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ALC Second Test House

- 조 적 -
어제는 ALC 블럭 조적에 관련된 내용을 중점적으로 설명을 드렸습니다.
오늘의 새로운 공정은 창호 밑에 들어가는 하인방 (Sill) 작업이 진행됩니다.


- 하 인 방 작 업 -
우선 창호가 들어갈 개구부 밑 하인방 보강 부위에 철근을 올려 보강 위치를 확인해 줍니다.


- 하인방 보강부위 절단-
자 ~ 다음은 확인된 위치를 절단해야겠죠?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 합니다. 윙 ~~~~~~~


- 하인방 보강부위 확보 -
헤라(쇠주걱)로 절단된 위치를 뚝!뚝!뚝!뚝! 부러트려 철근이 들어갈 홈을 확보합니다.
절단된 조각들은 밖으로 휙휙 ~ 던져줍니다.


- 하인방 보강부위 바닥 긁기 -
빗자루로 슥슥 ~ 털어주고! 헤라및 철제 도구를 사용하여 울퉁불퉁한 바닥면도 긁어주고요 ~


- 하인방 보강부위 물축임 -
철근 보강부위에 물축임을 해주고 물이 골고루 스며들 수 있도록 빗자루로 정리 합니다.
물축임을 하는 이유는 모르터 양생시 수분을 ALC에 빼앗겨 시멘트 몰탈 양생에 방해가 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함 입니다.

- 모르터 충진 -
물축임이 완료된 위치부터 모르터를 삽입하네요?
여기서 잠깐! 철근부터 넣는 것이 아니고 모르터 부터 넣어줍니다.
그이유는? 바닥면에 모르터가 깔리고 그위에 철근을 넣어주어야 철근의 피복두께가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 하인방 보강부위 철근삽입 -
충진된 모르터 위에 철근을 살포시~ 포개어 놓고
망치로 살짝살짝 두들겨 안쪽으로 밀어 넣어 줍니다.
그리고 ~ 쭉쭉~ 밀어 면을 잡아주면 완성!



- 하인방 보강 -
다시한번 속성으로 보실까요? 잘라주고! 물축여서! 철근넣고 ~ 쭉쭉!

- 하인방 보강부위 정리 -


- 하인방 보강 완성 -
보강된 모르터 주위를 헤라(쇠주걱)로 긁으면 표면이 깔끔하게 정리 됩니다.
하인방 보강이 완성된 모습니다. 보강이 1가닥, 2가닥 들어가있는데요
해당현장의 철근이 10mm 일경우 2가닥 이상, 16mm 이상일경우 1가닥 이상으로
보강해 주시면 됩니다.

- 조 적 -



- 조적 (메쉬보강) -
하인방 보강후에 다시 조적을 위한 메쉬보강이 이뤄집니다.

일반적으로 상부에서 내려오는 하중이 집중되는 창호 주변에 사인장 균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창 하부 표면에 보강메쉬 공사를 하여야 합니다.
특히 외벽이 미장계열의 마감 일때는 전체면에 메쉬 마감을 진행해 주어야 하는데 ~
영덕 현장은 창호 하부에 보강근 + 조적면 메쉬보강 + 외벽 전체면 메쉬를 하여 취약한 부위에
혹여 발생할 크렉을 방지하고자 합니다.


- 조 적 -
메쉬 보강면 위에 조적이 진행 됩니다. 6단이 올라가네요 ~

- 6단 조적 완료 -
오늘은 내, 외벽 전체적으로 ALC 블럭 6단까지 조적을 완료 하였고
창호 위치에 하인방 철근 보강 작업을 완료 하였습니다.
내일이면 전체적인 창호 개구부의 윤곽을 확인 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늘의 내용은 이만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저희 기술연구소에서는 100 % ALL ALC 로 내진구조로 시공되고 있는 시범주택의 현장방문을
환영하고 있습니다. 현장방문을 원하시는 분들께서는 저희 기술연구소로 연락주시면
자세히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쌍용 ALC 기술연구소
1899 - 1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