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번에 외장하드는 하나 구입하려고 하는데,
노트북용 외장하드라는 것이 따로 있더라구요
외장하드를 함께 쓸 사람들의 컴퓨터가 아래와 같은데,
세 사람 모두 하나의 같은 외장하드를 사용할 수 있을까요?
(케이블을 별도 구입해서라도 사용할 수 있기만 하면 됩니다)
A(바통2500, XP),
B(삼성 노트북 Q30, XP),
C(펜티엄3 550, win98se)
>외장하드라면 USB 혹은 IEEE 1394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포트가 지원이 된다면 어느 컴퓨터에서건 사용이 가능한겁니다. 다만 USB 2.0의 지원여부가 위의 세가지 컴퓨터마다 불분명하므로 다소 속도상의 문제가 있을수는 있습니다만 호환에는 문제가 없다고 보입니다.(USB는 하위호환이 가능하므로)
다만 win98의 경우 아마도 외장 장치의 드라이버를 설치해두어야 작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물론 인터넷을 통해 그때마다 드라이버를 설치해도 되겠죠.)
또한 인식가능한 하드디스크의 용량도 다소 걸립니다.
2.
외장하드를 고르다보니 하드렉이 성능이 좋다고 추천해주시는 분이 있으셨습니다
만약 하드렉을 사용하면, 운영체제가 다른 A,C는 같이 사용할 수 없나요?
(하드렉은 노트북에 안되는 것 맞죠?;;;)
>하드랙은 PC의 5.25인치 베이에 설치하는 것을 말하죠. 이 경우 외장 하드라고 말하긴 뭣합니다. 물론 PC마다 하드랙을 설치해두고 하드디스크를 뺐다 꽂았다하며 사용할 수는 있겠지만 이 경우 외장 접속 포트를 이용하는게 아니므로 외장 하드디스크라고 말할수는 없겠죠. 5.25인치 베이를 사용하는 하드랙이라면 당연히 노트북에는 사용불가입니다.
3.
외장하드에도 sata하드가 있던데요,
이걸 사용하는 것이 일반 하드보다 좋을까요?
이왕에 사서 오래쓰고 싶기에,
만약 가격에 상응하는 기능을 발휘한다면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이 부분은 외장 SATA 에 관한 부분인것 같습니다만.. 현재 위에서 언급하신 컴퓨터들의 경우라면 별도의 SATA 컨트롤러들이 모두 장착이 되어 있는지 모르므로 쉽게 답하기 어렵군요. 추가로 장착을 해서라도 SATA방식을 사용하겠다... 는건 글쎄요.
4.
자료가 크기가 5M미만의 것이 약 7000개 가량있는데요,
이걸 외장하드에 옮기려면 엄청나게 시간이 많이 걸릴거라고 하시던데요
그럼 알집 압축으로 파일 자체의 용량을 크게 갯수를 적게 하는 것이 속도에 도움이 될까요?
아니면 그냥 작은 크기 여러개를 그대로 옮기는 것이 좋을까요?
>이건 하드디스크의 특성에 따라서도 다른 문제로 보입니다. 제 생각엔 압축하는데 걸리는 시간에다가 디스크로 옮기는 시간을 합치면 뭐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이네요 -_-;;
혹은 하드디스크만 분리해서 컴퓨터에 내장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옮기고 다시 조립을 하시는 것도 시도해볼만하겠군요.
5.
외장하드, 혹은 하드+외장하드케이스 중에
추천해주고 싶으신 제품이 있으시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현재로는 200G나 160G를 구하려고 하는데,
케이스에 따라서 대용량 하드가 불가능한 것도 있더라구요
하지만, 용량이 작은 하드만이 가능하더라도,
안정성이나 기능면에서 만족할만한 제품이라면 추천해주신 것으로 선택하겠습니다 ^^
첫댓글 친절하고 자세한 답변해주셔서 고맙습니다. (_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