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반 벗님 여러분,
유식삼십송 쉬운 한글 번역을 (1), (2) 두 파트로 나누어 올립니다.
번역을 마치면 '독송'과 '강독'을 업로드 하겠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 현대 쉬운 한글 번역
원문, 직역 출처 : 동국역경원 데이터베이스 통합대장경
경명 : 유식삼십론송(唯識三十論頌)
약칭 : 삽십론(三十論), 유식삼십론(唯識三十論),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
별칭 : 삼십유식론(三十唯識論)
유식삼십론송(唯識三十論頌)
세친(世親) 지음 vasubandhu 4-5세기, 북인도 출신의 승려.
현장(玄奘) 한역
밥통 스피커 이문호 쉬운 한글 현대적 번역
[1]
자아와 법을 가설함으로 인하여
(자아와 법의) 갖가지 모습들이 생겨난다.
그것은 식이 전변된 것에 의지하는도다.
이 능변식은 오직 세 종류이다.
由假說我法 有種種相轉 유가설아법 유종종상전
彼依識所變 此能變唯三 피의식소변 차능변유삼
[쉬운 현대 한글 번역]
나와 세계, 몸과 시공간, 주관과 객관은 임시적 가상의 설정이다.
이 설정으로부터 우주 모든 일이 일어난다.
일체는 단일의식의 자기 변화 즉 자기 자각이다.
(생사 모든 일은 단일의식의 일인다역의 장엄한 연극이다)
단일의식은 세 가지로 작용한다.
[2]
이숙식과 사량식
및 요별경식을 말한다.
첫 번째는 아뢰야식으로서,
이숙식이며, 일체종자식이니라.
謂異熟思量 及了別境識 위이숙사량 급료별경식
初阿賴耶識 異熟一切種 초아뢰야식 이숙일체종
[쉬운 현대 한글 번역]
제8식 아뢰야식 이숙식은 깨달음의 보물창고 즉 단일의식
제7식 말라식 사량식은 나라는 생각, 이 기준점으로부터 모든 종류의 일이 일어난다.
전5식과 제6식 판단식은 감각 지각으로 대상을 구분하는 의식이다.
제8식 아뢰야식 이숙식은 세상만물이 각각 다르게 꽃피고 열매 맺지만,
일체 모든 일은 단일의식의 직접 나타남 즉 깨달음이라는 진실
[3]
감지하기 어려운 집수(執受)와 기세간[處]의 요별을 갖네.
항상 촉(觸))ㆍ작의(作意)ㆍ수(受)ㆍ상(想)ㆍ사(思)의 심소와 상응한다.
오직 사수(捨受)와 상응하네.
不可知執受 處了常與觸 불가지집수 처료상여촉
作意受想思 相應唯捨受 작의수상사 상응유사수
[쉬운 현대 한글 번역]
제8식 단일의식의 위치를 알 수 없고, 스스로 세상 만물로 나타나고 감지해서 파악하고 분명하게 구분하는 작용과 기능이 어떻게 가능한지 불가사의하다.
제8식은 감각하는 전5식, 지각하는 제6식 및 몸 안에 내(=의식)가 있다고 생각하는 제7식의 존재를 가능케 하는 영원한 원천이다.
단일의식을 어떻게 알아보고 그와 통할 수 있는가?
오직 이원성이 투명해지는 곳(不苦不樂=捨受), 즉 제7식 개인이 희박해지는 곳과 직접 통한다.
[4]
이것은 무부무기성이니,
촉 등도 역시 그러하다.
항상 폭류의 흐름처럼 유전(流轉)한다.
아라한위에서 버리네.
是無覆無記 觸等亦如是 시무부무기 촉등역여시
恒轉如暴流 阿羅漢位捨 항전여폭류 아라한위사
[쉬운 현대 한글 번역]
제8식은 덮여 가려지지 않은 채 공개돼 있고, 선악 생멸 이원성과 상관이 없다.
즉 단일하고 동일하며 불변이고 불생불멸이다.
감각 지각 생각 즉 전5식 제6식 제7식 역시 그 정체는 제8식과 동일하다.
왜 그러한가?
5식 6식 7식은 모두 제8식의 직접 나타남이고,
이원성은 임시의 가상 설정이기 때문이다.
단일의식의 일인다역의 드라마, 생사고락이 폭류처럼 흐르지만
의식의 위치와 개수에 대한 앎이 있는 곳에 폭류는 그친다.
[5]
다음은 제2능변식이다.
이 식을 말나식이라고 이름하나니,
그것(아뢰야식)에 의지해서 유전하고 그것을 반연하는도다.
사량하는 것을 자성과 행상(行相)으로 삼는다.
次第二能變 是識名末那 차제이능변 시식명말라
依彼轉緣彼 思量爲性相 의피전연피 사량위성상
[쉬운 현대 한글 번역]
제8식이 스스로 변위하여 임시 가상의 주체가 되면
이를 제7식 말라식이라 이름한다.
7식은 8식에 의지하여 운행되는데
생각하는 기능이 7식의 특성이고 모습이다.
[6]
네 가지 번뇌와 항상 함께하나니,
곧 아치와 아견과
아울러 아만과 아애이다.
그 외에 촉 등과 함께한다.
四煩惱常俱 謂我痴我見 사번뇌상구 위아치아견
幷我慢我愛 及餘觸等俱 병아만아애 급여촉등구
[쉬운 현대 한글 번역]
7식은 항상 고통과 공포의 4가지 원인을 불러오는데
그것은 어리석음, 내가 있다는 고집, 교만, 자기만을 사랑함이다.
7식은 전5식 및 제6식을 고통과 공포로 물들인다.
[7]
유부무기에 포함된다.
태어난 곳에 따라서 매이는도다.
아라한과 멸진정과
출세도에서는 (말나식이) 존재하지 않는다.
有覆無記攝 隨所生所繫 유부무기섭 수소생소계
阿羅漢滅定 出世道無有 아라한멸정 출세도무유
[쉬운 현대 한글 번역]
7식은 항상 어리석음, 내가 있다는 고집, 교만, 자기만을 사랑함으로 뒤덮이고
전5식과 제6식에 명령하여 4가지 고통을 실행하지만 스스로는 선악이 없다.
자기 선택으로 자기를 창조하고, 그 창조된 바를 따라 스스로 속박된다.
즉 생각이야말로 우주 만물의 창조자이다.
아라한 멸진정 출세도에 이르면 4가지 원인이 그친다.
[8]
다음 제3능변식은
구별하면 여섯 종류가 있나니,
대상을 요별함을 자성과 행상으로 삼는다.
(三性의 성품은) 선ㆍ불선ㆍ무기[俱非]이네.
次第三能變 差別有六種 차제삼능변 차별유육종
了境爲性相 善不善俱非 료경위성상 선불선구비
[쉬운 현대 한글 번역]
8식은 7식을 거쳐 스스로 6가지 종류의 의식으로 변위한다.
즉 감각하고 지각하는 의식이다.
6식을 재료로 삼아 대상 객관 세계를 건설하는데
그것이 6식의 특성이고 모습이다.
이 세계는 선과 불선 그리고 선도 아니고 불선도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
[9]
이것의 심소는 변행ㆍ
별경ㆍ선ㆍ번뇌ㆍ
수번뇌ㆍ부정의 심소이다.
모두 세 가지 느낌[受]과 상응한다.
此心所遍行 別境善煩惱차심소변행 별경선번뇌
隨煩惱不定 皆三受相應수번뇌부정 개삼수상응
[쉬운 현대 한글 번역]
8식은 7식을 거쳐 6식을 자기수단으로 삼아
6식의 51가지 의식 현상으로써 자기체험(자기 깨달음)을 한다.
51가지를 분류하면 변행, 별경, 선, 번뇌, 수번뇌, 부정이다.
이들 각각은 고, 락, 불고불락의 모양을 나타낸다.
(心所=의식 작용, 의식 현상)
[10]
처음의 변행심소는 촉 등이다.
다음 별경심소는 욕(欲)ㆍ
승해(勝解)ㆍ염(念)ㆍ정(定)ㆍ혜(慧)이니,
인식대상의 경계가 같지 않다.
初遍行觸等 次別境謂欲 초편행촉등 차별경위욕
勝解念定慧 所緣事不同 승해념정혜 소연사부동
[쉬운 현대 한글 번역]
8식은 6식을 수단으로 사용해서 6근(안이비설신의)과 6경(색성향미촉법)이라는 주객을 임시로 설정하고, 가상의 접촉, 자유의지, 감각감정, 이미지, 생각의 5가지로 작용한다.
(촉(觸)·작의(作意)·수(受)·상(想)·사(思), 5가지 보편적인 의식 현상=5변행심소(五遍行心所))
(6근+6경=6식, 이것은 가상의 주객 및 가상 상호작용의 가상결과)
6식에서 일어나는 특별한 5가지 의식 현상이 있다.
욕(欲)은 개인 중심 세계의 부질없음과 허망함을 혐오하여 궁극의 진실을 구하고자 하는 발심 초심을 말한다.
승해(勝解)는 궁극의 진실에 대한 가리킴을 사랑하고 그 가리킴에 귀와 가슴을 여는 것이다.
염(念)은 정견으로서 궁극의 진실을 매 순간 잊지 않는 것이다.
정(定)은 개인적 동기를 멀리하여 고통과 공포가 깃털처럼 가벼워짐을 말한다.
혜(慧)는 삶과 죽음의 진실에 대한 온전한 이해가 죽음 앞에서도 늘 현전하고 생사를 관통하여 무주상보시 즉 사랑밖에 다른 것이 없음을 말한다.
이런 5별경심소는 인연에 따라 각양각색 다르게 펼쳐진다. 이 또한 단일의식의 1인다역의 연극이기 때문이다. 당연하지 않은가?
[11]
선심소는 신(信)ㆍ참(慚)ㆍ괴(愧)와
무탐(無貪) 등 세 가지 선근과
근(勤)ㆍ안(安)ㆍ불방일(不放逸)과
행사(行捨) 및 불해(不害)이니라.
善謂信慚愧 無貪等三根 선위신참괴 무탐제삼근
勤安不放逸 行捨及不害 근안불방일 행사급불해
[쉬운 현대 한글 번역]
제6식에 11가지 좋은 것이 있다.
신(信)은 믿음이니 선현이 가리키신 궁극의 진실을 믿는 것이다.
참괴(慚愧)는 부끄러움을 아는 것이다. 즉 잘못을 즉각 인정하고 사과하고 그 손해를 최선을 다하여 보전하는 언행으로써, 무궁한 改善이 이어진다. 이것은 사실 큰 용기를 필요로 한다.
무탐 무진 무치 즉 삼독 없음을 3선근이라 말한다. 탐욕 화냄 어리석음은 모두 단지 궁극의 진실을 보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근(勤)은 근면한 것이다. 무엇에 근면한가? 늘 진실과 신실한 벗을 가까이하고 기억하며 용기를 내어 믿음이다.
안(安)은 오직 좋은 것으로부터만 가볍고 경쾌한 편안함과 안심이 온다는 뜻이다.
불방일(不放逸)은 가상 주객의 연극에 매몰될지라도 그것이 연극임을 늘 아는 것이다. 즉 오해를 정견으로 대체하는 일이 저절로 연속되는 것이다.
행사(行捨)는 부질없고 덧없는 일에 에너지를 쏟지 않고 역으로 진실에 에너지를 사용함이다.
불해(不害)는 해를 끼치지 않음이니, 일심 단일의식 자신이 어찌 자기 자신에게 해를 끼치겠는가? 불해는 곧 무한한 사랑이다.
[12]
번뇌심소는 탐(貪)ㆍ진(瞋)ㆍ
치(癡)ㆍ만(慢)ㆍ의(疑)ㆍ악견(惡見)이니라.
수번뇌 심소는 분(忿)ㆍ
한(恨)ㆍ부(覆)ㆍ뇌(惱)ㆍ질(嫉)ㆍ간(慳)ㆍ
煩惱謂貪瞋 癡慢疑惡見 번뇌위탐진 치만의악견
隨煩惱謂忿 恨覆惱嫉慳 수번뇌위분 한부뇌질간
[쉬운 현대 한글 번역]
제6식에 좋지 않은 것, 즉 번뇌(고통과 공포)가 있는데, 총론적으로 말하면 6가지이고 각론적으로 말하면 20가지이다.
고통과 공포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의식 현상으로서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탐(貪)은 분수에 맞지 않는, 과도한, 필요 이상의, 돈과 재물, 권력, 명예, 여자, 남자를 갈구하는 것이다. 스스로 만드는 가장 큰 고통이고 공포이다.
진(瞋)은 탐하고 기대하고 의지한 것이 어그러짐에서 오는 분노이다.
치(癡)는 ‘평등하고 단일하고 동일한 의식’을 발견하지 않고 혹은 그 가리킴을 즐겨 듣지 않고, 개인으로 몰입되어 스스로 갈애와 분노를 일으키는 어리석음이다. 자승자박이다.
만(慢)은 교만하고 자만하고 오만하게 언행하는 것이다. 이것은 스스로가 스스로에게 가하는 큰 고통이다.
의(疑)는 선각의 가리킴을 의심하는 것이다. 믿음으로 다스릴 수 있다.
악견(惡見)은 정견(正見)의 반대말이다. 의식의 위치와 개수에 대한 오해야말로 가장 큰 악견이다. 인류의 문화와 문명 그 자체를 악견이라 이름한다.
다음으로 20가지 좋지 않은 각론적 의식 현상을 말한다.
분한(忿恨)은 억울하고 한스러운 마음이다. 피해자의식이며 피해자 코스프레이다. 분한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당연히 위 6가지 근본 고통으로부터 파생한다.
부(覆)는 자기 책임과 자기 잘못을 타로 돌려 전가(轉嫁) 부담시키는 防禦기제이다. 개인은 이렇게 하여 책임과 잘못으로부터 해방된다고 여기지만 결과는 거꾸로 되어, 고통과 공포가 더욱 커지기만 한다.
뇌(惱)는 고통과 공포가 스스로 만드는 것임을 눈치채지 못하여, 고통과 공포가 일상화되어 여러 가지 정신적 육체적 질환으로 현출하는 의식 현상이다.
질(嫉)은 그리하여 남은 것은 시기 질투 이간질 이중플레이 등이고 이로써 악역을 스스로 맡아 연기하게 된다.
간(慳)은 스스로 만든 고통과 공포의 일상화 안에서 어찌 포용하고 베풀고 너그럽고 사랑하는 마음이 나타날 수 있을까?
[13]
광(誑)ㆍ첨(諂)과 해(害)ㆍ교(憍)ㆍ
무참(無慚) 및 무괴(無愧),
도거(掉擧)와 혼침,
불신 아울러 해태(懈怠),
誑諂與害憍 無慚及無愧 광첨여해교 무참급무괴
掉擧與惛沈 不信幷懈怠 도거여혼침 불신병해태
[쉬운 현대 한글 번역]
광(誑)은 속이고 사기 쳐 타인의 재산을 도둑질하는 것이다.
첨(諂)은 아첨해서 일거에 횡재하거나 권력을 얻으려는 의식이다.
해(害)는 이익을 위해서 해를 가하는 것이다.
교(憍)는 거만 방자하게 함부로 까불고 날뛰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드디어 내가 깨달았다”라고 외치는 것이다.
무참(無慚) 및 무괴(無愧)는 무책임과 잘못에 대하여 부끄러움을 모르는 것이다.
도거(掉擧)는 들뜨고 흔들리고 요동치는 것이다.
혼침(惛沈)은 지엽말단에 쏠려 중심을 잡지 못하고 항상 주변부를 맴도는 귀신의 방랑 현상이다.
불신(不信)은 진실을 듣고도 용기를 내지 못하여 개인 습관에 굴복하고 의심을 일상화하는 것이다.
해태(懈怠)는 습관에 굴복하여 아무것도 하지 않지만, 마음은 매우 급해지는 것이다.
[14]
방일(放逸) 및 실념(失念),
산란(散亂)ㆍ부정지(不正知)이다.
부정심소는 회(悔)ㆍ면(眠)ㆍ
심(尋)ㆍ사(伺)이니, 둘에 각각 둘이 있네.
放逸及失念 散亂不正知 방일급실념 산란부정지
不定謂悔眠 尋伺二各二 부정위회면 심사이각이
[쉬운 현대 한글 번역]
방일(放逸)은 ‘궁극의 진실’, ‘궁극의 해답’에 대하여 발심하기는커녕 오히려 염증을 일으킨다. 그리고는 불가지론, 무신론, 맹신주의, 인본주의, 뉴에이지, 과학주의, 철학 등 기만적 프레임에 빠진다. 그러고는 “나는 미신적이지 않고 현대적인 스마트한 이성적 인간이다”라고 자만한다. 그 결과는 다른 80억 명의 사람 대열에 합류하여 지극히 안심하고는, 그저 ‘어찌 되겠지’하면서 죽음을 회피하는 동시에 내심 공포로 기다리는 것이다.
실념(失念)은 개인적 동기로 진실의 길을 걷다가 개인적 동기의 불성취에 실망하여, 진실에 등을 돌리고 진실의 적이 되어 세상으로 돌아가 마음껏 악을 행하고자 맹세하는 것이다. 그러나 어쩌리! 악마저 마음대로 행할 자유가 없다는 진실 앞에서!
산란(散亂)은 개인적 동기가 강하게 작동하여 혼동 속에서 의식의 갈피를 잡지 못하는 것이다.
부정지(不正知)는 정견이 아닌 것을 정견이라 여겨 부여잡고는 여기저기 다니면서 싸움질을 하고 갈등을 최대한 일으켜 화제의 중심에 있고 싶은 의식 현상이다.
특별히 정해진 것이 아닌 의식 현상, 즉 등장인물 캐릭터에 따라 유동적인 의식 현상으로는 회면(悔眠)과 심사(尋伺)가 있다.
회면(悔眠)은 이전의 모든 것을 회개하고 뉘우치며 죽은 시늉을 하고 잠자코 있는 것이다. 이것은 양변에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 중도가 요청된다. 즉 ‘회개하지 않는 것’과 ‘오직 자기 정죄와 회개로 100년을 보내는 것’, 둘 다 아니다.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음이라)
심사(尋伺)는 진실을 찾고 구하는 것이다. 이것은 양변에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 중도가 요청된다. 즉 ‘찾지 않고 구하지 않는 것’과 ‘오직 찾고 구함으로 100년을 보내는 것’, 둘 다 아니다. (먼저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義)를 구하라)
[15]
근본식에 의지하나니,
5식은 연(緣)에 따라 일어난다.
혹은 함께하고 혹은 함께하지 않나니,
물결이 물에 의지함과 같도다.
依止根本識 五識隨緣現 의지근본식 오식수연현
或俱或不俱 如濤波依水 혹구혹부구 여도파의수
[쉬운 현대 한글 번역]
8식은 스스로 변전하여 가상의 주객 즉 이름과 모양으로 自現하고
가상 주객의 가상 접촉으로
전 5식 즉 5가지 감각이 나타난다.
감각 자체는 무색투명 중립이지만, 6식과 7식이 개입하여 다채로운 감각 지각이 출현한다.
5식은 혹은 다 함께 혹은 별도로 일어난다.
이는 다양한 파도가 단일 바다에 의지하고, 다양한 질그릇이 단일 진흙에 의지함과 같다.
|
첫댓글 자비심에 귀의합니다 가슴이 벅차오르고 눈이번쩍 입니다
_( )_
드디어 유식 30송을 접하게 됩니다.
동안 대승기신론 강독 유익했음에 감사드리고,
유식의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기회 주셔서 마음 설레고,
새로운 준비를 위한 노고에 깊은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