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개다랑어 : Thunnus alalunga (Bonnaterre)
► 외국명 : (영) Albacore tuna, Longfin tunny, Lonfin tuna, Tambo(하와이), (일) Binnaga (ビンナガ), Tonbo, (프) Germon, Thon blanc, (독) Weisser thun, (스) albacora, Atún blanco, (러) Albakor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140㎝, 체중 60kg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100㎝ 정도이다. 주로 잡히는 어체는 전장 55~65㎝, 평균 체중은 5~15kg 정도로 다른 참치류에 비해서는 작은 편이다. 등쪽은 흑청색이며, 복부는 은색 또는 은회색을 띤다. 제1등지느러미는 선명한 황색을 띠며, 제2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연한 황색을 띠고 꼬리지느러미 뒷가장자리는 희다. 살아있을 때는 명청색의 반짝이는 줄무늬가 몸통을 따라 세로로 나있다. 긴 가슴지느러미가 특징으로 성어는 제2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를 넘어간다. 미성어는 그렇게 길지 않은 것도 있다. 미성숙한 개체의 성비는 암수가 1:1이나 성숙한 개체는 수컷이 많다.
크기는 전장 140㎝ 정도이다. 몸은 전체적으로 방추형이며 미병부는 매우 가늘고 중앙에 융기선이 있다. 체고가 가장 높은 위치가 다른 다랑어들보다 더 뒤쪽 몸에 있다. 주둥이는 원추형이며 눈은 크고 머리의 중앙보다 위에 있다. 가슴지느러미가 매우 길어서 그 후단은 토막지느러미 전반부에 이른다. 체장(가랑이 길이 기준; fork length)이 50㎝ 이상 크면 가스지느러미 길이가 체장의 약 30%가 된다. 가슴지느러미가 역시 매우 긴 눈다랑어(Bigeye tuna, 학명 Thunnus obesus)의 어린 개체와 혼동되지만 눈다랑어는 가슴지느러미 뒤가 뾰족하지 않고 둥글어서 다르다. 제1등지느러미의 가시가 뒤쪽보다 앞쪽이 훨씬 높아서 가장자리가 전체적으로 안으로 패인 모양을 한다. 제1등지느러미는 제2등지느러미 보다 높다. 등지느러미 연조부와 뒷지느러미는 몸의 중앙보다 약간 뒤 위치에서 거의 대칭으로 위치하고 안쪽으로 깊게 패였다. 꼬리지느러미는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다. 두 배지느러미 사이의 피편돌기(Interpelvic process)는 아주 작고 두 갈래로 갈라진 모양이다. 몸은 작은 비늘로 덮여 있다. 등은 암청색, 배는 은백색을 띤다. 제1등지느러미는 선명한 노란색을 띠며, 제2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연한 노란색을 띤다. 꼬리지느러미는 은백색을 띤다. 토막지느러미들은 등쪽 것들은 등의 색에 맞춘 암청색이며 배쪽 토막지느러미들은 배쪽 색에 맞게 은백색이다.
► 설 명 : 외양의 표층성 어류로 군집을 이룬 어군은 수온 15~25℃ 수역에서 발견된다. 수온 14~41℃(특히 18~22℃), 수심 80m되는 곳에 많이 산다. 표층해양성 내지 중층해양성 어류이다. 표층 수온이 15.6°~19.4°C인 물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며 큰 개체들은 좀 더 깊은 수심에서 회유하며 13.5°~25.2°C 정도되는 수온 범위에 나타난다. 9.5°C 이하로 찬 물에서는 짧은 시간 동안만 견딘다. 수온약층(水溫躍層; thermocline; 더운 물과 찬물이 서로 부딪치는 수심)을 따라 헤엄쳐 다니기를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다랑어(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황다랑어(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남방참다랑어(bluefin tuna; T. maccoyii)와 함께 섞여 무리를 이룬다. 어획된 개체들을 보면 미성어들의 성 비는 수컷과 암컷이 동 비례인데 반해 성어들은 수컷이 압도적으로 많다. 이는 암수의 수명 차이와 성어가 된 이후의 성장 속도가 다르기 때문인 것 같다. 물고기, 갑각류, 오징어를 잡아먹는다. 우리 나라 동해에는 봄, 여름에 북상했다가 가을에 남하하며, 산란기는 6월 무렵이다. 산란된 알은 부유생활을 하며 전장 90 ㎝ 크기에서 성적으로 성숙한다. 물이 맑고 파도가 심하지 않은 외해에서 낚시로 잡는다. 값비싼 물고기이며 선어, 훈제어, 냉동어, 통조림으로 판매된다. 최대 수명은 9년 정도이다.
다른 참치류와 마찬가지로 날래다랑어도 빠르게 헤엄치며, 어떤 때는 이동시 몇 주 만에 수 천 마일을 이동한다. 이들은 해양의 수온이나 빛의 변화에 민감하다. 이들은 수중의 난류 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대형군을 형성하여 먹이를 찾는다. 참치류 중에서는 비교적 차가운 물을 좋아하며, 성어는 열대해역에서는 깊은 곳을 유영한다. 유어(幼魚)는 때로 가다랑어, 황다랑어, 눈다랑어 등의 유어와 섞여서 표층역을 회유하는 수가 있다.
날개다랑어는 유럽에서는 비스케이만 북쪽 원양에 분포하며, 일반적으로 대서양 중에서 미국측에서는 적은 편이다. 태평양에서는 알래스카 동남쪽 원양에서 캘리포니아에 걸친 지역과 하와이 열도에 대량으로 분포하며, 연승(longline)으로 어획된다. 어획물은 선상에서 동결되어 수산물 유통업자에게 판매된다. 이들은 뉴질랜드 주변에도 풍부하여 심해를 유영하는 성어를 겨울철에 연승(longline gear)로 어획한다. 세계 전역에 분포하여 연중 어획된다. 날개다랑어는 “백색육(white meat)”의 라벨링이 가능한 유일한 참치이다. 북미주에서 어획되는 날개다랑어는 대부분 통조림(sea-chicken, 통조림으로 제조하면 닭고기의 맛이 난다)으로 가공된다. 선어의 육질은 밝은 적색에서 분홍색이지만 자숙하여 통조림으로 가공하면 미백색으로 된다. 최근의 경향으로서 지방이 많은 육질은 생선회, 생선초밥으로도 즐긴다. Grilled, broiled 또는 braised(기름에 살짝 튀긴 후 약한 불에 끓임)에 적합하다.
제철은 겨울이다. 적색육 어류의 하나이다. 비늘은 앞쪽에만 있고 단단하다. 껍질은 비교적 얇고 약하다. 뼈는 별로 단단하지 않다. 살은 황색 기운이 도는 주황색으로 혈합육은 다소 많다. 살은 가열하면 단단하게 수축한다. 생선회로는 이용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선도가 좋은 것은 참치 고유의 향이 있어 맛이 의외로 좋으며, 초밥으로도 이용한다. 소금구이, 튀김, 스테이크, 조림, 국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주로 통조림을 해서 먹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소비되지 않는 어종이고 주로 미국에서 통조림으로 만들어 먹는다. 우리나라에서 소비하는 참치 통조림은 거의 대부분이 가다랑어(참치류)이다. 물론 사조 알바코참치라고 날개다랑어로 만든 통조림도 우리나라에 있다. 맛이 떨어지는 편이기 때문에 참치회 재료로는 잘 쓰이지 않는데 뷔페 같은 데서 간혹 저급 횟감으로 쓰인다. 참고로 최고급 참치 횟감으로는 참다랑어, 대서양참다랑어, 남방참다랑어, 고급 참치 횟감으로는 눈다랑어, 황새치(특히 뱃살부위인 메카도로)를 쓰며 중급 참치 횟감으로는 황다랑어, 청새치를 쓰고 저급 참치 횟감으로는 날개다랑어, 백다랑어, 백새치, 흑새치, 녹새치, 돛새치를 사용한다. 가다랑어는 선도문제 및 비린내 때문에 대부분 참치캔이나 가쓰오부시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고급 일식집에서는 신선한 횟감으로 제공되기도 하는데 주로 겉면을 살짝 익힌 다타끼 형태로 자주 나온다. 점다랑어는 횟감으로 쓰이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빈토로(뱃살)라고 불리는데 나름 인기있는 부위이다. 녹는 듯한 식감이 매우 독특한 편이다.
► 분 포 : 한국(동해안, 남해안, 제주도), 일본, 중국,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호주, 인도, 아프리카 동부 등 인도양~서부태평양, 하와이를 비롯한 중부태평양, 대서양, 지중해 등 전 세계 온대, 아열대 및 열대 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대서양에서는 비스케이만 북쪽 원양에 분포하며, 북미주에서는 밀도가 낮다. 태평양에서는 서쪽 해안과 하와이 열도 부근에 분포한다. 전세계해양 열대와 온대 수역(지중해 포함)에 분포한다. 그러나 북위 10°와 남위 10°S 사이 적도 해역은 제외된다.
► 품 질 : 선어의 육질은 색택이 밝고 투명하며, 조직은 단단하여 탄력이 있다. 단단한 것은 내부의 육질이 양호하다는 지표가 된다. 갈색을 띠거나 불투명한 육질은 피해야 하며, 상처, 피멍이 있거나 스테이크(steak)와 로인(loin)에서는 찢어진 것도 피해야 한다. 상등품은 도체의 혈관도 선혈과 같이 빛이 난다. 취급이 불량한 것은 혈관이 갈색을 띤다. 참치육은 가능한 변패와 히스타민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어육 즉시 빙장을 해야 한다. 신선한 H/G(머리와 내장을 제거한 것)는 컨테이너에 젤아이스(gel-ice)와 같이 선적된다. 신선한 로인(loin)의 품질유지기한(shelf life)은 0℃ 부근에서 3~4일이다.
► 비 고 : 참치류는 농어目, 고등어科에 속한다. 전세계 열대 및 온대수역에 십 수 종이 분포한다. 날개다랑어는 수 세기 동안 어획되어온 5종 중의 하나이다. 맵시 있고 아름다운 창조물인 이들 어류에 대한 자료는 그리이스 극작가 아이스킬로스(Aeschylus)나 페니키아 선원, 심지어는 아리스토텔레스까지 기록을 남겼다(철학자들은 모든 참치류가 흑해에서 산란하며, 보다 시력이 좋은 오른쪽 눈으로 지형을 살피면서 2년 정도 걸려서 산란장에 도착하는 것으로 믿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