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명당이란? - 명당, 풍수지리, 풍수지리설
풍수지리설에서 이상적 환경으로서의 길지를 가리키는 지리 용어.
살아서는 좋은 환경을 갖춘 집자리에서 살기를 원하고, 죽어서는 땅의 기운을 얻어 영원히 살기를 원했던 사람들의 땅에 대한 사고가 논리화된 것이 풍수지리설인데, 그 원리에 따라 실제의 땅을 해석하는 방법으로 간룡법(看龍法)·장풍법(藏風法)·득수법(得水法)·정혈법(定穴法)·좌향론(坐向論)·형국론(形局論) 등이 있다.
이 가운데 특히 명당을 상세히 논하고 있는 경우는 정혈 법으로, 풍수에서 요체가 되는 장소인 혈(穴)은 음택(陰宅 : 묘소)의 경우 시신(屍身)이 직접 땅에 접하여 그 생기를 얻을 수 있는 곳이며, 양기(陽基 : 집)의 경우 거주자가 실제로 삶의 대부분을 얹혀살게 되는 곳인데, 명당은 이 혈 앞의 넓고 평탄한 땅을 일컫는다.
산소의 경우 묘판(墓板), 주거지의 경우 주건물의 앞뜰을 내 명당(內明堂)이라 하고, 이보다 더 앞쪽으로 비교적 넓은 땅을 외명당(外明堂)이라 부른다. 또는 4개로 나누어 소명당(小明堂 : 金魚水가 합치는 平垣이 있는 곳)·중명당(中明堂 : 案山의 안쪽)·외명당(안산의 바깥쪽)·내 명당(청룡과 백호로 둘러싸인 안쪽)으로 부르기도 한다.
혈과 명당은 풍수의 전 체계(全體系)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요소로서 구체적인 정혈의 방법 가운데에 명당정혈법(明堂定穴法)이 있다. 이에 따르면 명당은 넓고 평탄하고 원만해야 하며, 좁고 경사지거나 비뚤어지면 좋지 않고, 명당이 제대로 되어야 혈도 진혈(眞穴)이 된다고 한다.
살아서 나 죽어서 나 명당자리를 차지하려는 인간 모두의 갈망으로 인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일어난 경우를 역사상 많이 볼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특히 국가를 새로 세울 때 풍수지리설에 입각하여 명당자리에 도읍을 정하였던 예가 고려의 개경(開京) 정도(定都)와 조선의 한양 천도이다. 이 경우 명당은 도성 안을 가리키는데, 땅을 보는 범위에 따라 명당의 범위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생기가 주변으로 퍼져나가 만들어지는 길지가 명당이고, 밝은 곳이 좋은 기운을 가진 땅이다. 산과 물이 조화되어 밝고 따뜻하며 사람의 삶을 감싸 안을 수 있는 땅이 명당이다. 한반도에서 명당을 이루는 근원은 백두산이다. 백두산에서부터 산맥이 이어져 사람이 모여 사는 마을 주변에 이르는데, 마치 나무뿌리에서 줄기를 거쳐 가지에 이르는 경로와 흡사하고 나무뿌리가 물과 양분을 가지들에 공급하듯 백두산에서의 지기가 산맥을 타고 마을로 이어진다. 따라서 백두산에서 마을까지의 기의 흐름이 원활해야 명당으로 성립할 수 있다. 흔히 좌청룡, 우백호 식의 사신사 구조가 명당의 조건을 특징짓는 대명사격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그 구조를 갖추었다 해도 지기가 생기로서 응결하지 못한 땅은 명당이 될 수 없다.
혈(穴)은 생기가 결집하는 장소이며, 이 생기가 주변으로 퍼져나가 만들어지는 길지가 명당이 된다. 흔히 명당을 명당으로 잘못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름난 곳이 곧 좋은 땅은 아니다. 밝은 곳이 좋은 기(氣)를 가진 땅이다. 음 냉하고 습한 곳은 좋지 못한 땅이며, 밝고 따뜻한 곳이 좋은 땅, 곧 명당이다.
전통적으로 볕이 잘 드는 남향집을 선호하는 이유도 밝고 따뜻한 장소를 의미하는 명당과 관련한 풍수지리적 사고로 설명할 수 있다. 한반도에서 명당을 이루는 근원은 백두산이다. 백두산에서부터 산맥이 이어져 사람이 모여 사는 마을 주변에까지 이르게 되는데, 마치 나무의 뿌리에서 줄기를 거쳐 가지에 이르는 경로와 흡사하고 나무의 뿌리가 물과 양분을 가지들에 공급하듯 백두산에서의 지기가 산맥을 타고 마을로 이어진다. 따라서 백두산에서 마을까지의 기의 흐름이 원활해야 명당으로 성립할 수 있다.
사람으로 보면 명당은 혈로 비유되는 젖꼭지를 중심으로 한 어머니의 포근한 가슴이다. 아기가 안겨서 젖을 빨고 잠이 드는 어머니의 품이 명당이다. 역시 따뜻하고 포근한 것이 명당의 기본 성격이 된다. 명당은 지기에 따라 좌우되며 땅의 형태나 구조는 부차적인 문제이다. 그러나 흔히 좌청룡, 우백호 식의 사신사 구조가 명당의 조건을 특징짓는 대명사격으로 이해되고 있다. 사신사 구조를 갖추었다 해도 지기가 생기로서 응결하지 못한 땅은 명당이 될 수 없다.
조선의 도읍이 된 한양은 주산인 북악산을 중심으로 동쪽의 좌청룡으로서 낙산, 서쪽의 우백호로서 인왕산, 안산으로서 남산, 조산으로서 관악산이 있어 전형적인 사신사 구조를 이룬다. 경복궁이 혈처가 되고 경복궁 주변 4대문 안이 내 명당, 그 바깥의 강북지역은 외명당이 된다. 또한 명당은 산 뿐만 아니라 물도 산에 조화되어야 한다.
서울에서는 4대문 안을 흐르는 청계천이 명당을 흐르는 명당수가 되고 한강은 명당 밖에서 명당 주위를 흘러가는 손님, 즉 객수가 된다. 산수가 조화된 밝고 따뜻한, 그리고 사람의 삶을 감싸 안을 수 있는 땅이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