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를로스 울프도그 (Saarloos Wolfdog, Saarloos Wolf Dog)
► 이 명 : 사를로스울프혼드(Saarlooswolfhond), 사를로스 울프혼드(Saarloos-Wolfhond), 시엥 루프 드 사를로스(Chien Loup de Saarloos), 페로 로보 드 사를로스(Perro Lobo de Saarloos), 사를로스울프훈트(Saarlooswolfhund), 사를로스 울프하운드(Saarloos Wolfhound)
► 외 관 : 사를로스 울프도그의 크기는 체고 60~75㎝, 체중 36~41kg정도되는 대형견이다. 머리는 귀 사이에서 약간 아치형을 이루며, 목은 넓고 튼튼하다. 다리는 길고 발은 약간 바깥쪽으로 향했다. 털은 거칠고 그리 길지 않으며 빽빽한 속 털이 나 있다. 꼬리는 낮게 위치해 있다.
► 설 명 : 사를로스 울프도그는 사역견을 목적으로 탄생시켰지만 세월이 흘러 사역견, 특히 맹인안내견으로써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자연과 가장 가까운 개라고 한다. 충직하고 믿음직스러운 반려견이자 가정견으로써의 자질을 가지고 있다. 주인에게 충실하고 애정이 깊다. 개량이 진행된 지금도 훈련시키기는 쉽지만 훈련 내용에 일관성이 없거나 낯선 사람이 훈련시키면 절대 복종하지 않는다. 오히려 늑대의 성향이 나타나 주종관계가 뒤바뀔 수 있으므로 정신적으로 유대관계를 맺고 있는 전문가가 훈련해야 한다. 주인의 강한 리더십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발산시키려면 매일 충분한 산책이 필요하다. 산책을 충분히 할 수 있다면 도시 생활에도 적응할 수 있다. 평균 수명은 10~12년 정도이다.
► 주 의 : 튼튼하고 강인한 견종을 위해 개량되었기 때문에 강건하며,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도 없다. 다만 일부 개들은 퇴행성 골수증이나 고관절이형성증이 나타난 경우가 있으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털 빠짐도 보통 수준이므로 평시에는 수시로 빗질만 해주어도 털 관리에는 문제가 없다. 실내에서 생활하지 않는 한 가급적 목욕도 자제하는 것이 좋다. 집단적인 사냥 활동을 하던 늑대의 후손이어서 사회성은 비교적 좋은 편이지만 늑대의 기질을 보이는 경우도 있는 만큼 어릴 때부터 충분한 사회성 훈련을 시키는 것이 좋다. 활동량이 많으므로 매일 충분한 운동이나 산책을 시켜 주어야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 기 원 : 사를로스 울프도그(Saarloos Wolfdog)는 네덜란드 원산으로 늑대와 저먼 셰퍼드 도그(German Shepherd Dog)를 교배시켜 탄생한 종이다. 순종적이고 학습능력이 뛰어나서 처음에는 시각장애인 안내견으로 활약했다. 또한 경찰견으로도 훈련을 받았지만 결과는 실패로 끝났다.
1921년 네덜란드의 사육사 렌데르트 사를로스(Leedert Saarloos, 1884~1969)는 늑대의 혈통으로 선택한 유로피안 울프(European Wolf, Canis lupus lupus) 암컷과 저먼 셰퍼드 도그 수컷을 교배시켜 훈련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평생의 실험을 시작했다. 그러나 끝내 훈련 적응력은 향상되지 않았다. 네덜란드의 이 드문 종은 체코 울프 도그보다 훈련시키기가 쉽고 도시 생활에도 더 잘 적응한다. 부분적으로는 선별적 사육의 역사가 더 길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이 종의 유전적 배경에 혼자서 사냥하는 카파시안 울프보다는 무리를 지어 사냥하는 캐내디언 팀버 울프가 포함되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종은 늑대 같은 경계심을 보이며 체코 종족처럼 수줍음을 타기도 한다.
► 비 고 : 사를로스 울프도그는 1981년 11월 18일 FCI(세계애견연맹)에서 1그룹인 ‘목양견종&목축견종, 스위스 캐틀도그 종 제외(Sheep Dogs & Cattle Dogs, Except Swiss Cattledogs)’ Section 1.11 넘버 311번으로 공인되었다. 이 외에 UKC (Herding Dogs wolf/dog hybrids)를 비롯하여 세계 유수의 켄넬 클럽 및 가종 애견 단체에 다수 가입되어 있다.
이 견종을 만들어낸 렌데르트 사를로스가 죽은 뒤 6년이 지난 1975년에 네덜란드 켄넬 클럽에서 공인하였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크기는 체고 60~75㎝ 정도이고, 체중은 36~41kg 정도되는 대형견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조금 큰 편이다. 외모는 늑대를 연상케 하는 외모(형태, 걸음걸이, 털)에 강인하고 균형 잡힌 골격을 갖춘 견종이며, 사지가 매우 길지만 다리가 지나치게 길다는 느낌은 없으며, 암수의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인 목양견을 의미하는 허딩 그룹에 등록이 되어 있지만 개량 당시에는 사역견에 목적을 두고 개량을 한 견종이다. 신체 비율은 기갑이 체고보다 더 길고, 주둥이 길이와 두개골 길이의 비율은 1 : 1 정도이다.
► 머리 부분 : 머리는 늑대의 머리를 연상케 하며, 머리 크기는 몸통과 조화로워 보이고, 위에서 보나 옆에서 보나 머리는 쐐기 형을 하고 있으며, 주둥이에서 잘 발달된 광대활로 이어지는 선은 매우 특징적이다. 눈은 적절한 형태여야 하며, 위치도 적절해야 하고 늑대와 비슷한 느낌을 주어야 한다. 두개골은 납작하고, 또 넓으면서 너비는 전형적인 쐐기 형 머리를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너무 넓어서는 안 된다. 뒤통수와 안와는 눈에 띄지 않아야 하고, 눈썹 능선은 두개골과 자연스럽게 합쳐져야 한다. 힘센 주둥이에서 두개골로 전환되는 지점인 스톱은 약간 형성되어야 한다.
• 눈 : 눈은 황색이며, 아몬드 모양이고, 살짝 비스듬하게 놓여 있으면서 튀어나오지도 동그랗지도 않다. 눈꺼풀은 눈을 잘 덮고 있으며, 눈빛은 주의 깊고 수줍어 보이지만 두려워하는 기색은 아니다. 눈은 사를로스 울프도그의 매우 중요한 특성이고, 늑대와 비슷한 세련된 면모를 드러낸다고 하는데, 세련된 표정은 밝은 색 눈에서만 볼 수 있다. 그리고 눈의 색깔, 형태, 적절한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고 하며, 특히 늙은 개체의 경우 눈 색깔이 더 짙을 수 있지만, 원래의 황색은 여전하다. 한편 갈색 눈은 결점 요소로 처리가 된다고 하며, 안구는 두개골과 자연스레 어울리는 형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튀어나온 눈썹 활에 지나치게 두드러진 안와, 그리고 뚜렷한 스톱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 코 : 코는 짙은 색이고, 콧마루는 곧다. 주둥이는 옆에서 보면 너무 내려오지 않았고 살짝 쐐기 모양이며, 위에서 보면 끝으로 갈수록 살짝 가늘어지고, 눈 아래 부위에서는 조화롭게 살이 올라 있지만 너무 굵은 주둥이는 전형적인 늑대 주둥이의 형태에서 벗어나므로 인정이 되지 않는다.
• 귀 : 귀는 중간 크기이고, 완전한 프릭 이어(꼿꼿이 선 귀)이며, 삼각형 모양에 끝이 동그스름하다. 귀 안쪽에는 털이 있고, 귀는 눈높이에 달려 있으면서 상당히 잘 움직이는데, 이 움직임이 개의 기분과 감정을 표현하는 행위로 볼 수가 있을 것으로 추정이 된다. 즉 사를로스 울프도그는 귀의 움직임만 잘 관찰을 할 수가 있다면 그 기분을 파악 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 입 : 입술(머즐)은 알맞게 다물어지고, 피부는 팽팽해 보인다. 턱은 위턱과 아래턱이 잘 발달 해 있고, 두개골에 비해 위턱이 투박해 보여서는 안 되며, 아래턱은 확실하게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이빨은 힘이 세고 완벽한 협상교합(위턱의 앞니가 아래턱의 앞니보다 조금 앞에서 맞물리는 상태)을 하고 있으며, 다만 협상교합에 가까운 정도의 교합도 허용이 된다.
► 목 : 목은 살집이 없고, 근육이 잘 발달 해 있다. 목선은 등과 조화로운 선을 이루고 목의 앞부분은 가슴팍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목둘레의 털은 특히 겨울에는 풍부하고 아름다운 러프로 장식된 칼라를 형성한다. 목 밑에는 처진 피부가 아주 약간 있지만 그리 눈에 띄지 않고, 트롯으로 움직일 때 머리와 목을 거의 수평으로 두는 특징이 있다.
► 몸통 : 등은 곧고 튼튼하며, 허리는 단단하고, 근육이 잘 발달하였으며, 짧지도 좁지도 않게 보인다. 엉덩이는 넓고, 꽤 길어 보인다. 가슴은 아름다운 가슴 윤곽선은 최대한 앞다리 무릎에까지 닿는데, 앞에서 보면 가슴팍과 옆구리 사이가 살짝 넓어 보이고, 너무 우람한 흉곽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는 타고난 트로터(속보로 걷는 개)의 특징적인 윤곽을 흐트러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갈비뼈는 지나치지 않은 정도로 휘어 있으며, 윤곽이 다소 날렵한 편이라서 늑대와 무척 비슷하다. 몸통 하부 윤곽과 복부는 팽팽하고, 살짝 턱 업(몸통의 높이가 허리에서 매우 낮고 복부가 감싸 올라간 상태)되어 있다. 이러한 모습 또한 늑대와 많이 닮아 있게 보이는 특징이기도 하다.
► 사지 : 앞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곧고, 근육이 잘 발달 해 있으면서 뼈의 횡단면은 타원형이고, 투박하지 않으며, 두 다리는 몸으로 이어지면서 우아함을 보여준다. 어깨는 정상적인 길이이다. 다리는 어깨뼈와 같은 길이이고, 어깨뼈와 상완 사이의 각도는 과장되지 않고 올바르게 보이며, 앞다리 무릎은 가슴에 달라붙지 않을 정도로 몸통과 가까이에 있다.
갈비뼈의 만곡과 어깨와 다리의 적당한 위치를 고려하면서 정면에서 본 두 앞다리 무릎 사이의 간격은 살짝 넓어 보인다. 전완은 곧고, 두 전완은 평행하며, 강한 골격에 충분한 길이와 밀도를 갖추고 있다. 앞발목뼈는 강한 발목관절이고, 발목은 살짝 경사가 져 있으며, 앞발이 헤어 풋이다. 발가락은 근육이 잘 발달했고 아치형이며, 패드는 강하면서 서 있을 때 두 발이 살짝 바깥으로 향하는 것은 허용된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살짝 파인 것이 강조된 부위에 꼬리가 종종 더 낮게 달려 있으므로 골반도 더 경사져 보이고, 뒷다리의 각은 앞다리 각과 균형을 이루고 있다. 사를로스 울프 도그 특유의 가벼운 움직임은 상당 부분 무릎관절과 비절 사이에 생기는 각도에 달렸다. 이 정확한 각도에서 조금만 차이가 나도 전형적인 보행을 하기 어렵다고 하며, 정지하고 있을 때 살짝 카우 호크가 되는 것은 허용한다.
허벅지는 길이와 넓이가 정상이며, 근육이 잘 발달해 있다. 무릎의 각도가 너무 커서는 안 된다고 하며, 허벅지 하부는 허벅지와 거의 같은 길이이고, 역시 근육이 잘 발달해 있다. 뒷무릎 관절은 각도가 너무 커서는 안 되며, 뼈와 근육이 뒷무릎 관절을 알맞게 늘어나게 해준다. 뒷 발목은 중간 길이이며, 정지하고 있을 때 살짝 사선이 되고, 뒷발은 잘 발달했고 발가락은 알맞게 아치형으로 굽어 있다.
► 꼬리 : 꼬리는 시작부위는 넓고, 풍부한 털이 있는 꼬리는 최소한 비절 높이까지 닿으며, 엉덩이에서 조금 낮게 달린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렇게 보이는 이유는 꼬리 뿌리 근처가 살짝 들어가 있어서 그 부분이 때때로 더 강조되어 보이기 때문이다. 꼬리를 거의 똑바로 들고 다니거나 사브르 모양으로 살짝 구부려서 들고 다니며, 흥분하거나 빠르게 달릴 때는 꼬리를 더 높이 들 수 있다.
► 털과 색 : 모색은 잿빛 늑대 색이라고 부르는 밝은 음영에서 어두운 음영에 이르는 음영이 있고, 털끝이 검은색인 사냥감(멧돼지 털, 산토끼 털 : 그을린 황갈색 털)의 색인 개체가 있으며, 밝은 음영에서 어두운 음영에 이르는 음영이 있고, 털끝이 갈색인 개체가 있다. 그리고 전형적인 늑대 마킹(얼룩무늬)의 색은 밝은 크림 빛에서부터 흰색까지 나타나야 좋은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옅은 색 마킹들은 전형적으로 늑대에게 나타나는 것으로 사를로스 울프도그의 경우 몸통 아래쪽, 사지 안쪽과 뒤쪽, 허벅지 둘레, 꼬리 아래쪽까지 퍼져 있다. 코, 눈가, 입술, 발톱의 색은 잿빛 늑대 색인 흰색, 크림 빛 흰색인 개체일 경우는 검정색이어야 하지만, 갈색 개일 경우에는 적갈색이어야 한다. 두 가지 색 개체 모두는 사지 바깥쪽에 더 짙은 색 털이 있어야 하고, 늑대의 발현을 강조하는 마스크 얼룩무늬도 있어야 한다.
여름의 털은 겨울의 털과 상당히 다르다. 겨울에는 상모의 보호 털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하모가 더 풍성하다. 털은 온몸을 덮고, 목둘레에 길고 풍성한 털이 뚜렷한 칼라(옷의 칼라 같이 바탕색과 다른 색으로 목둘레에 난 털)를 형성하고 있다. 여름에는 상모의 보호털이 더 풍성해지고, 가을과 겨울에 기온이 변할 때는 하모가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 그렇지만 하모는 반드시 있어야 하고, 복부와 허벅지 안쪽 면과 음낭에도 털이 나 있어야 한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와 움직임은 전형적인 속보로 지칠 줄 모르고 달리는 견종이다. 사를로스 울프도그는 특유의 속도로 먼 거리를 어렵지 않게 갈 수 있다. 자연스러운 움직임 덕분에 전혀 지치지 않으며, 늑대의 걸음걸이를 연상시킨다고 할 수가 있다. 그리고 경쾌한 보행은 사를로스 울프도그를 다른 견종들과 확실하게 구분하게 만든다.
사를로스 울프도그의 정확한 전진 보행은 신체 구조 내의 세부 기관의 움직임에 의해 좌우된다. 그 중에서도 사지의 정확한 각도는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강한 앞발목뼈 관절과 살짝 비스듬한 뒷 발목은 유연하고, 탄력적이기도 하면서 자연스러운 보행을 가능하게 한다.
사를로스 울프도그의 거침없고 경쾌하게 트롯(속보)으로 보행할 때 머리와 목을 거의 수평으로 유지하고, 이렇게 보행할 때 눈의 위치와 쐐기 형 머리는 매우 특징적인 모습을 보인다. 특유의 트롯으로 지속적으로 보행할 때, 보폭을 지나치게 크게 하지 않으며, 지나치게 보폭을 넓히면 상당한 추진력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보행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특유의 경쾌한 보행으로 걸을 수 없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