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캐나다에 내달 1일 부터 25% 관세" 폭탄 발언
캐나다 외교·재무장관 "미국 경제에도 타격될 것" 경고
370억달러 규모 美수출품 보복관세로 캐나다 반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 취임과 동시에 캐나다와 멕시코 수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북미 자유무역 체제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강력한 무역 규제가 2월 1일부터 시행될 전망이다.
캐나다 정부는 즉각 대응에 나섰다. 멜라니 졸리 외교장관과 도미닉 르블랑 재무장관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370억달러 규모의 맞대응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했다.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전면전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주 수상은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주민 신임을 묻는 조기 선거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포드 수상은 "캐나다 최대 제조업 중심지인 온타리오주가 트럼프 정부의 주요 표적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시행되면 캐나다 경제는 상당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경제 분석에 따르면 10% 관세만으로도 국내총생산(GDP)이 수십억달러 감소하고 경기침체가 불가피할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와 멕시코를 통한 펜타닐 마약과 불법 이민자 유입이 관세 부과의 명분이다. 하지만 미국 세관국경보호국 통계는 다른 현실을 보여준다. 작년 캐나다 국경에서 적발된 펜타닐은 19.5kg으로, 멕시코 국경(9천570kg)의 0.2% 수준에 그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저녁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 정부 부처에 무역적자와 국가안보 영향 조사를 지시했다. 아울러 캐나다·미국·멕시코 협정 재검토를 위한 공개 협의도 주문했다.
캐나다 정부는 이미 작년에 13억달러를 투입해 국경 보안을 대폭 강화했다. 르블랑 장관은 조만간 워싱턴을 방문해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과 만나 관세 철회를 설득할 계획이다. 캐나다측은 관세 부과가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공급망을 교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방침이다.
다니엘 스미스 앨버타주 수상은 독자적인 해법을 제시했다. 워싱턴을 방문 중인 스미스 수상은 "보복 관세 논의를 중단하고 외교적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며 대화를 통한 타결을 촉구했다.
캐나다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공약이 실현될 경우를 대비해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 품목을 이미 선정해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캐나다 재무부는 어떤 품목도 예외가 없으며, 특정 지역이나 산업에 부담이 집중되지 않도록 균형있게 대응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