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 집에는 담벼락에도 그림이 걸려 있다. 전경득 씨가 직접 그린 것으로 하얀 눈을 이고 또 다른 운치를 전해준다. 2 흰 벽을 캔버스 삼아 걸려 있는 오브제. 전경득 씨가 스케치한 모양대로 금속공예를 하는 후배가 만들어준 것이다.
암만 봐도 전경득 씨는 열정이 많은 유형임에 틀림없다. 보통 사람이라면 자신의 직업에 쏟는 노고만으로도 버거울 법한데, 그는 유아교육 사업가로 일하면서 프로 작가 못지않은 실력으로 그림을 그리고 글도 쓴다. 공부만 해도 무려 네 곳의 대학에서 서양화, 영문학, 국문학을 전공했다 하니 인생에 대한 그의 적극성을 짐작하고도 남는다. 이런 그의 열정이 얼마 전에 또 하나 일을 ‘저질렀다’. 집 옆에 또 집 한 채를 리모델링하여 홈 스타일 갤러리인 ‘스토리 하우스’를 꾸민 것. “보통 갤러리는 6시면 문을 닫지만 이곳은 저녁 늦게까지 그림을 감상할 수 있어요. 아마추어 작가나 신인 작가들이 부담 없이 전시할 수 있고, 작가의 지인들이 일을 마치고 퇴근한 후에도 그림을 보러 올 수 있지요. 공식적인 갤러리라기보다는 소규모의 개인적인 갤러리인 셈이에요.”
3 대문 옆의 정겨운 빨간 우체통. 4 서까래 지붕 아래 벽난로가 놓여 있는 아늑한 거실 풍경. 양쪽 선반에 놓인 스탠드는 그가 프랑스 여행 때 구입한 것이다.
전경득 씨는 인왕산 꼭대기 부암동의 오래된 단층집으로 몇 년 전 이사를 올 때부터 바로 옆의 낡은 한옥을 눈여겨봐두었다. 우선은 이사 들어가는 집 인테리어를 하느라 바쁘게 동분서주한 뒤에, 숨 고르는 시간을 가졌다. 다시 기운을 차린 뒤 옆집 한옥을 홈 갤러리로 리모델링할 구상을 시작했다. “언제 무너질까 싶은 한옥이었지만 나름대로 유서 깊은 집이었어요. 통일신라시대 말기에 유명한 시인이었던 고은 최치원이 별장으로 쓰던 집터였지요. 이 동네에서 유일한 한옥이기도 했구요. 이 길을 ‘한옥 있는 골목’이라 부를 만큼 동네 사람 누구나 아는 집이었죠.” 그렇기에 곧 주저앉을 것처럼 낡았음에도 불구하고 한옥의 상징인 기와지붕만이라도 그대로 보존하고 싶었다. 그리고 내부는 평소 좋아하는 유럽의 전원 스타일로 꾸민다면 어떨까 하는 구상.
이렇게 홈 갤러리에 대한 생각으로 머릿속이 가득 차 있었던 전경득 씨는 어느 날 길을 걷다가 우연히, 자신의 취향에 딱 맞는 모습을 실현해 줄 이를 발견하게 되었다. 채 완성도 되지 않은 공사 중인 공간 하나가 그의 시선을 끌었는데 단박에 자신이 찾고 있던 감각이구나 알아차린 것. 먼지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비닐 막이틀을 열고 다짜고짜 들어가 디자이너를 찾았다. 그렇게 해서 자신의 홈 갤러리 디자인을 맡기게 된 인물은 최근 한옥 개조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화가이자 인테리어 디자이너 김쾌민 씨. 낡아 쓰러져가던 9평 한옥을 고쳐 30평으로 넓히는데, 단 기와지붕은 그대로 보존하라는 임무를 그에게 맡겼다. 오히려 새로 짓는 것보다 더 난해할 법한 주문. “일단 지붕의 기와가 손상되지 않도록 내리고 집은 뼈대만 남긴 채 다 뜯어냈지요. 원래 건물 자리 사방으로 공간을 넓혔고, 본래의 기와를 다시 쌓아 올렸어요. 지붕이 비바람이나 추위에도 충분히 버틸 수 있도록 튼튼하게 보완해서 완성했죠.”
기존 지붕을 고집한 것을 제외하면 전경득 씨는 전적으로 김쾌민 씨를 믿고 그의 의견을 따랐다. 홈 갤러리는 일반적인 주택과 같이 침실, 주방, 거실, 그리고 별도 갤러리 공간으로 대체적인 구획을 나누었다. 그 안에 유럽의 전원주택을 연상시키는 소박한 마감재들로 바탕 그림을 그렸다. 서까래, 기둥 등 기존 한옥에서 나온 고재가 포함된 나무의 질감은 공간을 따뜻하게 만들어주었고, 파벽돌로 연출한 벽이 조화를 이루어 아늑함을 자아냈다. 이 같은 밑그림 위에 아기자기한 선반과 부엌, 길게 늘어뜨린 주방등과 알전구, 빨간 불꽃을 내비치는 벽난로로 정겨운 채색을 더했다. 낡아 쓰러져가던 한옥은 손님들을 초대하는 편안하고 쾌적한 공간으로, 그리고 갤러리답게 미적 감각 또한 뒤떨어지지 않는 모습으로 드디어 지난 1월 대변신을 완료했다.
|
첫댓글 무언가 살아 숨을 쉬고 있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