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자국 도장
/이규애
눈이 내리는 이른 아침
금강변을 걸었다. 뒤돌아보니 아무도 걷는 이 없는 하얀 눈 위에 내 발자국만이 나를 따라오고 있었다. 문득, 어릴 적 쌓인 눈길을 열어 주시던 어머니의 고무신 발자국이 생각났다. 60년이 훨씬 지난 날의 일이다. 어머니와 기차에서 내리니 눈이 내리고 있었다.
함박눈이 펑펑 쏟아지는 길을 어머니는 앞서서 걸으셨다. 어머니는 등에 동생을 업고 머리에는 커다란 보따리를 이고 있었다. 내 신발 젖는 것이 안쓰러웠는지 어머니는 앞서서 걷는 당신의 발자국 위를 밟고 오라고 하셨다. 쌓인 눈 속에 어머니의 하얀 고무신이 푹푹 빠졌다. 나는 어머니가 남긴 발자국 위에 내 발자국으로 도장을 찍는다고 생각하며 걸었다.
어머니 발자국을 따라 밟으며 가고 있는데 맞은편에서 마중 나오시는 아버지를 만났다. 아버지의 발자국 위에도 눈은 자꾸자꾸 내리고 있었다.
내가 초등학교 삼 학년 무렵 우리 집은 아버지가 지인에게 보증 서준 것이 잘못되어 가세가 기울었다. 우리 형제들은 대전에서 외할머니의 보살핌을 받고 있었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한동안 돈을 받으러 그 사람을 찾아다니셨으나 끝내 돈은 받지 못했다.
남은 가산을 정리해 시골로 이사한 후 어머니는 대전 도매시장에서 물건을 떼어다가 마을을 다니며 팔아 생계를 이어 가셨다. 그날도 어머니는 장사 나갈 화장품과 옷, 마른오징어, 미역 같은 것을 사서 오는 길이었다. 그 추운 날 나는 왜 엄마를 따라가겠다고 떼를 썼는지 모르겠다.
그날 밤, 주무시다가 잠이 깬 어머니는 등잔불 밑에서 공부하고 있는 나에게 보따리 속에서 마른오징어를 꺼내 주셨다. 늦은 밤까지 공부하고 있는 딸이 안쓰러워서 그러셨겠지만, 사정을 잘 아는 나는 어머니가 어렵게 사다 파는 오징어를 냉큼 받아먹을 수가 없었다.
당시에 어머니는 종일 장사 다니느라 고무신 코가 까매져서야 집으로 돌아오셨다. 삭신이 내려앉는 것처럼 몸이 지칠 때까지 장사하신 것이다. 그때만 해도 물건값으로 돈보다는 쌀이나 잡곡으로 받는 일이 허다해 어머니의 보따리는 항상 무거웠다. 여자 몸으로 그 무거운 것을 이고 다니셨으니 몸이 남아날 수 있었을까. 보따리 무게에 짓눌려서인지
어머니는 늘 가슴이 결린다고 하셨다. 그때의 고생 때문에 어머니는 요즘도 가끔 가슴팍을 두드릴 때가 있다.
오래전, 동창회에서 만난 초등학교 동창이 “너는 어머니한테 잘해야 한다.”라고 했다. 어머니가 동창이 사는 마을로 장사를 다니셨기에 어머니의 고생에 대해 잘 아는 친구였다. 그 말을 듣고 나는 가슴이 쿵 하고 내려앉는 것을 느꼈다. 어머니께 동생들에 대한 사소한 일로 마음 상하는 말씀을 드렸던 일들이 생각났기 때문이다. 풍족하게 잘해 드린 것도 없으면서 늘 효도하고 있다고 자만하던 나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웠다.
늘 단단하고 꽃꽂한 모습으로 계실 줄 알았던 어머니가 얼마 전부터 부쩍 달라지셨다. 가는 세월은, 바람 소리가 날 만큼 빠르게 걷던 어머니의 다리도, 허리도 그냥 두지 않았다. “백 세 시대라고 하는데 백 세까지 못 살면 억울하잖아. 엄마 백 세까지는 꼭 사세요." 그렇게 말해
보지만 백세래야 이제 육 년밖에 안 남았다.
눈 한번 질끈 감았다 뜨면 십 년 세월이 훌쩍 지나가 버리는 것처럼 빠르게 느껴진다. 어머니와의 이별의 날은 하루하루 다가오고 있는데 가는 세월 붙잡을 수 없으니 아쉽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