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매일매일 식탁위에서는 볼수있는 음식은 김치이다. 김치는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이자 우리나라의 상징이나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저 김치가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이자 상징이라는것 만 알고 있다. 이런 김치가 만들어 지게 된 유래는 무엇일까?
김치의 기원은 삼국시대로 거슬로 올라가야 될만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인류는 오래동안 음식을 보관하기 위한 먼저 말리는 방법 즉 건조를 통해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후 인류는 소금으로 절이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발전했다. 그다음은 식품 저장방법이 나왓다 김치도 이런식품 저장 발전과정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우리조상들도 염전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이용해 식품을 절이는 방법을 개발했고 이것이 김치의 시작이다. 당시 한반도는 탄수화물이 주성분인 쌀을 주식으로 하는 농경사회 였기 때문에 비타민과 각종 미네랄을 통해 채소를 섭취했다. 그러나 4계절이 뚜렷한 기후 특징으로 한겨울에 채소를 먹을수 없게되자 염장에서 생산되는 소금으로 배추를 절이게 되었고, 이것이 점차 발전하여 오늘날의 김치가 된것이다.
삼국지 위지동전(三國志 魏地東傳)에서 고구려는 발효식품을 잘 만들어 먹었다는 얘기가 있으며,일본 문헌인 정창원고문서(正倉院古文書)는 수수보리저(須須保里菹) 즉 김치무리가 일본에 전달됐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중국 문헌인 '후주서(後周書)'등에서도 절임에 대한 기록이 있어 삼국시대에 이미 초기 형태의 김치류 제조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특히 6세기 중국 북위때의 책인 제민요술(濟民料術)에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김치 담그는 법을 소개했으며, 주로 산미료에 담그는 '엄초법' 소금과 발효 기질을 이용하는 '발효지법', 오늘날의 장아찌에 해당하는 '엄장지법'이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통일신라시대의 역사기록을 담고 있는 삼국사기(三國史記) 신문왕편에서는 혜(醯:김치무리)라는 용어가 등장하며, 김장독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돌로 만든 독이 법주사경내 현존하고 있다. 이런 점 등으로 보아 김치의 기원은 삼국시대로 보아야 할 것이다. 역사상 삼국시대는 본격적인 정착 농경생활이 발달되었던 문화적 환경이 갖추어 졌기 때문에 한반도 기후와 맞아떨어지는 소금 절임을 통한 초창기 김치가 탄생되었던 것이다.
김치는 여러가지의 재료들과 만드는사람의 정성으로 만들어진다. 그럼 김치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김치를 만드는데에는 배추 20포기(60kg), 굵은 소금 19컵(3kg), 무 10개(10kg), 쪽파 1단(400g), 갓 300g, 미나리 300g, 대파 반 단(400g), 마늘 10통(400g), 생강 3톨(100g), 고춧가루 10컵(800g), 따뜻한 물 2컵 , 새우젓 1컵(250g), 멸치젓 1컵(200g), 생굴 1컵(200g), 생새우 2컵(300g), 소금, 설탕 각 적당량 등이 필요하다.
먼저 배추를 절이기 위한 방법이다.첫째, 배추는 다듬어서 포기를 가른다. 둘째, 배추를 소금물에 담갔다 건져서 배추 줄기 쪽에 소금을 약간씩 뿌려서 가른 단면이 위로 오게 큰 독이나 큰 용기에 차곡차곡 담아 절인다. 다섯 시간쯤 후에 위아래를 바꾸어 전체가 고루 절게 한다. 셋째, 절인 배추를 깨끗이 헹구어 건져 물기를 뺀다. 포기가 큰 것은 다시 반으로 가르고 뿌리 부분을 도려낸다. 다음으로 속을 만드는 방법이다. 무를 채썰고, 쪽파. 갓, 미나리는 다듬어 씻어 4cm 길이로 썰고 대파는 흰부분만 어슷어슷하게 썬다. 생가과 마늘은 다지고 새우젓은 건더기만 건져 굵게 다지고 젓국은 남긴다. 생굴은 껍질을 골라내고 소금물에 헹궈 씻어 건지다. 생새우는 티를 골라내고 씻어 물기를 뺀 후 분마기에 곱게 간다. 무채에 고춧가루를 버무려서 빨갛게 새을 들인 후 미나리, 갓, 실파, 파를 섞고, 이어서 다진 마늘, 생강, 젓갈을 넣고 소금과 설탕으로 간을 맞춘다. 마지막으로 , 김치를 담그는 방법이다. 절인 배추의 뒤쪽부터 버무린 김치 소를 고루 섞는다. 겉잎으로 전체를 싸서 항아리나 김치통에 넣는다. 위에 우거지를 넣고 굵은 소금을 뿌린다. 지방마다 김치 만드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보통 많은사람이 김치만드는 방법을 써보았다.
이렇게 만든김치에 어떤 작용이 있을까? 먼저, 정장 작용이 있다. 김치 발효 중 아세틸 콜린을 생합성하여 장내 소화효소 분비를 촉진시키며 유산을 생성하여 미생물의 분포를 정상화시킨다. 또 유산균 생성 덱스트란 식이섬유소로서 장내 소화물질의 이동을 도와준다. 둘째, 향균 .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다. 김치 유산균이 생성하는 향균 펩타이드인 박테리오신은 장내 유해미생물의 저해 작용을 나타내며 또한 최근에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저해효과를 나타낸다. 셋째, 비타민 작용이 있다. 발효 과정 중 비타민 B군 및 C를 생합성하여 인간에 필요한 비타민을 공급한다. 넷째, 항암 작용이 있다. 여러 '김치의 항암 작용'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각종 암에 유산균의 효과가 입증돼 있으며, 이 효능은 유산균 세포벽 성분인 펩티드글리칸에 의한 것으로 일부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김치 유산균 중 특히 L. plantarum 균주는 섭취 시에 혈액 내의 고콜레스테롤을 저하하는 기능이 우수하게 하는 혈중 콜레스트롤 개선 작용이 있다. 보통 김치 담그는 시기는 서울 *경기지방은 11월 하순 부터 12월 초 까지 , 남부지방 및 동해안 지방은 12월 상순 부터 중순사이이다. 서울* 경기지방이 남부지방 및 동해안 지방보다 먼저 김치를 담그는 이유는 서울*경기 지방이 남부지방보다 더 춥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김치담그는 시기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예전보다 늦춰졌다.
이번에는 김치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김치는 지역과 재료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기본적인 재료는 같다.
먼저, 서울과 경기도 김치는 장김치, 풋고추김치, 나박김치, 통배추김치, 총각무동치미, 숙깍두기, 감동젓무김치, 섞박지, 보쌈김치, 총각김치, 깍두기 같이 짜지도 맵지도 않은 적당한 간을 지니며, 왕족과 양반이 많이 살던 곳이라 격식이 까다롭고 맵시를 중요시 여겨 모양을 예쁘고 작게 만들며 양념도 곱게 다져 사용했다.
함경도 김치는 맵게 하지만 젓갈은 조금만 사용하고 소금간을 짜지 않게 맞춘다 . 함경도 김치의 대표적인 김치로는 참나물김치, 쑥갓김치, 함경도대구깍두기, 무말랭이김치, 무청김치, 봄김치, 동치미, 가자미식혜, 채칼김치, 콩나물김치, 산갓김치 등이 있다. 평안도 지역은 음식에 기교가 없어 소박하며, 양념과 부재료를 많이 사용하지 않아 싱겁고, 맵지도 않다. 평안도는 냉면 동치미, 가지김치, 콩나물국물김치, 분디물김치, 지름섞박지, 호박김치, 김치오가리, 나복동치미, 백김치가 유명하다. 황해도는 서울* 경기 지방과 같이 서해안에 접해 있고 기후도 별로 차이나지 않아서 김치의 맛이 서로 비슷하다. 황해도는 동치미, 호박김치, 고수김치, 고추김치, 쌈김치, 섞박지 갓김치, 파김치 등이 대표적인 김치이다. 강원도 김치는 해안지방의 해산물을 원료로한 김치와 산간지방의 채소를 이용한 김치가 있다. 젓국을 많이 쓰지 않으며 동해의 싱싱한 생태와 오징어를 넣어 특색 있게 만든다. 대표적인 김치로는 더덕김치, 서거리(아가미)김치, 창란젓깍두기, 대구깍두기, 돌나물김치, 산갓김치, 오징어김치, 북어배추김치, 꽁치김치, 참나무김치등이 있다. 충청도 지방은 양념을 적게 사용하여 간도 알맞고, 서울ㆍ경기지방에 비해 담백하고 소박하다. 예를 들면, 콩나물김치, 시금치김치, 배추고갱이김치, 쪽파젓김치, 호박게국지, 박김치 등이 있으며 총각김치도 많이 담그는데 서울의 깍두기 같지 않고 양념을 적게 넣어 시원하다. 경상도 음식은 간이 세고 전라도지역보다 더 매운 편이다. 경상도 김치에는 골곰짠지(무말랭이), 부추김치, 콩잎김치, 전복김치, 깻잎김치, 곤달비김치, 통대구소박이, 씀바귀 김치, 비지미, 멸치섞박지 등이 있다. 전라도 지방은 산채, 해산물, 곡식 등 산물이 많아 음식의 종류가 다양하다. 양념을 많이 해서 맵고 짠 편이다. 전라도는 나주의 동치미, 해남의 갓김치, 돌산갓김치가 유명하다. 이밖에도 우엉김치, 양파김치, 파래김치, 고추잎김치, 고구마김치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 제주도 김치는 해물, 채소, 해초류를 이용한 김치가 있으며 이 지역의 특산물을 이용한 전복김치도 있다. 제주도는 동지김치가 유명한데, 음력정월에 밭에 남아 월동한 배추로 담근다. 이 밖에도 꿩마농김치(달래김치), 실파김치, 갓물김치, 남삐짐치(무김치), 해물김치, 꽃대김치 등이 있다.
그렇다면 김치로 만든 음식에는 무엇이 있을까? 우선대표적으로 김치로 만든 요리라 하면 김치찌개가 빠질 수 없다. 김치찌개는 된장찌개와함께 한국을 대표하는 찌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김치찌개는 일본 모 프로그램에서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찌개 1위에 오른적도 있다. 몸에 좋은 김치가 들어있다는 점과 얼큰하고 시원하다는 사람들의 평이었다. 그리고 최근 사람들은 김치 퓨전요리를 계발하고 있다. 외국인들은 매운 김치를 잘 먹기 여렵기때문에 그들의 입맛에 맞추는 것이다. 퓨전요리 목록을 살펴 보면 김치 돈까스, 김치초밥, 김치 라이스 크로켓, 김치 리조트 등이 있는데 이런 음식들은 주 재료를 김치로 하되 외국인들 입맛에 맞게 구성하였다. 외국인들도 처음에는 김치가 맵고 냄새가 난다며 싫어했지만 퓨전음식으로 인해 김치에대한 이미지가 좋아지고 있다는 평이다. 이제 세계인들도 김치를 즐겨할 수 있고 우리나라는 김치와함께 세계에 한발짝 다가갈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들어 김치를 싫어하고 먹기를 거부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김치를 거부하고 싫어하지말고 김치가 우리나라전통음식이라는것을 자랑스러워하고 김치가 얼마나 우리에게 보물같은 존재라는 것을 생각하고 깨닫자.
첫댓글 우와 맛있겠다 ^~^
너무 좋은데요 먹고싶어요 ~^^
김치가 최고죠~^*^
김치짱이죠 완전 밥도둑 아닌가요 호호~
역시 준기씨^^
라면이 먹고싶어지는 글이네요
김치 맛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