임신지로이대지 이신즉무위 이여상동도 즉불신 불신즉시실
臣也 躁則忘君之逸而爲天下用 則君亦有爲 而與下同道 則不主 不主則是
신야 조즉망군지일이위천하용 즉군역유위 이여하동도 즉부주 부주즉시
失君也 故曰 輕則失臣 躁則失君 .
실군야 고왈 경즉실신 조즉실군 .
* 여씨 주석하대. 가벼운 것이란 먼저 느끼는 것이요 무거운 것이란 뒤에 상응하는 것이다 느낌이 절로 생기는 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으니 무거움이 가벼움의 뿌리가 됨에 서리라 고요한자는 사물을 부릴 위치에 서고 조급한 자는 여타사물에게 부림 받을 위치에 있게 된다 조급한 것이 늘 상 고요함을 위하여 일을 하는 것임엔 틀림없으니 고요함이 조급함의 임금이 됨에 서리라 이래서 군자 하루 동안이라도 實薦(실천) 가짐을 범절로서 묶어 단정하게 함인 것이다 그렇게 신중함에서 떠나지 않으면 재바른 행동을 할 것이 있음에서도 무거운 처신을 잃지 않게 되리라 비록 영화로움을 관람하는 위치에 있어서 여유있는 마음가짐을 가지며 (*유족하게 맞이함이 있어서), 필히 연회의 자리같은 곳에 있을 적에라도 의젓한 모습을 보이면 재바른 것에도 바르게 안존함이 없지 않을 것이다 하루를 행하는 영화로운 관람에서도 오히려 이와 같거늘 하물며 萬乘(만승)의 帝王(제왕)이 되어서 무거운 길 멀리 미치게 함을 맡음에야 천하를 관찰함으로써 그 바르게 고요하고 또 무겁게 처신하지 않는다 할 것인가? 대저 핍박(*충동. 곤란. 부딧침. 대임. 억압)을 받은 후에 움직이게 되고 감동한 후에 대응하게 된다 마지못해 한 후에 일어남인 것인즉 무거운 거동이리라 함이 없으면 곧 고요하다 진실로 그 움직임이 말려고(*고만 둘려고) 하는 사귐에서 늘상 존재해서 함 없음(*무위=고만둠)을 잘못하게 된다 (*譯者言= 능동적인 것보다 피동적인 것에서 움직임의 시작이 일어나게 되므로 뭔가 하지 않을려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는 뜻이다 즉 爲的(위적)으로 하지 말아야하고 하지 않는 게 무위 자연을 추구하는 길의 원리인데 그렇게 할수 없는 것이 피동적 인것에 상존한다는 것이다 동요의 마음을 일게 하는 것이 대상인데 대상을 靜體(정체)로 봤다는 뜻이다 소위 역자가 말하는 움직이고자 함은 서고자 함에 있고 서고자 하는 것은 움직이고자 하는 속에 있으니 저 암석은 부숴 지고자 하고 저 흐르는 유수는 웅덩이 같은 곳에 담겨 쉬고자 한다 그런 속에 有爲(유위)가 있게된다 넓은 의미에선 무위 자연 또한 이 원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할 것이다) 곧 이래서 몸으로써 천하를 가벼히 여겨서 소중하게 아니 여긴다 소중하게 아니 여기면 조급해서 고요치 못함이라 그러므로 말하길 위가 함이 없음 아래 역시 함이 없게 된다 이렇게됨 아래 위와 함께 덕이 같아지게 되고 아래가 위와 함께 덕이 같아지면 신하가 아닌 게 되고(*신하의 본연에 직분을 다하지 못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아래가 함 있음 윗 역시 함 있을 것이라 이렇게됨 위가 아래와 더불어 길이 같아지게 되고 위가 아래와 함께 길이 같아지면 임금이 아닌 것이 된다 (*임금의 직분이 없게된다) 대저 임금이 천하를 가벼히 여기면 소임을 신하가 맡게 해서 자신이할 수고로움을 대신하게 하고 신하인즉 정말로 자기가 맡은바 섬김의 직분을 다하지 못하게 되서 그렇게 됨 위와 더불어 같은 길이 되는지라 곧 신하 아닌 게 된다 신하 아닌 게 되면 이는 신하를 잃어 버린 게 되는 것이다 신하가 조급하면 임금을 섬기는 일을 잊음을 편히 여겨서 천하를 위하려는데 적용하려 든다 그러면 임금 역시 뭐 던 함이 존재케 해서 아래와 더불어 같은 길을 하게 되어 임금이 아닌 것으로 된다 (*임금의 지위가 유명무실해 진다는 뜻이리라) 임금이 아닌 것으로 되면 이는 임금을 잃어버리는 것이 되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처신을 가벼히 하면 신하를 잃고 조급하게 나대면 군주를 잃는다함이 이래서 하는 말인 것이다
朴註
박주
凡物重者下 輕者上 是重爲輕根靜者 逸躁者勞是靜爲躁君以天下億兆之衆
범물중자하 경자상 시중위경근정자 일조자노시정위조군이천하억조지중
勞而居下則重者爲根而躁者制於靜矣 以人主一身之小逸而在上 則靜者爲
노이거하즉중자위근이조자제어정의 이인주일신지소일이재상 즉정자위
君而輕者託於重矣 行後終日不離輜重 輕不捨重 榮觀當前燕處 超然靜而
군이경자탁어중의 행후종일불이치중 경불사중 영관당전연처 초연정이
制躁 君子所貴者在此 奈何爲萬乘之主而以一身之小忽 億兆之衆悉行行不
제조 군자소귀자재차 내하이만승지주이이일신지소홀 억조지중실행행불
顧任智自用終取覆亡由其不知靜躁輕重之分故也 視下也 輕則失臣下之 心
고임지자용종취복망유기불지정조경중지분고야 시하야 경즉실신하지 심
爲上而躁 則失君上之體
위상이조 즉실군상지체
* 박씨 주석하대. 대저 물질이란 것이 무거운 것은 아래로 쳐지게 되고 가벼운 것은 위로 뜨게된다 이래서 무거움으로서 가벼움의 뿌리를 삼는 것이다 고요한 것은 편안하고 조급한 것은 수고롭다 이래서 고요함으로서 조급함의 임금을 삼는 것이다 천하 억조 창생들이 수고로움으로서 밑에 머무는 것은 곧 무거운 것을 뿌리 삼기 위함이며 조급한 자들을 고요함으로써 제도하기 위함인 것이다 사람의 주인되어서 일신의 안녕 만을 꾀하지 않음으로 위(上)에 있음은 고요한 것이 임금 된 것이고 가변운자를 무거움에 의탁한 게 되리라 이러함을 실천한 후에 종일토록 무거운 처신을 떠나보내지 않은 것이니 가볍게 신중함을 놓치 않음이다 (*譯者言= 소위 신중한 처신을 하여 윗사람이 모범을 보여야 아랫사람이 잘 따르게 된다 할 것이다.) 영화스럼을 관람할게 당도한 앞이거나 연회석상에서라도 의젓한 행동은 고요함으로 조급한 행동을 제압하는 것임이니 (*주위 조성되는 분위기가 밝지만 무거우면 감히 누가 경거 망동 하겠는가?) 군자가 귀하다 하는게 바로 이러함에 있는 것이다 내어찌 만승의 임금되어서 일신의 처지를 소홀히 하여 억조 창생들의 흩틀어진 삶을 돌아보지 않을 것인가? 함인 것이니 슬기로운 지혜로 소임을 맡아 스스로 써먹음에도 마침내 엎어지고 망함을 취하는 그 말미암은 것은 고요함과 조급함과 가벼움과 무거움의 분수를 모르기 때문에 그러함인 것이다 그런까닭에 임금이 내려보길 가벼히 하면 신하의 마음을 잃고 신하가 위를 위하대 조급하게 나댄즉 임금이란 윗된몸을 잃게 된다 할 것이다
本文 二十七章
善行, 無轍迹, 善言, 無瑕謫, 善數, 不用籌策.善閉, 無關楗而不可開, 善結,
선행, 무철적, 선언, 무하적, 선수, 불용주책.선폐, 무관건이불가개, 선결,
無繩約而不可解,是以聖人, 常善求人, 故無棄人, 常善救物, 故無棄物.是謂
무승약이불가해시이성인, 상선구인, 고무기인 상선구물, 고무기물.시위
襲明, 故善人, 不善人之師, 不善人, 善人之資,不貴其師, 不愛其資, 雖
습명, 고선인, 불선인지사, 불선인, 선인지자,불귀기사, 불애기자, 수
智大迷. 是謂要妙.
지대미. 시위요묘.
* 本文 第二十七章= 착한 행실은 찍히는 자취가 없고 착한 말은 탈잡을게 없고 잘하는 계산은 셈 가지를 사용하지 않고 잘 닫히는 문은 빗장질 아니해도 삐그덕 하게 열리지 않고 매듭이 잘 지어진 건 줄로 묶지 않아도 풀리지 않는다 이래서 성인이 늘 상 착하게 사람을 구원하는지라 그런 까닭에 버려지는 사람이 없고 늘 상 물건을 잘 구원하는지라 버려질 물건이 없다 이를 일러 밝음을 드리웠다(* 밝음속에 밝게 있다는 뜻)함인 것이다 그러므로 착한 사람은 착하지 않는 사람을 스승하고 착하지 않은 사람은 착한 사람의 도움을 준다 하니 그 스승된 위치가 귀하게 여기는 게 아니요 (*불선한걸 어찌 귀하다 할 것인가?) 그 도움되는걸 사랑하지 않는다 함인 것이니(* 역자 좁은 소견에 역설적으로 내 도움된다고 불선한게 자꾸만 생겨나라 할 순 없잖는가?) 비록 큰 혼미함이라 하더라도 이런데 묘한 요점이 되는걸 알게 된다 할 것이다
* 착한 행실은 수레바퀴 찍히는 것처럼의 자취가 없다 선한 말씀은 옥에 티를 말하는 것처럼의 그러한 꾸짓을 것이 없다 좋은 셈법은 주산과 산 가치를 쓰지 않어도 셈할수 있다 잘 닫은 문은 빗장을 걸지 않아도 열리지 않는다 잘 매듭지어진 것은 굳이 끈으로 묶지 않아도 풀리지 않는다 이래서 성인은 늘 상 좋게 사람을 구한다 그러므로 버릴 사람이 없다 늘 상 착하게 사물을 구원한다 그러므로 버릴 물건이 없다
이를 일러서 그 밝음이 스며들어 있다한다 그러므로 착한 사람은 착하지 못한 사람을 그 스승으로 삼는다 착하지 못한 사람은 착한 사람을 도우는 입장에 있게 된다 [*역설적 논리를 갖다가 부치는 모습이다 ] 착한 사람을 도와주대 그 스승을 귀하게 여기지 않게 하고 그도움을 사랑하게 하지 않는다 그러한 이치를 관찰컨대 비록 지혜가 너무나도 커 보이는지라 이래 되려 큰 혼미함으로 여겨진다 이를 일러선 요점의 묘결이라 하는 것이다 * 소이 나쁜 것도 내가 지향 할바의 他山之石(타산지석)이 되니 세상에 있는 모든 다른 것이야 말할 나위 있을 건가 이런 견해이리라
蘇註
소주
乘理而行故無迹 時然後言 故言滿天下無口過 萬物之數 畢陳於前 不計而
승리이행고무적 시연후언 고언만천하무구과 만물지수 필진어전 불개이
知 安用籌算 同德之人 其於萬物 如母之於子 雖縱之而不去 故無關而能
지 안용주산 동덕지인 기어만물 여모지어자 수종지이불거 고무관이능
閉 無繩而能約 彼方挾策以計 設關以閉 持繩以結 其力之所及者少矣 聖
폐 무승이능약 피방협책이계 설관이폐 지승이결 기력지소급자소의 성
人之於人 非特容之 又善救之 我不棄人 而人安得不歸我乎 夫救人於危難
인지어인 비특용지 우선구지 아불기인 이인안득불귀아호 부구인어위난
之中 非救之大者也 方其流轉生死 爲物所蔽 而推吾至明以與之 使暗者皆
지중 비구지대자야 방기류전생사 위물소폐 이추오지명이여지 사암자개
明 如燈相傳相襲而不絶 則謂善救人矣 聖人無心於敎 故不愛其資 天下無
명 여등상전상습이불절 즉위선구인의 성인무심어교 고불애기자 천하무
心於學 故不貴其師 聖人非獨吾忘天下 亦能使天下忘我故也 聖人之妙 雖
심어학 고불귀기사 성인비독오망천하 역능사천하망아고야 성인지묘 수
智者有所不喩 故曰要妙.
지자유소불유 고왈요묘
* 소씨 주석하대. 이치를 깨우쳐서 실천함으로 찍힌 자욱이 없고 적절한 연후에 말하는지라 말씀이 천하에 가득해도 입을 허물잡지 못한다 만물에 수를 앞에 나열해서 계산치 않아도 아는데 뭘하러 셈 갓치를 쓸 것인가? 덕이 완전한사람은 그 만물에 있어서 어머니와 어린 자식간과 같다 할 것인데 비록 따로 세워 놓고 손떼지 못함과 같음이라 빗장 없어도 잘 닫히며 줄 없이도 잘 묶여 있는데 저- 방법을 쓰는 자와 셈 갓치를 가진 자는 계산함을 써서 빗장을 만들어 문을 닫고 줄을 지녀 갖곤 묶어 재키나 그 역량을 끼치는 바는 작다 성인은 사람에 있어서 특별나게 거동치 않으셔도 구원하시길 잘하신다 내가 사람을 버리지 않는데 사람이 어찌 내게 돌아오지 아니하리요 함인 것이다 대저 사람을 위난 가운데 구원하는 게 구원함의 큰 것은 아닌 것이다 바야흐로 나고 죽음이 흘러 궁글름이 물질의 폐단이 되는 것이라서 유추컨대 내 밝음에 다달은걸 더불게 하대 어두운자들로 하여금 다들 밝게 하길 등불같이 하여서 서로 전하고 서로 드리워서(*서로가 서로를 비추면 어둠이 물러간다는 뜻이리라) 끊어지지 않게 하면 이것이 곧 사람을 잘 구원하는 것이 된다 할 것이다 성인이 세속 사람과 같이 私利 營利追求(사리 영리추구)등 딴 뜻을 두어 가르침이 없는지라 그러므로 그 도움되는걸 사랑하지 않는다 천하가 딴뜻 없이 배움에 전념하는 연고로써 그 스승을 귀하다 않는다 성인이 유독 나로 하여금 천하를 망각케 않하고 역시 천하로 하여금 나를 잘 망각케 하는 이유는 성인의 묘한 점은 비록 지혜 있는 자라도 깨우치지 못할 바가 있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묘한 요점이라 하는 것이다 (*묘한걸 찾는 것이라 함인 것이다)
呂註
여주
車行則有轍 徒行則 有迹 則行固不能無轍迹者也 知行之所以行 則行出於
차행즉유철 도행즉 유적 즉행고불능무철적자야 지행지소이행 즉행출어
不行 故曰善行無轍迹 知者不言 言者不知 則言固不能無瑕謫者也 知言之
불행 고왈선행무철적 지자불언 언자불지 즉언고불능무하적자야 지언지
所以言 則言出於不言 故曰善言無瑕謫 一與言爲二 二與一爲三 自此以往
소이언 즉언출어불언 고왈선언무하적 일여언위이 이여일위삼 자차이왕
巧歷不能算 唯得一而忘言者 爲能致數 致數則其計不可窮矣 故曰善計不
교력불능산 유득일이망언자 위능치수 치수즉기계불가궁의 고왈선계불
用籌算 天門無有闢闔 闢闔在我 我則不闢 誰能開之 故曰善閉無關楗而不
용주산 천문무유벽합 벽합재아 아즉불벽 수능개지 고왈선폐무관건이불
可開 天下有常然者 約束不以 索 因其常然而結之 故曰善結無繩約而不
가개 천하유상연자 약속불이묵색 인기상연이결지 고왈선결무승약이불
可解 故行而不以此 則行不能無轍迹 言而不以此 則言不能無瑕謫 計也閉
가해 고행이불이차 즉행불능무철적 언이불이차 즉언불능무하적 계야폐
也結也 而不以此 則雖用籌算而亂 雖有關楗而開 雖有繩約而解 所存於己
야결야 이불이차 즉수용주산이란 수유관건이개 수유승약이해 소존어기
者 不能無 何 人物之救哉 聖人唯能體道以善此五者 是以常善救人而
자 불능무폐 하하인물지구재 성인유능체도이선차오자 시이상선구인이
無棄人 常善救物而無棄物矣 何則 此五者性命之理所同然者也 唯聖人以
무기인 상선구물이무기물의 하즉 차오자성명지리소동연자야 유성인이
知常之明 而救之於所同然之際耳 行之言之計之閉之結之 而莫知其所以然
지상지명 이구지어소동연지제이 행지언지계지폐지결지 이막지기소이연
則其明襲而不可得見 故曰是謂襲明 唯其善救也 故善人不善人之師 不善
즉기명습이불가득견 고왈시위습명 유기선구야 고선인불선인지사 불선
人善人之資 明人之不善 何棄之有哉 雖然 志道者妄心 善人者雖不善人之
인선인지자 명인지불선 하기지유재 수연 지도자망심 선인자수불선인지
師 而吾不知其師之爲可貴也 不善人雖善人之資 而吾不知其資之爲可愛也
사 이오불지기사지위가귀야 불선인수선인지자 이오불지기자지위가애야
不貴其師 不愛其資 則雖智者有所不知而遠迷矣 夫唯以智求之而不得 此
불귀기사 불애기자 즉수지자유소불지이원미의 부유이지구지이부득 차
道之所以爲要妙也 故曰 雖智大迷 是謂要妙.
도지소이위요묘야 고왈 수지대미 시위요묘.
* 여씨 주석하대. 수레가 행하면 수레바퀴 자국이 나고 사람이 걸어가면 발자국이 난다 즉 실로 행해서 자취가 남지 않는 것이 없을 정도다 해야할걸 알아 행하면 행할게 하지 않을 것에서 나는 것이다 (* 따지고 보면 행할 거와 행하지 않을걸 변별해서 하지 않을 것을 발판으로 해서 해야할걸 터득해서 하게되는지라 소위 밭이란 행치 못할 터요 씨앗의 發芽(발아)는 행하는 것이다 ) 그래서 하지 않을 것에서 행할게 나온다 함인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좋은 행실은 찍힌 자취가 없다는 것이다 (*譯者言= 사람이 또한 수모를 겪은 것은 머리에 오래 남지만 남에게 은덕을 입은 것은 오래 기리지 못하는 것이다 또 내가 베푼 것은 오랫동안 간직 생색거리가 되고 남에게 해로움을 입힌 것은 합리화를 성립시켜 금새 머리에서 떨쳐 버리고자 한다 할 것이다 ) 지혜로운 자는 말이 없고 수다쟁이는 슬기롭다 할 수 없다, 말 자체론 실로 탈잡을게 없는 것이나 말할 줄 알아서 말을 내는 것이라면 곧 말이란 것 또한 앞과 같은 논리에 의해 말하지 못할 것을 발판으로 해서 나오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좋은 말씀은 탈잡아 꾸짓을게 없다는 것이다. 하나(*壹)란게 말씀과 더불으면 둘이되고 { (*하나란 의미를 말씀이란 거와 연계시켜 합리화 시키면 (예로 하나란 길이요 생명이요 하늘에 말씀이다 하나란 하늘 님의 말씀을 대표한다 이런 논리전개) 둘이란 게 성립되고 즉 늘어난다.)} 이미 둘이란 의미를 이미 하나란 의미와 결부시키면 셋이 성립된다 (*譯者言= 소위 無極 太極 兩儀 方式과 가로세로 높이 방식의 時空원리일 뿐이다 三과四는 합하면 七인데 이는 짝수의 개념과 홀수의 개념에서 나왔다 홀짝이란 개념의 수합은 셋이 되는 것이다) 이로 부터 지난 업적 쌓임을 재주 가진 경력의 산술 법으로선 능숙하게 계산할게 못되는 것이라 오직 하나의 도리를 깨우침을 얻어서야만 수다(言多)를 망각하는 것이라서 유능한 수셈을 이루고 수에 통달함에 이르면 그 계산하는 것에 그렇게 궁색하지 않는다 할 것이다 그런 까닭에 말하길, 좋은 계산은 셈 가지를 쓰지 않는다 함이니 하늘이 문을 여닫음이 없고 여닫음이 내게 존재한다 내가 곧 열지 않는다면 누가 능숙하게 열 것인가? 그러므로 말하길, 잘 닫히는 문은 빗장 없어도 삐금하게 열리지 않는다 천하에 떳떳함이 그렇게 존재하는 것은 약속을 줄로써 묶지 않아도 그 그렇게 떳떳한 매듭을 지음이라 그러므로 잘 맺힌 건 줄 없이 묶은 것이라도 그렇게 잘 풀리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행함에 있어서 이러함을 쓰지 않으면 자국이 있게 되는 것이고 말씀에 있어서도 이러함을 쓰지 않으면 말함에 병탈이 잡히게 된다 계산하는 것이나 닫는 것이나 매듭짓는 것이나 등에 있어서도 이러함을 쓰지 않으면 비록 주산을 갖고 계산하더라도 어지러워지고 빗장을 지르더라도 열리고 줄로 단단히 묶는 것 같이 하더라도 풀릴 것이니 이렇게 몸에 존재하는 게 폐단이 있는데 어느 겨를에 딴 사람과 만물들을 구원한다 할 것인가? 성인은 오직 능숙하게 길을 몸 삼아서 이 다섯 가지를 잘 행한다 이래서 늘 상 사람을 잘 구원해서 버려지는 사람이 없고 늘 상 만물을 구원하길 잘해서 버려지는 물건이 없다 어떻게 하면 이 다섯 가지가 본성에 부여된 이치와 그렇게 같이 잘 합할 수 있겠는가? 그것은 오직 성인의 늘 상 그러한 밝음을 알아서 구원함을 같이하는 사귐에 있을 뿐이다 (*소위 성인이 하시는 일에 동참하는 데에 있다는 뜻임) 실행하고 말씀하고 계산하고 닫고 매듭짓고 등에 있어서 그 그렇게 할 바를 모르면 그 밝은 빛 속에서도 바르게 봄을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말하길 이를 일러 밝음을 드리우면 오직 그 잘 구원할 수 있다 함인 것이다 그러므로 착한 사람은 착하지 못한 사람을 스승하고 착하지 못한 사람은 착한 사람을 도운다 함인 것이다 사람을 착하지 않는 것이라 하는 것도 밝혀주는 것으로 되는데 뭘 버릴게 존재 할 것인가? 비록 그렇더라도 길에 뜻을 둔 자 마음을 망각하고 착한 사람이 비록 착하지 못한 사람을 스승 한다 해도 내- 그 스승의 바르게 귀함 됨을 모른다 착하지 못한 사람이 비록 착한 사람을 도우는 주체라 해도 내- 그 도움을 바르게 사랑할 줄 모른다 그 스승을 귀히 여기지 않고 그 도움을 사랑하지 않을 것 이라면 비록 지혜 있는 자라 해도 알지 못할 바가 있어서 멀어 혼미한 듯 함이라 (*이것이 뭐가 뭔지 어덜떨 하다는 뜻이리라) 대저 결론컨대 지혜로 구함을 써도 얻지 못한다는 게 이 길의 묘한 요점이 된 바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비록 지혜 있더라도 크게 혼미함이니 이를 일러 묘한 찾음(*요점, 구함.)이라 함인 것이다
朴註
박주
轍迹瑕謫籌策關鍵繩約 五者皆言有爲而有迹也 無此則無爲而無迹矣 聖人
철적하적주책관건승약 오자개언유위이유적야 무차즉무위이무적의 성인
無爲常順 自然而不見其迹 故以此爲喩 聖人之於人物見其不善則常誘而導
무위상순 자연이불견기적 고이차위유 성인지어인물견기불선즉상유이도
之 使不善者化而爲善 有哀憫之心 而無賤惡之意 故善救而無所棄 包俱
지 사불선자화이위선 유애민지심 이무천오지의 고선구이무소기병포구
容而不見好惡之迹 襲明重明也 明而又明 猶言大明也 林氏曰襲者藏也 聖
용이불견호오지적 습명중명야 명이우명 유언대명야 임씨왈습자장야 성
人未嘗有 棄人棄物之心 和光同塵而與之爲一 故曰襲明亦通資資而爲善也
인미상유 기인기물지심 화광동진이여지위일 고왈습명역통자자이위선야
聖人善救人則不善人 是聖人之所資而爲善者也 愛惜也 不愛其資言不惜其
성인선구인즉불선인 시성인지소자이위선자야 애석야 불애기자언불석기
所資也 人但知不貴其師之爲大迷而不知不愛其資之爲不可 苟不愛其資則
소자야 인단지불귀기사지위대미이불지불애기자지위불가 구불애기자즉
雖賢智之人亦同歸於大達通乎 此者可謂能得要妙之道 此引不貴師以明不
수현지지인역동귀어대달통호 차자가위능득요묘지도 차인불귀사이명불
愛資之非結無棄人無棄物之意 孟子曰 中也 養不中才也 養不才如中也 棄
애자지비결무기인무기물지의 맹자왈 중야 양불중재야 양부재여중야 기
不中才也 棄不才則賢不肖之 相去其間不能以寸 老子之意 蓋猶此也 .
부중재야 기불재즉현불초지 상거기간불능이촌 노자지의 개유차야 .
* 박씨 주석하대. 자국과 말씀의 병됨과 주산으로 계산함과 빗장과 줄로 묶음 등의 다섯 가지 비유를 듦은 모두 함이 있음 자취 있음을 말함인 것이다 이러함 없으면 함이 없는 것이라서 자취가 없어지리라 성인은 하염없이 늘상 자연에 순응해서 그 자취를 볼 수 없는 지라 그러므로 이러함으로써 깨우쳐 고한다 성인은 사람과 만물에 있어서 그 착하지 못한걸 보면 늘 상 달래어서 인도 해감에 착하지 못한 자로 하여금 변화하게 하여 착함을 위하니 슬퍼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만 있지 천박시 보거나 미워하는 뜻은 없다 그런 까닭에 잘 구원해서 버려지는바가 없고 아울러 모든 걸 용납하고 끌어안아서 좋아함과 미워함의 자취를 보이지 않는 것이다 밝음을 드리운다(*襲=습=엄습하다 불의에 쳐들어가다 잇다 계승하다 받다.)는 것은 밝음을 소중히 여긴다는 뜻이다 밝은 게 또 밝으면 오히려 큰 밝음을과 같다 임씨가 말하길 襲이라하는 것은 藏=장=갈무린다는 뜻이다 성인이 일찍이 사람을 버리거나 만물을 포기할 마음이 있지 않았으니 화락한 빛이 티끌과 같이 해서 더불음은 하나가 되기 위함인지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밝음을 드리운다 함과 뜻이 역시 통한다 할 것이다 (資=자) 즉 도와서 착하게 되게 함인 것이다 성인이 사람을 잘구원하면 착하지 못한 사람이 성인의 도우는 바로서 착한 자가 된다 愛(애)란 애석하게 여긴다 아낀다는 뜻으로도 쓴다 그 도움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 도움되는 바를 아끼지 않고 확연한 깨우침에 다달을 때까지 (*착함을 이룰 때까지) 미치는 영향력을 극대화해 쓴다는 뜻이다 사람이 다만 그 스승할게 크게 혼미해서 귀함되지 못함만 알고 그 도움되는 것이 옳치 못한 것으로 이루어 졌음을 아끼지 아니 할 줄을 모른다 진실로 그 도움되는걸 아끼지 않으면 비록 어진 지혜를 가진 자라도 역시 한가지로 큰 혼미함에 돌아간다 할 것이다 이러한 이치를 통달한자 바르게 묘한 요점의 길을 잘 얻었다 할 것이다 이러함을 이끌어서 스승이 귀하지 않아도 밝음을 쓰는 것이요 도움되는 게 그릇된 맺힘이라도 아끼지 않는 것이니 사람을 버릴게 없고 만물을 버릴게 없다는 뜻이다 (* 譯者言= 소위 知彼知己면 백전 백승이라고 뭔가 알아보겠다고 뛰어든 것이 지나치게 휩쓸린게 되어 그만 물이 들게 되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깨침을 받을려 들어간게 도리혀 악의 구렁텅이로 떨어진 것이되 지혜있는 자라도 도리혀 혼미한 것이 되어진 것이라 할 것이다 이것이 내 깨침에 도움이 되는것이라 해서 자제할 줄 모르고 덤벙거리면 저쪽의 끌어당기는 힘이 셀 땐 물이 든다는 것이다 그런걸 조금 겪고 그런걸 아니하기 위해서 기르침 받을려 들어갔던 것이 도리혀 깊게 물이 들어 나락에 떨어지면 그와 같이 혼미해졌다 할 수밖에 더 있겠는가? 가령 마약 단속반원이 마약 집단을 퇴치하겠다고 그 소굴에 들어가서 그하는 행위에 휩쓸리게 되어 손을 떼질 못할 지경에 이르렀다면 도리혀 이쪽의 정보를 저쪽의 보스에게 제공할 것인데 어찌 혼미 한데 떨어졌다 아니할 것인가? 이상의 역자의 부언에 뜻도 좀 통한다 할 것이다) 맹자 말하길 맞음이 맞지 않는걸 맞게끔 길르고 재주 있는 자가 재주 없는 자를 재주 있게 끔 길른다 할 것이니 만일 맞음이 맞지 안는 것이라 해서 버리고 재주있는 자가 재주 없는 것이라 해서 버린다면 어짊과 불초함이 서로 거리가 한마디도 잘 안될 것이라 하니 노자의 뜻은 대저 이와 같음을 뜻한다 할 것이다 * 역자 더부언 한다면 착하지 못한 사람이 착한 사람의 스승이란 뜻은 착한 사람이 착하지 못함을 보고 스스로가 그 불선 함에 물들지 않는 것을 깨우침 받는 건 둘째치고 그 착하지 못한 사람을 착함으로 이끄는데 미묘한 스승된 점이 있다는 뜻이다 즉 그러한 깨침이 있게된 원인제공자 였음으로 어떻게 됬던 (*내가 그를 선으로 이끌 그런 입지가 되었던간) 나에 스승이라는 것이다
本文 二十八章
知其雄, 守其雌, 爲天下谿.爲天下谿, 常德不離, 復歸於 兒.知其白, 守其
지기웅, 수기자, 위천하계.위천하계, 상덕불리, 복귀어영아.지기백, 수기
黑, 爲天下式,爲天下式,常德不 , 復歸於無極, 知其榮, 守其辱, 爲天下谷.
흑,위천하식,위천하식, 상덕불특, 복귀어무극, 지기영, 수기욕, 위천하곡
爲天下谷, 常德乃足, 復歸於樸.樸散則爲器. 聖人用之, 則爲官長, 故大制
위천하곡, 상덕내족, 복귀어박.박산즉위기. 성인용지, 즉위관장, 고대제
不割.
불할
* 本文 第 二十八章 = 그 숫컷을 알고 그암컷을 지킴 천하가(만물이 흐르는) 시내가 된다 시내라 하는 것은 늘상 덕이 존재하여 떠나지 않으니 거듭 어린 아기에 돌아간다 그 흰 것은 알고 그 검은 것을 지킴 천하의 방책이 된다 천하의 방책은 떳떳한 덕이 존재하여 어긋나지 않음을 뜻하니 거듭 없음이 다한 경계(無極)에 돌아간다 그 영화를 알고 그 욕됨을 지킴 천하가 골짜기가 된다 천하가 골짜기가 되면 떳떳한 덕이 이에 유족 하게 됨이라 거듭 순박함에 돌아간다 순박함이 그릇이 된다 성인이 사용하시니 곳 벼슬의 어른(官長)이 되는지라 크게 제압하려 해도(*譯者附言=어떤 것으로 든)배어 넘기지 못한다
* 그 숫것을 알아선 그 암 것을 지켜 천하라는 시내를 위한다[삼는다], 천하의 시내를 삼아선 늘 상한 덕을 떠나보내지 않아서 어린아이로 되돌아온다, 그 흰 것을 알아선 그 검은 것을 지켜 천하의 법 방식을 삼는다 천하의 법 방식을 삼게되면 늘 상한 덕이 어긋나지 않아서 다함 없음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
그 영화를 알아선 그 욕됨을 지켜선 천하의 골짜기를 삼는다 천하의 골짜기를 삼아선 늘 상한 덕이 넉넉하게 하여선 질박함으로 복귀하게 한다 질박한 것을 흩어선 그릇을 삼는다 성인이 사용하시어 가면 곧 관장이 된다 [벼슬의 장점이 된다] 그러므로 큰 제도는 베어 낼 수 없는 것이다
蘇註
소주
雌雄先後之及我者也 白黑明暗之及我者也 榮辱貴賤之及我者也 夫欲先而
자웅선후지급아자야 백흑명암지급아자야 영욕귀천지급아자야 부욕선이
惡後 欲明而惡暗 欲貴而惡賤 物之情也 然而先後之及我 不若明暗之切
오후 욕명이오암 욕귀이오천 물지정야 연이선후지급아 불약명암지절
明暗之及我 不若貴賤之深 古之聖人 去妄以求復性 其性愈明 則其守愈下
명암지급아 불약귀천지심 고지성인 거망이구복성 기성유명 즉기수유하
其守愈下 則其德愈厚 其德愈厚 則其歸愈大 蓋不知而不爲 不若知而不爲
기수유하 즉기덕유후 기덕유후 즉기귀유대 개불지이불위 불약지이불위
之至也 知其雄守其雌 知性者也 知性而爭心止 則天下之爭先者 皆將歸之
지지야 지기웅수기자 지성자야 지성이쟁심지 즉천하지쟁선자 개장귀지
如水之赴谿 莫有去者 雖然譬如 兒 能受而未能用也 故曰 復歸於 兒
여수지부계 막유거자 수연비여영아 능수이미능용야 고왈 복귀어영아
知其白守其黑 見性者也 居暗而視明 天下之明者 皆不能以形逃也 故衆明
지기백수기흑 견성자야 거암이시명 천하지명자 개불능이형도야 고중명
則之以爲法 雖應萬物 而法未嘗差用未嘗窮也 故曰復歸於無極 知其榮守
즉지이위법 수응만물 이법미상차용미상궁야 고왈복귀어무극 지기영수
其辱 復性者也 諸妄已盡處辱而無恨 曠兮如谷之虛 物來而應之 德足於此
기욕 복성자야 제망이진처욕이무한 광혜여곡지허 물래이응지 덕족어차
純性而無雜矣 故曰復歸於樸 聖人旣歸於樸 復散樸而爲器 以應萬物 譬如
순성이무잡의 고왈복귀어박 성인기귀어박 복산박이위기 이응만물 비여
人君分政以立官長 亦因其勢之自然 雖制而非有所割裂也.
인군분정이입관장 역인기세지자연 수제이비유소할열야.
* 소씨 주석하대. 암수란 앞뒤의 영향이 내게 미치는 것이다 백과 흑은 어둡고 밝음의 영향이 내게 미치는 것이다 대저 앞장 서고자해 뒷쳐짐을 미워하고 밝고자해 어둠을 미워하고 귀하고자 해 천함을 미워 하는 게 모든 만물의 뜻(情)이다 그렇더라도 선후의 영향이 내게 미치는 게 명암의 영향이 내게 간절하게 미치는 것만 못하고 어둡고 밝음의 영향이 내게 미치는 게 귀천의 영향이 내게 깊이 미치는 것만 못하다 옛 성인은 망녕됨을 버리고 본성으로 회복되는 것을 찾았으니 그 본성이 더욱 밝아지면 그 지킴의 역량은 더욱 아래로 미치게 되고 그 지킴이 더욱 밑으로 내려가면(밑에까지 영향을 준다는 뜻이리라) 그 덕이 더욱 두텁게되고 그 덕이 더욱 두텁게 되면 그에게로 돌아옴이 더욱 커지리라 대저 몰라서 하지 못하는 게 알아서 하지 않음의 극진함만 못하다(큰 유혹을 참아냄만 못하다는 뜻) 그 숫컷을 알고 그 암컷을 지킴 본성을 아는 것이다 본성을 알아서 다투려는 마음을 머물게 하면 천하 앞장서길 다투려 하는 자 다들 돌아갈려 함이(다툼을 그만둘려 하는 것이) 물이 시내에 다다를려 하나 흘러가지 못하는 것 같으리라(*이 뜻은 뭔가? 밀치고 제치고 버그워서 서로 빨리 이르려 함으로 물이 빨리 흐를수 없는 것 같다는 뜻이다) 비록 그렇더라도 어린 아기에 비유되는 것은 잘 받아선 잘 사용치 못하는지라 그런 까닭에 말하길 어린 아기로 복귀했다함인 것이다 그 흰 것을 알고 검은 것을 지킴은 본성을 보는 것이니 어둠에 머물러서 밝음을 봄 천하의 밝은 것, 다 형체 지어 도망감을 잘 못할 것이라 그럼으로 모든 게 밝은 면을 같고 법을 삼음을 쓰면 비록 만가지 물질을 응대한다해도 법이 일찍이 어긋나지 않고 씀에도 일찍이 궁색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 까닭에 말하건대 없는 극한 경계에 거듭 되돌아 옴 그 영화를 알고 그 욕됨을 지켜 본성에 돌아온 것이 된다 함인 것이다 모든 망녕됨이 이미 다(消盡)되면 욕됨에 머물러도 한됨이 없다 빈 것이여- 골짜기 빔 같아 만물이 와서 응접한다 덕성이 이에 유족하며 순수한 본성이 라서 잡되지 않음이라 그런 까닭에 질박함에 돌아갔다 함인 것이고 성인이 이미(大達覺해) 질박함에 돌아감 거듭 질박한(순수성의)덕화를 흩어펴서 그릇을 삼음으로써(좋은 이치를 만물에 적용한다 만물의 삶을 수월하게 한다) 만물을 응접하니 비유컨대 사람의 임금이 정치를 나눠 官長(*정부와 그 부속되는 공무요원 법령 제도 등)을 세우는 것 같음이니 역시 그러한 세력 은 자연으로 인함이라 비록 제압할려 해도 찢고 벨게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譯者 附言 한다면= 그러니까 길이란 것도 결국에 가선 그 목적이 천하에 임금 하는 테를 못벗어 났으니 주석을 달아 푸는 자들의 한심한 작태라 할 것이다 길이 그렇다면 뭣 하러 어지러운 논리를 전개 할 것인가? 그냥 솔직하게 힘을 길러 백성을 올라타서 제왕하면 된다 할걸 가지고 말이다 그저 역자의 심기론 마구 사람들을 짓이겨서 맛있는 거 이쁜거 빼앗아서 베푸는 너스레를 떨어가면서 임금하면 된다 할 것이다 이게 솔직한 만물의 본성인 것이다 쥬라기때 식인 공룡의 후예가 지구의 대변동기로 인해 돌연변이로 태어난게 원시인류의 원조이고 거기서 진화된게 원시인이고 그 후예가 지금의 인간인데 그저 으르렁거리고 잡아먹고 기분 내키면 그늘에서 쉬고 배곺으면 또 잡아 먹을걸 찾아다니는 게 본성인 것이다 탐욕 속에 슬기가 있고 그런 슬기 속에 감미로운 진리가 생겨나 꼬득이는 방책으로 변한게 세상 모든 좋타 하는 것이니 잇속을 따져봐서 유리한대로 행동을 지을 뿐이다
呂註
여주
雄動而雌靜 雄剛而雌柔 雄倡而雌和 知其雄守其雌 則篤靜致柔 和而不倡
웅동이자정 웅강이자유 웅창이자화 지기웅수기자 즉독정치유 화이불창
者也 故爲天下谿 谿之爲物 受於谷而輸於江海 受而不拒 輸而不積 物之
자야 고위천하계 계지위물 수어곡이수어강해 수이불거 수이부적 물지
能通而無 者也 能通則常德不離矣 人之生也 常德內仝 與物無 及爲物
능통이무오자야 능통즉상덕불이의 인지생야 상덕내동 여물무오 급위물
之所遷 則日益以離 唯能篤靜致柔 和而不倡 則常德不離 而復歸於 兒
지소천 즉일익이이 유능독정치유 화이불창 즉상덕불이 이복귀어 영아
矣 白於色爲受采 於物爲明 於行爲金 於數爲四 黑於色爲不受染 於物爲
의 백어색위수채 어물위명 어행위금 어수위사 흑어색위불수염 어물위
晦 於行爲水 於數爲一 知其白守其黑 不受萬物之染 若晦若水 終之於抱
회 어행위수 어수위일 지기백수기흑 불수만물지염 약회약수 종지어포
一 抱一 則能曲能枉能窪能 故可以爲天下式 爲天下式 無往而非一 則
일 포일 즉능곡능왕능와능폐 고가이위천하식 위천하식 무왕이비일 즉
常德不 矣 不離者 不離其故處而已 而未必能不 也 不 則不差矣
상덕불특의 불이자 불이기고처이이 이미필능불특야 불특 즉불차의 영
兒之爲物 專氣致柔 不失其一體之和而已 復歸於無極 則 兒不足以言之
아지위물 전기치유 불실기일체지화이이 복귀어무극 즉영아부족이언지
也 草木之蕃也爲榮 其謝也爲辱 人之所以爲榮辱 亦若是而已 知其榮守其
야 초목지번야위영 기사야위욕 인지소이위영욕 역약시이이 지기영수기
辱 去華歸根 雖被以天下之所甚惡 而不能累焉 故爲天下谷 谷之爲物 虛
욕 거화귀근 수피이천하지소심오 이불능누언 고위천하곡 곡지위물 허
而能盈應而不藏 而江海之源所自出者也 能爲天下谷 則反乎其源矣 故常
이능영응이불장 이강해지원소자출자야 능위천하곡 즉반호기원의 고상
德乃足 則又非特不 而已 復歸其樸 樸者眞之全 而物之混成者也 唯其混
덕내족 즉우비특불특이이 복귀기박 박자진지전 이물지혼성자야 유기혼
成而未爲器 故能大能小能曲能直 能短能長 能 能方 無施而不可則 無極
성이미위기 고능대능소능곡능직 능단능장 능환능방 무시이불가즉 무극
不足以言之也 然則守其雌 守其黑 守其辱足矣 安用知其雄與白與榮哉 蓋
부족이언지야 연즉수기자 수기흑 수기욕족의 안용지기웅여백여영재 개
守之以爲母 知之以爲子守之以爲經 知之以爲變也 樸散則爲器 器之爲物
수지이위모 지지이위자수지이위경 지지이위변야 박산즉위기 기지위물
能大而不能小 能曲而不能直 能短而不能長 能 而不能方 故聖人用之爲
능대이불능소 능곡이불능직 능단이불능장 능환이불능방 고성인용지위
官長而已 非容乃公 公乃王之道也 若夫抱樸以制天下 其視天下之理 猶
관장이이 비용내공 공내왕지도야 약부포박이제천하 기시천하지리 유포
丁之視牛 未嘗見仝牛也 行之於所無事而已 恢恢乎其於游刃有餘地矣 何
정지시우 미상견동우야 행지어소무사이이 회회호기어유인유여지의 하
事於割哉 故曰大制不割
사어할재 고왈대제불할
* 여씨 주석하대. 수컷은 움직이고 암컷은 고요하다 수컷은 강하고 암컷은 부드럽다 수컷은 부르고 암컷은 화답하니 그 수컷을 알고 암컷을 지키면 고요한 게 독실해져 부드러움에 다다른다 부르지 아니하여도 화열해 지는 것이라 그런고로 천하 흐르는 시내가 된다 시내란 생김 됨됨이가 골짜기에 물을 받아서 강과 바다로 실어 보내는 역할을 한다 받는걸 저항치 않고 수송해서 쌓지 않음에 만물이 잘 통하는 역할을 함에서 거스림이 없다 잘 통하면 늘 상한 덕이 떠나지 않으니라 사람에 삶이란 늘 상한 덕이 안에 온전하고 사물과 더불음에 거슬림이 없음 사물을 이동시키는 것을 위함에 미쳐선 날로 더욱 불리 전파 될 것이다 고요함을 독실하게 하고 부드러움에 다다름을 잘하여 부르지 않는데도 화답하면(즐거움을 누리게 하면) 늘 상한[한결같은] 덕이 떠나지 아니하여서 어린 아기에로 되돌아옴으로 되리라 흰색은 색에 있어서 칠함을 받는 입장에 있는 색이다 物(물)事(사)에 있어선 밝은게 되고 실천함에 있어선 쇠의 성질을 가진 것으로써 [*역자부언=마치 가을 낙엽 지게 하는 것처럼 숙살(생명체의 시듬)의 세력을 가졌다] 숫자로 논할 적엔 네수(四)에 해당한다 검은색은 색의 있어서 짙게 물들은 것이라 더 이상 받아 들일수 없는 입장을 뜻한다 物事(물사)에 있어서 어두운 것이 된다 행하는 것에 있어선 물(水)이 된다 숫자에 있어선 하나(壹)가 된다 그 흰 것을 알고 검은 것을 지킴 만물의 물들이려 함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어두움 같고 물 같아서 마침내 가선 하나로 끌어 안게 된다(검은색 속엔 특별나게 틜 수 없는 것이 마치호수에 잠김 여러 부식물과 같아 큰 호수는 모든 만물을 포용해 갖곤 그 어떤 것만을 돌출 나게 표현하지 않는다=흡사 블랙홀과 같음을 뜻한다 그래서 전부를 시퍼런 물 하나로 포용한 것 처럼 보인다) 그렇게 하나로 표현하면 수용치 못 할게 없는 지라 그래서 잘 꺽이고 잘 휘고 잘 파인게 되서 와서 고이게 하고 잘 헐어져서 새로움이 돋아나게 한다 그런 까닭에 바르게 천하의 방책을 삼게 된다 천하에 방책이 됨 以往(이왕)이 하나로 되지 않는 게 없어 늘 상한 덕이 어긋나지 않으리라 떠나지 않는다는 것은 그 연고 있는 것을 떠나지 않을 따름이란 뜻이니 반듯이 잘 어긋나지 아니하지 아니하리라(필이 어긋남이 있다는 뜻) 어긋나지 않으면 차등이 되는게 없으리라 어린 아기 생긴 됨됨이가 오로지 기운이 부드러움에 다다르어 그 일신의 화락 함을 잃지 않는 따름이라 다함 없는 경계에 거듭 돌아가면 아기처럼 말로서는 형언하기 부족하다(아기는 말을 구사할 줄 모르고 소리내어 운다) [* 역자부언= 응-아- 우는 애기적의 형태가 길에 가깝다는 뜻이니 때려죽인다 한들 알 것인가? 그저 세상을 아무것도 모르는 애처럼 멍청이로 만듦 길에 가깝다는 뜻이니 그렇게됨 그것이 네게 좋은 것이라는 간괴한 머리 굴리는 자의 밥이 될텐데 모든 약싹 빠른 자의 밥이 되는, 그런 게 길이라 하면 인류는 난장판 같이 되 전멸하고 말 것이니 그렇게된다면 길이란 사상의 주창은 지금 세상 사람이 생각할 때 마귀가 부르는 소리로 여겨 질뿐이다] 초목의 번성함인냐 영화로움을 위함으로써 그 절하고 물러가는 게 욕됨이 되는 것이니 사람의 영욕의 모습도 이와 같을 따름이다 그 영화로움을 알고 그 욕됨을 지켜 꽃을 버리고 뿌리로 돌아감 비록 천하가 심한 악함을 입는다 해도 (*어찌 돌보겠다는 미련에 구애되는 마음을 떨쳐버리고) 그에 잘 얽매어 들지 아니 할 것이다 그런까닭에 천하를 (흐르는)골짜기로 삼음이니 골짜기의 생긴 모습이 비어서 채워 넣길 잘하고 호응하여 숨기려들지 않아서 강과 바다의 근원이 스스로 나오는 데가 되는 것이다 천하를 골짜기로 삼길 잘하면 그 근원으로 되돌아 온 것이 되리라 그러므로 늘 상한 덕이 이에 넉넉하면 또 특별한 경우가 아니곤 어긋나지 않을 따름이라서 그 순박함(質樸함)에 복귀한 것이 되리라 그 질박한 것이란 참으로 온전하게 끔 물사의 썩임을 이룬(混成) 것이 될 것이다 (* 본성이란 길에 마음으로 되돌아옴 모든 걸 포용하고 수용해서 용납시키게 된다는 것이니 그런 큰 그릇된걸 보여주는 것이 大達한 길에 뜻을 둔 자의 모습이라 할 것이다)
결론컨대 그 혼성하여서 그릇[器(기)] 삼지 못할 것이라 그러므로 크기도 잘하고 작게도 잘하고 굽기도 잘하고 곧기도 잘하고 짧아지기도 잘하고 길어지기도 잘하고 둥굴게도 잘하고 모나게도 잘해서 펴서옳지 아니함이 없다면 지극히 유족하지 아니함이 없음을 말씀하는 것이다 그렇게되면 그 암것을 지키고 그 검은 것을 지키고 그 욕됨을 지킴이 유족함이 되리라 어떻게 하면 그 암것과 더불어 흼과 더불어 영화로움을 알 것인가? 대저 지키대 어머니로써 하고 알대 자식의 도리로써 하고 지키대 경우 길로써 하고 알대 변통으로써 할 것이라 질박함을 흩트면 그릇이 된다 그릇의 물질 됨이 잘 커서 잘 작아지지 않고 잘 굽으면서도 잘 곧아지지 않고 잘 짧아지면서도 잘 길어지지 않고 잘 둥그러지면서도 잘 모나지 않는지라 그러므로 성인이 써서 官長(관장=법체계에 필요한 여러 가지에 있어서 고임=공경= 대접 받을만한 지위나 제도 법령등 )을 삼을 따름이라 인하여 공정함을 용납지 아니 하니 공정함이란 것은 이에 제왕의 길인 것이다 (*즉 임금께서나 판결할 소임이란 뜻임= 위의 말은 줏대의 일편을 세우는 말로써 이랫다 저랬다 하여지면 지킬 법이 못된다는 것임 또 그 균형을 잡는 것도 희석된 것이라 바른 것이 못되고 오직 제왕이나 균형의 저울질할 위치에 있어 공정하게 판가름 할 것이란 뜻) 만일 무릇 질박함을 포용하면 천하 제도를 삼는다면 그 천하의 이치를 볼제 오히려 푸줏간에 건장한 소를 보고선 온전한 소고기를 맛보지 못함 같으니 [(*또는 백정이=(짐승 잡는 사람)이 소를 봄에 일찍이 똑같은 소를 보지 못함과 같아 일없는 것에서 행하였을 따름이라 그 놀리는 칼 남은 땅 있음에 넓고 넓은지라 뭘 벰에 일을 삼을 것인가? 그러므로 말하건대 큰 제도는 벨게 없다 함인 것이다)] 행함을 일없음에서 했을 따름이라 넓고 넓다 ! 그 칼날의 놀음이여 ! 무슨 일을 베어 재킨다 할 것인가? 그러므로 말하건대 큰 제도는 {(*큰 제도를 갖곤 베어 넘겨 무엇을 해치지 않는다는 뜻 *또는 큰 제도는 세상 밝히는 길이라 하는 것이라 벨게(* 손상 시킬수 없다) 못된다는 뜻)} 베지 못한다 함인 것이다
朴註
박주
知雄守雌 柔弱不爭也 知白守黑愚沌無知也 知榮守辱 恬澹寡欲也 谿谷言
지웅수자 유약부쟁야 지백수흑우돈무지야 지영수욕 념담과욕야 계곡언
能卑下而爲物所歸也 式言能含容而爲人所則也 離去也 差也 足全也
능비하이위물소귀야 식언능함용이위인소즉야 이거야 특차야 족전야 영
兒言其柔也 無極言其大也 樸言其質也 質者道之體 樸散而爲器 言道生天
아언기유야 무극언기대야 박언기질야 질자도지체 박산이위기 언도생천
地萬物也 林氏曰大樸旣散而後 有器卽形而上謂之道 形而下謂之器 聖人
지만물야 임씨왈대박기산이후 유기즉형이상위지도 형이하위지기 성인
以形而上者用形而下者 今按用者用樸也 所謂復歸於樸是也 官長 官天地
이형이상자용형이하자 금안용자용박야 소위복귀어박시야 관장 관천지
長萬物而爲道器之主也 大制不割 言以道制物無宰割之迹也 .
장만물이위도기지주야 대제불할 언이도제물무재할지적야 .
* 박씨 주석하대. 수컷을 알고 암컷을 지킴 나약한 게 다투지 않는다 흰 것을 알고 검은 것을 지킴 우둔해서 앎이 없어진다 영화를 알고 욕됨을 지킴 담백(고요함. 깨끗함) 해져 욕망이 적다 시내 골짜기란 사물을 돌아 갈 때로 잘 흘러내리게 함을 말한다 式(식)이란 잘 포용하고 먹음 어서 사람들이 법 삼는걸 말함이다 離(이)란 버려 가는 것이다 (특)이란 어긋나고 차등 됨이다 足(족)이란 온전한걸 뜻한다 兒(영아)는 그 부드러운걸 말한다 無極(무극)이란 그 큼을 말한다 樸(박)이란 그 바탕이 순박함을 말한다 바탕이란 길의 몸이다 순박함을 흩어서 그릇을 삼는다 이는 길이 천지 만물을 생하는 걸 말함이다 임씨가 말하길 큰 질박함을 다 흩은 후라야 그릇이 존재케 됨이니 형용하여 윗된 것을 길이라 하고 형체 지어 아랫된 것을 그릇이라 한다 성인은 형용하는 윗된 것을 갖고서 형용하는 아랫된 곳에 적용한다 이제 用(용)의 의미를 살핀되 질박함(순박함)을 사용하는 것을 뜻함이라 이른바 질박한데 복귀한다 함이 바로 이러한 뜻이다 官長(관장)이란 천지 만물을 다스리는 벼슬을 하여서 길이란 그릇을 주관함을 뜻함이라 큰 제도를 베지 못한다함은 길로서 만물을 제도함에서 법으로 다스린(주관한) 자취가 없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