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제구분 기본연구 수행시기 전반기
중장기 Code RIMS Code 2007B00140000019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
연구분야
(Code)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특용․약용
LS0205
‘08~’08
전북농업기술원
약초연구소
유영석
1) 산양삼재배환경 조사
특용․약용
LS0205
‘08~’08
유영석
색인용어 산양삼, 재배환경
Survey on the Cultivation Circumstances of Wood-Cultivated Ginseng
Young-Seok* Yu, Hee-Jun Kim**, Dong-Won Kim**, Jong-Seuk Park**, Da-Hyang
Kim**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ksan 570-704, Korea
** Jeollabuk-do ARES, Medicinal Herbs Research Institute, Jinan 567-807, Korea
ABSTRACT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to survey the cultivation circumstances
of wood-cultivated ginseng.
Wood-cultivated ginseng was cultivated about 720ha in Jeonbuk, the area was the
best extend in Jinan, next to Namwon, Muju. To conduct this experiment, survey
site located in yongdam and the ginseng was 1~6 years old.
The slope degree of mountain was intense comparatively as 15~50, and the tree
height was 15~20m so rain dropped on soil surface strongly. Soil texture was
loamy and content of gravel in field was high than other cultivation field as
commonly 50%. pH of soil was within 5.0,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was good
condition ranged as 50~70g/kg, but the content of exchangeable cations was high
than common mountain field. Although symptoms of disease occurred hardly before
the long rain season, after that the disease symptoms was showed in old year
ginseng in the early of August, but it also was seldom in young ginseng and short
term ginseng for transplant. The air temperature was the best in June as ranged 2
2~25℃ and air humidity was also the best over almost 90% in June.
Key words : Wood-Cultivated Ginseng, cultivation circumstances
- 615 -
1. 연구배경
보통 사람들은 산양삼이라는 단어를 생
소하게 느끼는 대신 산삼과 장뇌삼을 우
리 주위에서 친밀하게 학습해 왔다. 산양
삼은 말 그대로 산에서 재배하는 삼이라
할 수 있으나 조금 더 정확하게 분류한다
면 산양산삼, 산양인삼, 산식삼 등으로 분
류해 볼 수 있다. 산양산삼은 천종산삼의
종자를 사람이 채취하여 야생으로 재배하
거나 밭에 재배하여 생산한 삼이며, 산양
인삼은 산양산삼 중에 형체가 사람을 닮
고 성장이 양호한 개체를 선발하여 종자
를 채종하여 키운 삼이고 산식삼은 인삼
의 종자를 밭이 아닌 산지에 파종하여 생
산한 삼을 뜻한다. 우리가 산양삼이라고
하는 것은 산식삼에 가깝다고 할 수 있으
며 최근 너무 다양한 재배형태가 이루어
지고 있다.
천연 분포지는 북위 30도에서 48도에
이르는 지역에 자생하며, 우리나라는 33도
에서 43도범위이다. 야생삼의 자생환경조
건으로 임상이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효림
내에서 토양은 산림갈색토양으로 부식질
이 풍부하고 배수가 양호한 곳(지 등,
2002)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일반 농업인의 산양삼 재배는 경
험과 교육을 통해 나름대로 터득한 기술
을 이용하고 있는데 보다 체계적으로 재
배할 수 있는 표준재배법 정립과 보급이
이루져야 할 시기이다. 일반적으로 산양삼
재배는 지리적인 여건에 따라 크게 달라
지며 밭이나 논에서 인삼수량과 두둑높이
사이에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된 바(이
등, 1991) 이를 바탕으로 산양삼재배시 두
둑을 조성하여 지상부의 생육이 촉진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지 등, 2002). 현
재 산양삼 재배시작은 보통 인삼종자나
묘삼을 산에 파종하거나 이식을 하여 자
연상태로 두었다가 수확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자연상태에서
기르기 보다는 토양물리성과 비옥도를 개
량시켜 주고 적절한 차광 및 수분공급이
될 수 있도록 관리하면서 재배하고 있다.
산양삼의 생육지특성 및 생육년수에 따
라 효능과 체형이 달라지겠지만 일반적으
로 뇌두가 길게 성장하고 성장속도가 매
우 낮은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종자는 가
급적 농약잔류가 없는 종자가 안전성 측
면에서 바람직하며 저년생의 묘삼을 산에
올려야 그 재배지에 적응력도 놀아져 생
존율이 높아질 수 있다. 강원도 정선, 삼
척, 양양 등지에서는 100여년 전부터 산삼
종자를 채취하여 산지 임간에 직접 파종
하여 재배를 하고 있다고 하였다(임 등,
2003). 반대로 고년생의 삼을 올린 경우
적응력 및 병증 내포 가능성이 높아 생존
율이 떨어지고 농약 잔류성이 높을 수 있
다. 종자파종은 미개갑한 상태에서 파종하
여도 발아가 적합한 지점(습도와 피복정
도)에 안착되면 이듬해 봄이나 격년 후 발
아할 수 있다. 그러나 발아율은 매우 저조
할 수밖에 없지만 그 만큼 자연 적응력이
뛰어나 생존율은 개갑종자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과거 산양삼은 강원도에서 많이
재배되었다가 최근 전북 및 경남 거창에
서도 재배면적이 넓어지고 있다. 산양삼재
배지 재배환경에 대한 몇몇 연구가 보고
되고 있지만 이런 자료를 토대로 일반적
인 재배지를 선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
며 보다 다양한 지점의 기상 및 토양환경
에 조사를 통해 전북지역에서 산양삼 재
배 적지 선정 및 재배지 기상환경에 따른
- 616 -
다양한 재배 기술 개발 등까지 확대해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2.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현재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
는 산양삼의 생육특성을 이해하고 재배지
의 토양, 기상 및 지리적 특성 등을 조사
하여 산양삼 재배지 정보를 알려주고자
수행하였다. 산양삼 재배지 특성조사는
진안군 용담지역에서 6지점을 선정하였으
며, 기상, 토양 및 지리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산양삼재배지는 종자파종 및
묘삼을 이식하는 등으로 조성되었고 최고
7년근까지 재배되고 있다. 본 시험포는 대
부분 자연적으로 조성된 토양층위상태가
아니라 산양삼을 재배하기 위해 인삼재배
기술을 비교적 많이 적용하였기 때문에
물리적 특성이 변화되었다. 기온, 지온, 대
기습도는 데이터로거(MicroLog)를 설치하
여 4월부터 10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경사도는 경사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
였으며, 석력함량은 토양 1kg을 채취하여
토양을 배제한 무게를 측정하여 석력함량
으로 계산하였다.
토양 분석은 pH는 pH-meter(istek460CP),
염류농도(EC)는 conductivity meter(istek
455C)로 측정하였으며,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을
이용하여 흡광광도계로 측정하였
다. 치환성양이온 암모늄아세테이트(pH 7)
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원자흡광광도계
(varian spectrAA)를 이용하여 정량분석
하였다. 토양 용적밀도 및 공극률은 100ml
코어을 이용하여 토양을 채취한 후 건조
기에 수분을 제거한 후 계산방법에 의해
값을 산출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전북의 산양삼 재배면적은 720ha정도
이르고 있으며, 정부지원사업중 ‘임산물
소득 지원’에서 약초류의 산양삼에 지원되
었던 자료에서 얻은 결과이므로 실지로
표출되지 않은 산양삼 재배 면적을 포함
한다면 이보다 더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재배면적은 진안이 가장 넓고 무주, 남원,
완주 순이었는데 진안은 중산지이면서 산
의 지형이 크게 험난하지 않고 인삼의 주
산지이며 인삼재배에 관심과 경험이 풍부
한 농업인이 많아 그 상관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표 1. 전라북도 지역별 산양삼 재배 면적
(2007년)
지 역 면적
(ha)
생산량
(t)
재배농가
(호)
남 원 56.2 2.75 3
완 주 33 0.1 3
진 안 533 0.8 226
무 주 80 1.5 35
장 수 4 - 3
고 창 14 - 3
합 계 720.2 5.15 273
산양삼재배지의 지리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표 2>에 제시되었다. 해발고도는
대략 250~343m에 범위였으며, 경사도는
낮게는 15도에서 높은 곳은 50도에 이르
는 경사도를 보였다. 경사가 40도 이상 되
는 지점은 사람의 이동도 까다로웠으며
빗물이 떨어지면 빠르게 산 밑으로 흘러
내려 물고가 생기는 현상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산양삼 재배방향은 북향과 동
북향을 선호하는데 이는 산양삼 생육이
남향이나 남서향보다 양호하기 때문이었
- 617 -
표 2. 산양삼재배지의 지리학적 특징
지 점 해발
(m)
경사도
(°)
해가림방법 수고
(m)
방향
(°)
용담-1 250 20 해가림구조물 - 서향
용담-2 270 15 활엽수 15 남동향
용담-3 300 45 활엽수 20 서향
용담-4 257 15 해가림구조물 - 동북향
용담-5 331 50 해가림구조물 - 동북향
용담-6 343 50 활엽수 20 동향
표 3. 산양삼 재배지점별 토양 물리적 특성
지 점
토양 3상(%) 용적밀도
(g/cm3)
공극률
(%)
석력함량
고상 액상 기상 (%)
용담-1 41.8 20.8 37.4 0.90 66.0 48.7
용담-2 44.7 15.3 40.0 1.03 61.1 45.1
용담-3 39.2 16.6 44.3 0.87 67.2 58.4
용담-4 48.0 9.2 42.8 1.18 55.5 50.1
용담-5 42.9 23.6 33.5 0.90 66.0 46.0
용담-6 43.0 16.5 40.6 0.97 63.4 46.0
다(박 등, 2004).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방향에 따른 산양삼 생육 및 기상환경을
조사하기 위해 조사지점을 정하였다. 산양
삼재배지는 생산자에 의해 자연동화시키
거나 잡목 제거, 두둑 조성 등의 인위적인
작업을 통해 조성되어지는데 본 시험포장
은 인삼의 해가림 구조물을 설치, 두둑설
치, 파종거리 유지 등의 인위적인 작업을
통해 산양삼의 생존과 수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해가림 구조물 설치는
산양삼 재배지의 여건을 고려하여 해가림
높이나 차광망 종류를 바꿔가며 설치하였
다. 자연차광조건은 참나무, 상수리나무
등 활엽수가 주 수종이었으며 보통 15~
20m 정도 성장한 나무들이 무성하게 조성
되어 있다. 산 능성이 남으로 뻗고 있어
재배지는 동향, 서향이 주 방향으로 위치
하고 있다.
토양 3상은 일반재배지에 비해 일반적
으로 고상 부분이 39~48%수준으로 낮았
으나 비교적 고상률이 높은 재배지는 산
양삼을 재배하기 위해 토양 층위를 섞어
놓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결과이었다. 액상
은 비교적 재배지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
데 특히 용담-4는 9%로 산양삼이 생육하
는데 수분스트레스를 받을 정도로 낮은
수준을 보였고 다른 재배지의 액상수준은
15~23%로 이는 산양삼이 생육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범위였다.
용적밀도는 재배지를 조성하기 위해 토
- 618 -
표 4. 산양삼 재배지점별 토양 입경 분포 및 토성
토 양
입경 분포(%)
토 성*
모래(Sand) 미사(Silt) 점토(Clay)
용담-1 53.9 28.8 17.3 식양토
용담-2 55.0 25.0 20.0 식양토
용담-3 45.0 32.5 22.5 식양토
용담-4 47.9 30.6 21.5 식양토
용담-5 33.3 42.6 24.1 식양토
용담-6 50.1 31.7 18.2 식양토
* : 국제토양학회법
표 5. 산양삼 재배지점별 토양의 화학적 특성
지 점
pH
(H2O,1:5)
EC
(dS/m)
OM
(g/kg)
Avail.-
P2O5
(mg/kg)
Ex.-cations(cmol+/kg)
Ca2+ K+ Mg2+
용담-1 5.1 0.57 58.2 48.3 6.04 0.49 1.14
용담-2 5.3 0.17 79.4 10.2 6.54 0.58 1.96
용담-3 5.4 0.16 110.1 8.3 12.17 0.30 6.60
용담-4 5.1 0.12 40.2 9.7 4.32 0.15 0.88
용담-5 4.9 0.14 70.4 17.8 4.15 0.30 0.82
용담-6 5.0 0.14 78.4 14.6 6.17 0.40 2.13
양층위를 흩트린 용담-2, 용담-4 등이 비교
적 높았으며 대략적으로 0.9(g/cm3)전후를
보였다. 석력함량은 용담-3이 58%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대부분 45%이상이었
다. 재배지 토성은 시료 채취지점이 인근거
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토양입자크기별
로 함량차이는 다소 발생하였지만 식양토로
써 동일한 토성을 보였으나 용담-5는 모래
함량이 31.3%로 가장 낮은 수준이었으며,
용담-2가 55%로 가장 높았다<표 4>.
산양삼재배지의 토양 화학성 중 pH는
4.9~5.3으로 산성임을 보여주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토양의 낮은 pH는
산성모암으로부터 풍화와 여름철 집중강
우에 의한 염기성분의 유실량이 많기 때
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 등
(2003)이 인삼 임간재배지의 pH를 분석한
결과 4.5~4.8 수준으로 본 조사지가 조금
높은 수치지만 역시 산성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EC는 용담-1를 제외하고 0.1
대의 수준을 보여 일반적인 산양삼재배지
의 토양 비옥도와 비슷한 수준(안, 2005)
이었지만 용담-1은 산양삼재배지라기에는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여 이에 대한 검토
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유기물은 40~110g/kg으로 비교적 높은 수
준을 보였으며 일반 밭토양의 20g/kg에 비해
2~5배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산토
- 619 -
표 6. 산양삼 재배지점별 지상부 생육 특성
지 점
초장
(cm)
경태
(mm)
엽장
(cm)
엽폭
(cm)
분지장
(cm)
엽수
(개)
비 고
용담-1 22.9 2.3 7.9 3.9 5.5 11 7년생
용담-2 15.4 1.6 5.8 2.9 4.1 8.3 2년생
용담-3 - - - - - - 미이식
용담-4 11.1 1.2 4.8 2.4 3.9 5.6 3년생
용담-5 9.41 1.1 3.9 1.9 4.9 2년생
용담-6 21.7 2.2 7.1 2.9 1.1 13.6 6년생
표 7. 산양삼 재배지점별 지상부 병 발생 상황 조사 (조사 시기 : 8.5)
지 점 점무늬병(%) 탄저병(%) 역병(%) 비 고
용담-1 1.3* 7.78* 8.8# 7년생
용담-2 0 0 0 2년생
용담-3 - - - 미이식
용담-4 0 0 0 3년생
용담-5 0 0 8.0 2년생
용담-6 0 2.0 1.0 6년생
* : 이병엽률, # : 이병주율
양의 인산함량은 매우 낮은 상태를 보이는데
용담-3, 4가 특히 낮은 수준을 보였고 EC함
량이 높은 용담-1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인삼함량을 보였다. 치환성 양이온 중 Ca 및
Mg함량이 용담-3에서 12.6cmol+/kg으로 비교
적 높았는데 일반적으로 산토양에서 석회와
같은 성분시비 없이 높은 것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치환성-Ca는 일반적으로 산토양에
비해 조금 높은 수준이고 치환성-K는 비교적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산양산재배지별로 재배하는 인삼재배년
수가 달라 생육차이에 대한 비교분석은
어렵지만 7년생의 초장은 23cm정도로 인
삼 3년근 수준을 보였다. 용담-2는 2년생
을 4월에 이식한 상태이기 때문에 생육면
에서 인삼수준과 유사한 상황을 보였다.
재배지의 차광정도에 대한 자료는 제시되
어 있지 않지만 수목에 의한 차단과 인공
해가림 설치로 차광률은 비교적 높았으며
여 등(2003)은 산양삼의 지상부 생육은 울
폐도와의 관계성에서 울폐도 70~80%보
다 90%이상인 곳이 양호하였다고 보고하
였다.
산양삼 재배지별 지상부 병발생 상황을
조사를 8월 5일 실시하였는데 용담-1에서
점무늬병, 탄저병, 역병 등의 발생이 높았
으며 용담-5에서는 역병만 발생하였다. 용
담-2와 4는 병 발생이 없었는데 이는 산
- 620 -
표 9. 산양삼 재배지점의 월별 기상 특성
시기
용담-1 용담-2 용담-3 용담-4
기온
(℃)
대기
습도
(%)
지온
(℃)
기온
(℃)
대기
습도
(%)
지온
(℃)
기온
(℃)
대기
습도
(%)
지온
(℃)
기온
(℃)
대기
습도
(%)
지온
(℃)
4월 13.1 62.1 10.2 10.8 58.6 13.5 14.4 57.6 11.8 9.7 61.4 11.0
5월 16.9 69.4 13.8 12.7 64.4 16.3 16.4 72.2 15.3 12.0 67.3 13.4
6월 19.8 88.0 17.6 14.2 82.0 18.1 20.9 94.7 18.4 14.3 79.2 16.4
7월 25.3 96.4 22.9 19.0 92.0 22.3 24.5 93.8 22.2 19.2 87.3 21.7
8월 23.1 94.4 21.5 17.6 87.0 21.3 22.4 93.4 21.8 22.1 60.9 -
9월 19.9 92.1 18.6 14.9 88.5 18.3 19.4 91.4 19.6 19.0 62.6 -
10월 13.8 83.7 12.8 5.5 95.3 10.6 14.0 82.5 14.2 9.8 77.4 -
양삼의 재배년수가 비교적 낮고 재배지
위치가 대기습도가 많이 머물러 있는 곳
이 아닌 통풍이 잘되는 곳이었기 때문이
라 추측되었다. 장마기간에 일반적으로 식
표 8. 산양삼 재배지점별 토양수분 조사
지 점
조사 시기(월.일)
8. 5 9. 3
용담-1 16.6 19.8
용담-2 19.3 16.5
용담-3 13.6 12.7
용담-4 17.6 9.1
용담-5 17.2 23.2
용담-6 14.5 12.6
물체는 충분한 광을 받지 못하거나 과도
한 대기습도 때문에 연약한 상태로 있다
가 빗물에 병원균이 쉽게 전염되어 병 발
생이 두드러지는데 오후 광을 많이 받는
서향의 용담-1번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산
양삼 재배시 이식 후 특별한 관리 없이
자연 동화시킬 경우 재배지에 따라 병 발
생이 매우 상이하였으며 이식 3년차에 입
모율이 크게 감소하여 생존률이 매우 낮
거나 전혀 생존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
였다(김 등, 2001).
8월에 분석한 토양수분은 지점별 차이
가 4%내외로 그렇게 크지 않았지만 9월
의 토양 수분은 지점별로 큰 차이를 보였
다<표 8>. 이와 같은 이유는 8월 중 충분
한 강수가 없었고 지점별 물빠짐 차이와
지표면에서 수분 이동 차이에 의한 결과
로 보인다. 수분이 매우 낮은 지점은 수분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빠른 낙엽이 오히려 산양삼의 생육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등(2004)
은 인삼생육이 정지되는 수분함량은 양토
에서 포장용수량의 31.5%(절대함량 10.7%)
이라고 하였기 때문에 식양토에서 절대함
량이 9.1%인 용담-4는 생육이 정지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양삼 재배지점별 데이터로거를 이용
하여 기온, 지온, 대기습도를 조사한 결과
를 <표 9>에 제시하였다. 용담-5와 6지점
- 621 -
은 데이터로거의 뷸량으로 입력된 정보를
자료로 이용하기 곤란하였다. 지점별로 기
온이 크게 발생하고 있는데 용담-1과 3은
북서향이기 때문에 비교적 용담-2와 4보다
높았으며 3~4℃차이를 보여 방향에 기온
차이를 실감할 수 있었다. 대기습도는 지
점별로 차이가 발생하지만 방향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용담-4지점이 비교적 대기
습도가 낮은 결과를 보였다. 4월부터 대기
습도가 높아졌다가 7월에 가장 높고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여름장마
가 있는 시기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지온은 기온이 가장 높은 7월에는
21~22℃, 4월에는 10~13℃정도를 보였
다. 일반적으로 인삼은 10℃정도에 발아가
되기 때문에 4월 초중순부터 새눈이 성장
할 것으로 보아 빠른 지점은 4월말~5월
초 사이에 출현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적요
전라북도에서 최근 산양삼 재배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최적의 조건에서 산양삼을
재배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 단
계로 산양삼재배환경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 전라북도내 재배면적(지원면적)은
720ha에 이르며 그 중 진안이 가
장 넓고 다음으로 무주, 남원 순이
었다.
나. 산양삼재배지 조성은 농기구 등을
이용하여 개간하였고 빗물 낙수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해가림구
조 작업 후 차광망은 재배지 환경
을 고려하여 설치하였다.
다. 재배지 경사도는 15~50도로 비교적
경사도 심하였으며 수고는 15~20m
정도 성장하여 빗물의 낙하차가 크
게 발생하였다.
라. 토성은 식양토였으며, 석력함량은
보통 50%내외였고 용적밀도가 낮
은 곳은 0.9g/cm3이었다.
마. 토양 pH는 5.0수준의 산성토였으며,
유기물함량은 50~70g/kg범위로 토
양상태는 비교적 양호하였지만 치환
성-Ca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바. 병 발생은 장마 전까지 거의 발생하
지 않았지만 장마 후 8월초에는 고
년근에서 현상이 두드러졌으며 이식
년수가 낮거나 년근이 낮은 곳에서
는 발생이 적었다.
사. 연중 기온중 7월 평균기온이 가장
높은 22~25℃범위였으며 대기습도
도 7월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5. 참고문헌
지동현, 강길남. 2002. 임간 인삼재배시험.
충청남도산림환경연구소 시험연구보고
서 28:227~240
이대호, 박찬주, 송기준, 홍정근. 1991.
인삼포 두둑높이가 인삼의 생육 및 토
양물리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
15(3):197~199.
임주락, 김종엽, 박춘봉, 추병길, 김대향,
최영근, 황창연. 2003. 임간재배 인삼의
직파 및 이식 재배에 따른 생육, 한국약
용작물학회지 11(3):216~223
박무창, 심상갑, 김상웅, 김현창, 이경식.
2004. 임간인삼재배시험. 경상북도 산림
환경연구소연구보고서 pp. 158~166
안문섭. 우량인삼 생산을 위한 토양환경
요인 분석. 2005. 강원도농업기술원 연
구보고서 pp. 351~354.
- 622 -
연도(연차) 활용구분 제 목
2008년도(1년차) 논문발표 о 임간재배삼 재배환경 조사
구 분 소 속 직 급 성 명 수행업무
참여기간
‘08
과제책임자 약초연구소 농업연구사 유영석 시험연구총괄 ○
공동연구자 약초연구소 농업연구사 김동원 병해조사 ○
공동연자 약초연구소 농업연구사 김희준 생육조사 ○
공동연구자 약초연구소 농업연구사 박종숙 통계분석 ○
공동연구자 약초연구소 농업연구관 김대향 연구방향조정 ○
공동연구자 오삼농지산원 농업인 유영봉 현장지도 ○
김대향, 박춘봉, 임주락, 김순곤. 2001.
약용작물임간재배법확립연구.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연구보고서 pp. 637~696.
6. 연구결과 활용
7. 연구원 편성
이성우, 강승원, 김도용, 성낙술, 박희운.
2004. 논․밭재배에 따른 인삼의 생육
및 성분 특성 비교. 한국약용작물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