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대명사에서 case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생겨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보충프린트 4페이지에 보면 관계대명사는 명사의 범주에 속해서 반드시 격을 할당받아야 한다고 되어 있는데 case를 고려할 때는 surface structure를 봐야한다고 배웠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raising의 경우에도 deep structure에서 격을 못받는 명사가 격을 받기 위해서 raising되는 것이 그 예시이구요. 그런데 관계대명사의 경우에는 보충프린트 4페이지의 a번 문장을 예로 하면,
“Andrew is the teacher whom we love.” 문장에서 관계대명사 whom은 surface structure로 봤을 때 accusative case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 같지 않습니다. 그런데 whom은 love에 의해서 목적격을 받는다는 것이 프린트의 설명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관계대명사의 격을 생각할 때는 관계대명사가 trace를 남기고 이동하기 전의 구조를 고려해야 하는걸까요? 아님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걸까요..선생님 여러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게시판 공지 필독
※ 글 복사 허용 설정
※ TG 외의 질문은 자유게시판
각 게시판은 조교 답변으로 이루어지는 곳이 아닙니다:) 상호 협력을 통한 수강생들의 발전적 학습을 기대합니다.
첫댓글 쌤! 제가 학부 때 배웠던 거 기반으로 설명 드리자면, 관계대명사는 이동한 명사구이기 때문에 Surface-structure Case를 설명할 수 없어요! 따라서 Case Theory와 Chain Theory를 함께 적용해야 합니다. Chain Theory에 따르면, 관계대명사가 이동한 자리(trace 자리)에 격이 부여되고, 이 격은 chain을 따라 관계대명사로 공유돼요. 즉, 동사 ‘love’가 trace에 accusative case를 부여하고, 이 격이 ‘whom’에까지 전달되는 거라고 배웠던 거 같습니당…!!!
오 그렇군요..! 저도 멘토 교재를 다시 찾아보니 156페이지에 chain에 관한 설명이 있었습니다. 다만 멘토 교재에는 theta rol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hain을 설명한 듯 한데, case문제를 설명할 때도 적용가능한가보네요!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