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흰발망둑 : Acanthogobius lactipes (Hilgendorf)
► 외국명 : (영) White limbed goby, (일) Ashisiroaze (アシシロハゼ)
► 형 태 : 크기는 몸길이 약 10㎝ 정도이다. 몸의 앞부분은 크고 원통형이다. 미병부는 작고 측편되었다. 입은 크고 위턱과 아래턱의 길이는 비슷하다. 뺨, 아가미뚜껑, 후두부에는 비늘이 없다. 수컷의 제1등지느러미는 가느다란 실처럼 길게 연장되고 뒷지느러미가 길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꼬리지느러미 뒷가장자리는 둥글다. 몸은 황갈색으로 몸의 중앙에는 11~12개의 갈색 가로줄무늬가 있고, 살아 있을 때는 흰색 무늬이다. 배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가장자리는 검다.
크기는 전장 10㎝ 정도이다. 머리는 크고 위아래로 납작하다. 몸의 앞부분이 원통형이며 뒤로 갈수록 옆으로 납작하다. 눈은 작고 머리의 등쪽으로 붙는다. 입은 크고 아래 위 턱의 길이가 비슷하다. 뺨, 아가미뚜껑, 머리 뒤 부분에 비늘이 없다. 체측은 즐린으로 덮여 있다. 악골에는 이빨이 있으나, 서골과 구개골에는 이빨이 없다. 등지느러미는 2개로 수컷의 제1등지느러미 가시는 8개가 실처럼 길다. 산란기에 성적이형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제2등지느러미에도 가시가 1개있고 뒷지느러미에도 가시가 1개있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둥글다. 몸은 황갈색이다. 몸통의 무늬는 2가지 타입이 소개되어 있다. 몸통에 10∼11개씩의 갈색과 흰색의 수직무늬가 번갈아 배열되어 있는 모습이 있고 체측 상단은 불규칙한 반문이 꼬리지느러미 기저까지 이어져 있고, 체측 중앙에는 약간 짙은 불규칙한 반문이 꼬리지느러미 기저까지 있는 모습도 있다.
► 설 명 : 민물 바닷물 회유어류(amphidromous)이다. 민물이나 기수역, 바다 등 강하구와 연안의 모랫바닥이나 자갈 바닥에 서식한다. 민물에서 부화한 새끼는 곧바로 바다로 내려간다. 일생을 민물에서만 사는 것도 있다. 처음에는 해안선에서 유영 생활을 하다가 몸의 양쪽 옆면에 검은 색소포가 나타나게 되면 연안의 모래 바닥이나 자갈밭에 붙어 생활하게 되며 이 때 강의 하구에 나타난다. 성어가 되면 갑각류나 미생물을 먹는다. 염분 농도의 변화에 적응도가 높다. 산란기는 5월~9월이다. 하천의 하구나 간석지에 있는 돌이나 조개껍데기를 비롯하여 그 밖에 딱딱한 물질의 밑에 알을 붙이고 수컷 1마리가 알을 지킨다. 산란기는 5~9월이다. 관상용으로 사육한다.
► 분 포 : 한국(전 연안), 일본(홋카이도에서 규슈까지), 중국(발해만과 황해 연안), 러시아(아무르 강[Amur]에서부터 피터대제 만) 등 북서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