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르네오강거북 : Orlitia borneensis Gray
► 외국명 : (영) Bornean river turtle, Malaysian giant turtle, (일) Boruneokawagame (ボルネオカワガメ)
► 형 태 : 크기는 최대 갑장이 80㎝ 이상으로 돌거북科 중에서는 최대종이다. 수컷보다 암컷이 보다 크다. 등쪽 배갑은 편평하고 위에서 보면 가늘고 긴 타원형이며. 성장선은 명료하다. 배갑은 암회색이나 흑갈색을 띤다. 배갑과 복갑의 연결 부위(이음매)는 발달하며, 액하갑판(腋下甲板)과 서혜갑판(鼠蹊甲板)이 하나씩 있다. 배쪽 복갑은 대형으로 가늘고 길며, 좌우 항갑판 사이에는 깊은 홈이 패여 있다. 복갑은 담황색, 담황갈색 또는 회백색을 띤다.
머리가 크며, 폭이 넓고 두껍다. 주둥이는 약간 튀어나오고, 위턱의 끝은 갈고리 모양이고 약간 뾰족하다. 교합면은 폭이 넓고(특히 턱 관절에서 현저), 1개의 명료한 융기선이 있다. 눈과 고막 사이에는 과립상의 비늘이 띠 모양으로 늘어서 있으며, 머리 뒤쪽은 가늘고 불규칙한 비늘로 덮여 있다. 사지는 튼튼하며, 발가락에는 물갈퀴가 발달한다. 머리와 다리, 꼬리는 검은색이나 짙은 갈색이며, 머리 옆이나 아래턱, 사지의 기부는 회백색이나 회갈색이다.
알은 장경 8㎝, 단경 4㎝ 정도이다. 부화 직후의 어린 개체는 갑장 6㎝ 정도이다. 어린 개체의 등쪽 배갑은 돔 형태로 융기되어 있으며, 제2, 제3 추갑판이 가장 높다. 배갑은 위에서 보면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이다. 추갑판에는 별로 발달하지 않은 힘줄 모양의 용골(융기선)이 있으며, 뒤쪽 연갑판의 가장자리는 톱니처럼 뾰족하다. 성장함에 따라 용골이나 연갑판의 돌기는 소실된다. 어린 개체는 배쪽 복갑이 주황색인 개체도 있다. 어린 개체의 머리는 갈색이나 회갈색이며, 검은색이나 암갈색의 가는 무늬가 있거나 입가에서 뒤쪽으로 밝은 색의 줄무늬가 있는 개체도 있다.
► 설 명 : 하천이나 호수 등에 서식하며, 삼각주나 기수역에 서식하는 것도 있다. 식성은 잡식으로 생각되며, 물뱀을 잡아 먹은 예도 있다. 사육할 때에는 육상의 먹이를 물속으로 끌어들여 먹거나 육상에서 먹기도 한다. 번식 형태는 난생으로 모래톱이나 제방 등에 1번에 12~15개의 알을 낳는다.
서식지나 중국에서는 식용하기도 한다. 농지 개발, 하천 개량, 토사 채취로 인한 서식지와 산란 장소 파괴, 수질 오염, 식용을 위한 남획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서는 지역에 따라 보호 대상으로 지정하고 있지만 유효한 보호 대책은 행해지지 않았다. 1999년 1~10월에는 약 22,000마리가 말레이시아로부터 정규 수출되었다. 2003년에 워싱턴 조약II에 게재되었다.
애완용으로 사육하기도 하며, 일본 등지에서 수입하고 있다. 원래도 유통량은 많지 않았지만 워싱턴 조약에 게재됨으로써 유통량이 격감했다. 성장이 다소 빨라서 사육해도 갑장이 50㎝ 이상에 달하는 종이기 때문에 대형 케이지가 마련되지 않는 한 일반 가정에서의 사육은 불가능하다. 협조성이 떨어져 다른 개체를 물어뜯어 껍질이나 다리 및 꼬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히거나 소형 거북을 잡아먹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단독으로 사육한다. 사육할 경우에는 갑각류, 조개류, 고기, 야채를 먹으며, 배합사료나 냉동사료, 건조사료 등도 먹는다.
► 분 포 : 모식산지는 인도네시아의 보르네오섬으로 인도네시아(수마트라섬, 보르네오섬),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지에 분포한다. 종명인 ‘borneensis’는 ‘보르네오 산’이란 뜻이다.
► 비 고 : 남생이科 거북류 중에서는 가장 커서 갑장이 80㎝에 달하며, 기록에는 없지만 보르네오섬의 댐 건설 시에 1m가 넘는 개체가 발견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성장함에 다라 언린 개체일 때 보이는 등쪽 배갑의 높은 부분은 없어지며, 가늘고 긴 모양으로 된다. 요즘은 대형 개체는 매우 드물며, 식성은 육식 경향이 강하다. 저온과 어릴 때 수질 악화만 조심하면 키우기는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