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떤 교단에 속해 있는지?
이 교회는 어느 교파에 소속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대부분의 교회들은 교회 이름 앞에 교파명이 있는데 (예를 들면, 대한예수교 X X 교회) 이 교회는 교파명이 없어 어느 교단인지 궁금합니다. 교파명이 없다면 붙이지 않는 어떤 이유가 있는지요?
성경에는 어떤 교파도 없습니다.
대부분의 교회들이 교파에 속해 있고 교파 명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장로교, 루터교, 감리교, 침례교, 성결교, 순복음교회, 그리스도의 교회 등 각 교회마다 속한 교파(교단)명을 붙이고 있는데, 그 유래를 간략하게 살펴보는 것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1517년경 루터가 종교개혁을 시작하면서 부터 유럽 곳곳 에서 종교개혁운동이 일어났습니다. 1200여년 동안 로마 카톨릭이 종교뿐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전반을 지배해 왔습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온갖 종교의 굴레 아래 고통하던 루터의 눈을 열어 복음을 깨닫게 했던 것입니다. 그는 로마 카톨릭에 저항하여 종교개혁운동을 일으켰습니다. 그래서 루터의 종교개혁을 따르던 독일을 중심으로 루터교가 생겨났습니다.
16세기 후반에 스위스를 중심으로 쯔빙글리와 칼빈을 따르는 장로교가, 그리고 영국에서 존 웨슬레를 중심으로 감독교회인 감리교가 생기게 됩니다. 그 후에 침례교, 성결교, 오순절 계통의 교회들이 일어나게 됩니다.
조금만 생각해보면 교회가 '교파 명'을 쓰게 된 것은 지금 부터 500년이 채 안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성경의 본질적 진리가 아닌 아주 부수적인 차이로 인하여 교파와 교단이 나누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성경 어느 곳에도 교회가 나뉘는 '교파 명'을 인정하지 않으며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도리어 성경은 사람이나 제도를 따라 교회가 나뉘는 것을 책망하며, 오직 교회의 머리되신 예수 그리스도만을 중심으로 하나될 것을 가르칩니다(고전 1:10~15, 3:3~9).
또한 세상에서 주님을 알지 못하는 자들도 한 성경, 한 하나님, 한 주님을 섬기면서 여러 교파로 나누인 기독교의 모순을 비난하기도 합니다. 이는 그들이 그리스도께로 돌아오는데 우리 스스로 장애물을 놓은 부끄러운 모습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어느 교파에도 속하지 않으며 교파명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단지 교회의 머리가 되시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 속합니다.
교파가 발생한 연유를 살펴보았지만 교파는 우리 기독교의 부끄러움입니다. 따라서 교파명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잘못이 아닙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교파명을 쓰는 것이 잘못입니다. 우리는 단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의 본을 따라 지역 이름을 따라 교회 명칭을 붙입니다.
그러나 교회 역사를 기록하는 교회사가들은 우리와 같은 형태의 교회를 가리켜 '형제 교회'(Brethren church), ‘형제들’(Brethren), ‘재침례파'(Anabaptist)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모라비아 형제들', '후스 형제들', '보헤미아 형제들’, ‘플리머스 형제들' 등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플리머스 형제단 복음 운동 들 (NO.27 참조) 1831년 영국 플리머스지역에 ...... 존 넬슨 다비, 사무엘 트레겔레스, 벤자민 뉴튼, 죠지 뮬러, 헨리 크레이크, 안토니 그로브스, ... 교회사에 기록된 관련된 이들???
그러나 이러한 호칭이나 명칭도 우리 스스로 붙인 것이 아니라 다른 그리스도인들이나 교회사가들에 의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세상은 우리를 가리켜 이런 저런 별칭으로 부르지만 우리는 교파 명을 사용한 적이 없으며, 어떤 계급적 호칭도 배격합니다. 다만 거룩해졌으니 '성도'로, 믿음을 가졌으니. '신자'로, 사랑을 인하여 '형제'로, 순종을 인하여 '제자'로 경배를 인하여 '제사장'으로, 증거를 인하여 '증인'으로, 그리스도에게 속했으니 '그리스도인'으로 불려지기를 원합니다.
● 신학자들 및 목사들의 브레드린(세칭 형제교회)에 대한 평가
출처 : 헵시바 | 블로그
- https://naver.me/52hLafAg
☆ 참고 사항.
1. 기독교 형제단의 역사와 믿음
2. 기독교형제단의 기원과 확장
3. 한국 기독교계에 널리 알려진 형제들
가. 조지 뮬러(George Muller, 1805-1898): 고아의 아버지요 기도의 사람
나. E. E. 브루스(Frederick Fyvie Bruce: 1910-1990): 20세기 최고의 복음주의 신약학자
다. 짐 엘리엇(Philip Jim Elliot, 1927-1956): 불꽃처럼 타오른 순교자
라. 존 레녹스(John C. Lennox; 1943-):
C. S. 루이스 이후 최고의 기독교 변증가
4. 형제단의 교리와 실행
가. 성경만이 믿음과 실행의 유일한 기초
나.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열망과 복음전도
다. 매 주일 드리는 주의 만찬과 신자에게 베푸는 침례
라. 복수의 목회사역과 모든 신자의 사역자화
☆ 붙임 : 사진 참조.
1. 복음주의 브레드린(Brethren) 형제 모임의 정체성 : 제 1강부터 참조 [ 메뉴 no. 29 참조 ]
2. 브레드린(Brethren) 형제 모임 : 제 2강 특징?
https://youtu.be/qA18_wRsjF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