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지역을 비롯한 동해안 전역의 안보를 책임지고 있는 육군 8군단이 올 하반기 해체된다. 육군 8군단은 2017년부터 추진된 ‘국방개혁 2.0’ 계획에 의해 지난 4월 30일부로 임무해제 됨에 따라 그동안 수행해 왔던 각종 경계임무와 작전 등 모든 기능을 3군단으로 이관했다고 밝혔다. 지난 1987년 4월 양양군에 창설된 8군단은 이로써 37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임무해제된 8군단은 6월 말까지는 부대명을 유지하게 되며, 현 군단 사령부에는 양양군 강현면에 주둔하고 있는 부대가 옮겨오게 된다.
예하에 22사단과 23경비여단, 102기갑여단 등으로 구성된 8군단은 동해안 6개 시·군에 이르는 긴 해안을 담당하는 부대로서 전군에서 유일하게 비무장지대 내 GP와 GOP 등 전방은 물론, 해안 경계를 동시에 맡고 있다.
특히 8군단 예하 22사단의 책임구역은 전방 육상 30㎞, 해안 70㎞ 등 100㎞에 달한다. 동해충용부대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던 육군 8군단은 2021년 말 해체될 예정이었으나 예하 22사단에서 ‘철책 귀순·월북’, ‘노크 귀순’, ‘헤엄 귀순’ 등 경계 실패 사건이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지난 2022년말까지 이관과 관련한 작업을 마무리했고 이번에 3군단으로 흡수·통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국방개혁 2.0에 따라 상비병력을 2017년 61만8000명에서 2022년 50만명 수준으로 감축하고 육군은 군단을 8개에서 6개로, 사단은 39개에서 33개로 축소하는 부대구조 개편을 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 2·20·26·30사단이 해체됐다.
2022년 말에는 ‘이기자 부대’로 널리 알려진 화천 27사단이 해체돼 지역주민들의 아쉬움을 샀다. 국방개혁 2.0은 20세 남성인구가 2021년 29만명, 2035년 23만명, 2040년 13만명 순으로 급감하는 인구 절벽이 도래한다는 추계가 고려됐다. 그러나 8군단 해체에 따른 영동지역 주민들의 불안감도 상존하고 있다. 육군 8군단은 그동안 2018 평창동계올림픽 등의 큰 행사는 물론 대형 산불과 폭설과 태풍 등 각종 재난 발생시 대국민 지원에 앞장서 왔다.
일각에선 8군단이 관할하는 지역 특수성을 고려하면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해체작업을 하는 게 맞느냐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군단 사령부가 주둔하고 있는 양양군의 경우 사령부가 3군단으로 통합되면 경계는 물론 인구감소와 지역경제 위축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강원도시군번영회연합회는 지난해 “경계 취약지역의 인원과 장비는 늘려야 하고 관할 부대 역시 강화해야 하지만 국방부는 8군단을 없애는 거꾸로 가는 정책을 강행하고 있다”며 8군단을 존치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냈다.
또 올해 초 양양군의회는 “부대가 창설되면서 사령부 인근 273만1074㎡가 군사시설 보호구역으로 묶여있다”며 “8군단 주변지역의 경우 그동안 사회·경제적 피해를 강요받아 온 만큼 부대가 통합되면 부지는 주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건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최훈·조형연
출처 : 강원도민일보(http://www.kado.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