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단락, 문단의 차이
한 문단 안에 너무 많은 문장을 쓰면 좋아 보이지 않는다. 자기가 말하고 싶은 그 생각이 잘 드러날 수 있는 정도의 문장 수가 필요한 것이다. 말하고 싶은, 자기가 글로 표현 하고 싶은 중심 생각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글을 쓰는 것이다.
문단. 문장. 단락의 차이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처럼 글을 쓰면서 문장, 문단, 단락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 글이 되는지 알 수 있다.
힌트를 드리면 문단, 문장 그리고 단락이 아주 많이 닮아있다는 것이다.
문장(sentence)
문장의 정의는 말과 생각이나 감정을 말과 글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이 나타나는 글쓰기 기본 단위이다.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우리가 생각해 봐야 할 것은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만이 정답일까? 고민해 봐야 한다는 것이다. 작가들은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만을 쓰면 글이 딱딱해지고, 유연성을 잃게 된다고 말한다. 때로는 잘 다듬어진 문장 하나가 글의 흐름에 신선한 변화를 준다는 것이다. 묘사는 간결해지고, 이미지는 선명해지고, 긴장감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문장의 경제성이나, 유기성이라는 용어를 들어 본 적이 있나요? 그 용어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자면 문장의 경제성이라는 단어는 우리가 문장에서 글을 쓰다 보면 한 단어가 반복해서 여러 번 나오게 되면 문장이 지루해지는데 이때 ‘동일한 뜻의 비슷한 단어로 바꿔 쓰는 게 경제적이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우리가 문장을 읽으면서 동일한 단어가 반복되고 있지는 않은지 수시로 체크하면서 다른 단어로 변주 해주는 것은 좋은 습관이라고 할 수 있다.
문장의 유기성이라는 단어는 앞 문장의 핵심어를 물고 ‘뒷 문장을 이어 나가면 유기성이 있어서 독자의 이해가 빨라진다’는 뜻이다. 문장의 유기성은 문단에서 매우 중요하다.
문단 = 단락(Paragraph)
문단文壇은 ‘한자’에서 ‘글월 문, 나눌(조각) 단’이라고 말한다. 사전적인 정의는 문단은 긴 글을 내용에 따라 나눌 때, 하나하나의 짧은 이야기 토막이다. 우리가 문단이라고 하면 보통 단락이라고도 말한다.
단락段落은 ‘한자’에서 ‘조각 단, 떨어질 락(낙)’이라고 말한다. 사전적인 정의는 ‘글을 내용에 따라 나눌 때, 하나하나의 짧은 이야기 토막’ 즉, 문단과 동일하다. 따라서 문장과 단락은 내용적으로 관계가 있는 문장들이 하나로 묶여 있는 ‘덩어리’이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문단과 단락을 찾아보면 ‘긴 글을 내용에 따라 나눌 때, 하나하나의 짧은 이야기 토막’이라고 나온다. 유의어 단락이라고 쓰여 있다. 단락을 찾아봐도 동일한 내용이 나온다. 따라서 문단과 단락은 유사한 용어로서 혼용해서 사용한다는 걸 알 수 있다.
영어에서는 단락 또는 문단을 동일하게 Paragraph-패러그래프 라고 한다. 왜냐하면 ‘패러’라는 접두사는 ‘옆에 나란히’라는 뜻의 접두사이다. 신문이나 잡지를 보면 옆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칸을 나누어 놓은 문단을 우리가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문단의 배치는 한 줄이 다 차면 옆에(패러-나란히) 글을 배치를 해서 글, 그래프를 이어나가는 형식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문단이나 단락은 영어에서 패러그래프가 된 것이다. 여기까지 한자와 영어에서 문단과 단락의 차이를 알아 본 것이다.
작가들은 글쓰기의 기본은 문장이 아니라 우리가 보통 생각하기에 가장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단위가 문장이라고 알고 있는데 작가들은 문장이 아니라 ‘문단’이라고 한다. 그래서 문단은 융통성이 있는 도구라고 얘기하는 이유는 문단 안에서 낱말의 단순한 조합은 의미의 일관성을 띄면서 글에 생명을 불어 넣는다고 한다. 따라서 문장보다 ‘문단 쓰기가 일관된 내용과 형식을 갖춘 글을 쓰기 위한 기초 작업’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의 문단을 전체 글의 내용과 긴밀하고 일관성 있게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문단과 문단 사이의 여백이 필요한 이유는 우리가 스무고개처럼 독자는 작가가 쓴 문단에 글을 읽고 그 문단을 이해하게 되면 또 다른 문단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긴 글을 읽다 보면 눈에 피로감과 지칠 수 있기 때문에, 글을 읽어나가는 눈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피로감을 줄이고, 독자에게 쉼을 주기 위해서 문단과 문단 사이의 여백이 필요하고 글을 쓸 때 적절한 선에서 문단과 문단을 나누어 써야 한다는 것이다.
문단의 생김새, 짧은 문단, 긴 문단
문단은 낱말 하나로 끝나는 문단도 있고, 장문의 문단도 있다. 글을 잘 쓰려면 짧거나, 긴 문단을 잘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짧은 문단의 장점은 눈으로 먼저 읽고, 눈으로 읽은 그 글이 우리의 뇌에 전달되기 때문에 짧은 문단은 독자에게 가독성을 높이고, 글을 시각적으로 매력 있게 만들어 줄 수 있기 때문에, 글을 읽는 독자 입장에서는 쉽게 받아들이고, 그 글을 읽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쉽게 읽히는 책을 쓰고 싶다면, 짧은 문단이 많고, 한 두 단어의 내용으로 끝나는 문단을 많이 집어넣는 게 좋다. 짧은 문단은 긴 문단에 비해 드라마틱하게 익힐 수 있다.
긴 문단의 장점은 우선은 주제를 밝히는 주제 문장이 나오고 그 문장을 설명하거나 부연하는 뒷받침 문장들이 따라 나온다. 따라서 작가는 긴 문장 안에서 자신의 생각을 일목요연하게 긴 문단 안에 잘 정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려운 책을 쓴다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많은 생각들과 그리고 긴 문단 안에 서술과 묘사를 많이 포함시키면 된다. 하지만 독이 될 수 있는 게 긴 문단은 독자가 읽을 엄두를 내지 못하게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글을 쓰는 작가의 입장에서는 길고 짧게 완급조절 해서 써야 된다고 할 수 있다.
문단의 구성: 주제 문장의 배치에 따라 (두괄식, 미괄식)
① 1개의 주제문
② 뒷받침 문장
③ 마무리 문장
문단의 구성은 1개의 주제문과 주제문을 부연 해주는 뒷받침문장 그리고 마무리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문단의 구성을 보면,
첫 번째 문단은 중심 생각, 1개의 주제문이 있다. 그 주제는 바로 그 문단의 핵심을 이루는 중심 생각을 갖는데 그 중심 생각이 주제문 맨 앞에 등장하고, 이후에 뒷받침문장이 주제문을 더욱 구체화하고, 명료하게 해주는 형식으로 만들어진다면 두괄식 구성 문단이 된다.
두괄식 문단의 장점은 주장과 의미를 처음에 분명하게 드러내고 단번에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괄식 문단과 다른 미괄식 문단이라면 두괄식과 반대되는 내용이겠죠. 미괄식 문단은 막연한 내용보다는 구체적인 내용을 먼저 풀어서 설명하는 부연 문장을 열거한 다음, 마지막에 ‘독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작가의 주장이 받아들여지게 하는 형식이 바로 미괄식 구성 문단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주제문을 보충 해주는 뒷받침문장이 있다. 뒷받침문장은 주제문 관련한 내용을 써서 통일성을 유지해야 한다. 주제에 대한 효과적인 보충을 위해 예시, 원인, 구체적인 설명, 구체적 사실, 비교, 대조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세 번째, 마무리 문장은 마무리 문장으로 그 문단을 정리하는 것이다. 문단은 일관성과 완결성을 가져야 잘 쓰인 문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마무리 문장에서는 끝부분에서 자연스럽게 결말을 맺도록 써줘야 한다. 다수의 문단으로 구성된 글에서 독자들이 여러 문단을 읽어 내려갔을 때 마무리 문단에서는 마무리 문장이 꼭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문장을 확대한 개념이 문단과 단락이 볼 수 있다. 반대로 문단과 단락을 축소한 것이 문장이라 볼 수 있다. 문장과 문단 그리고 단락은 서로 닮아있으면서도 유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 SUMMARY
짧은 문단과 긴 문단의 콜라보
독자들이 지루해하지 않고 즐겁게 글을 읽기 위해서는 긴 문단 이후에 짧은 문단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반대로 짧은 문단이
연속된 이후에는 서술과 묘사, 구체적 설명을 담은 긴 문단의 배치도 고려하기도 한다.
(문장에서도 단문과 장문의 콜라보도 염두해 둘 것.)
긴 문단과 짧은 문단을 사용하여 글의 리듬과 변화를 부여하면 읽는 독자 입장에서는 매우 신선하고 좋을 수 있다는 것이다.
모든 문단은 앞선 문단을 부연 설명해 줄 것
매 문단의 마지막 문장이 매우 중요
다음 문단으로 넘어가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기에 유머스러운 면, 놀랄만한 일도 살짝 가미해 보라고 작가들은 말한다.
각 문단은 내용과 구조면에서 나름의 완결성을 갖출 것
문단 나누기는 작가가 자기 생각을 어떻게 조직화했는지를 독자에게 알려주는 지도이다. 작가들은 문장이 아닌 문단 단위로
생각하고, 각 문단은 내용과 구조 면에서 나름의 완결성을 갖춰야 한다고 말한다. 글을 읽는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장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관계를 가질 때 좋은 문단이 완성된다.
5. One Paragrapg One Topic(주제, 논제, 이야깃거리)
1문 1사. ONE SENTERS ONE IDEA 하나의 문단 안에서 내용이 바뀌지 않아야 할 것-문단에 대한 여러 가지 생각을 쓰게 되면, 글이 산만하고 글의 일관성을 잃게 되기 때문이다.
출처
https://blog.naver.com/tmdgh3003/223666107629
[출처] 블로그 자료실-문장, 단락, 문단의 차이|작성자 책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