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 앞의 선풍기
글.김노암(전시기획자)
2009년 오늘은 1999년으로부터 10년이 되는 해다. 밀레니엄이 도래했고 어느새 우리 곁을 지나쳐갔으며 이내 저 멀리 내달리는 뒷모습을 본다. ‘밀레니엄키드’라고 할 만한 이들이 학교 밖으로 쏟아져 나왔고 미술 현장을 종횡무진 한다. 오재우 또한 ‘밀레니엄키드’ 또는 ‘밀레니엄 제너레이션’이라 부를 수 있다. 한 작가를 ‘밀레니엄키드’니 ‘밀레니엄제너레이션’이니 말하는 것은 엄격한 또는 무모한 규정을 위한 것은 아니다. 차라리 보다 적절한 지점과 수준을 찾아 이해와 감상의 길을 모색하기 위한 포괄적인 시각을 위한 것이다. 나아가 보다 효과적으로 오재우의 작업을 분석하기 위한 첫 단추로 이용한 후 용도폐기 될 기술적 용어이다. 실제로 곧 그렇게 되었다.
오재우는 선풍기, 정치, 벽, 국기, 분단현실, 어머니, 커텐, 미싱 등으로 확산되는 언어들, 삶의 기억들로 뒤엉킨 의식을 드러낸다. 개인이되 개인이 아닌 경험과 이야기들이 가득한 것이 또 인생일지 모른다. 그리고 예술은 그것에 이미지와 표현의 날개를 달아준다. 우리 주위는 예술보다 세계와 현실이 감각적으로 보다 더 섬세하고 날카로우며 직관적인 까닭에 미술가들의 의식은 연원이 불분명한 것들로 가득하다. 불안하다. 방향을 잃어버리기 십상이다.
오재우의 작업을 어떤 갈래나 방향으로 접근해야 할지는 여느 젊은 미술가들과 마찬가지로 아직 미지수이다. 첫 개인전인 만큼 작가로서의 어떤 구체적인 위상과 장소를 적용하기 어렵다. 단지 이제 막 그 지점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보다 구체적으로 한 젊은 미술가의 작가로서의 성장가능성과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이번 전시가 있는 것이기도 하다.
미술사를 돌아보거나 또는 경험 많은 선배들의 조언을 떠올려보면 예술에 대한 우리의 태도나 해석의 입장이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하나는 예술을 통해 또는 삶을 통해 만나는 리얼리즘이요, 다른 하나는 표현과 형식을 통해 만나는 조형주의이다. 달리 이야기해보면 예술가를 두 종류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한 예술가는 오랜 시간과 과정과 많은 내러티브로 이해될 수 있는 가하면, 다른 예술가는 짧은 기간에 단번에 비약적으로 접촉하고 그리 많은 내러티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렇게 야만적으로 단순화하는 것은 옳지 않다. 오히려 두 입장이 상호 엉켜있어 그것을 나누어 생각한다는 것은 말 그대로 생각 안에서의 사건일 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기획하는 이들의 경험에 비추어 직관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준다. 우리는 단지 그 잠시의 직관이 만나는 장소로서 이용할 뿐이다.
앞서 말한 바, 오재우는 아직 어느 부류에 속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 예술을 감상하고 이해하는 길은 무수히 많으며 또 그 만남의 깊이 또한 무한한 만큼 한 작가의 변화무쌍한 감각과 활동을 한 두 단계의 경험만으로 예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오재우가 몇몇 전시에서 보여준 직관과 영감, 표현형식을 찾아 구성해내는 감각을 신뢰할 뿐이다. 그리고 또 지켜본다. 젊은 미술가가 이른 나이에 보여준 가능성을 언제나 신뢰하고 기대하기에 우리는 너무도 크고 무거운 지난 시기의 경험과 역사, 그리고 명멸해 간 많은 이들을 기억한다. 젊은 예술가와 예술의 이념이 독단이나 어리석음 또는 치기어린 만용에 쉽게 빠져드는 것을 보아왔다.
여전히 세계현대미술의 변방에서 조금씩 투쟁하고 기록하며 어떤 예술적 해방의 가능성을 찾는 것이 우리 앞에 주어진 가능한 과제라면, 오재우라는 젊은 미술가의 성장을 옆에서 지켜보는 것 또한 그 과제의 하나일 것이다.
작가 노트
<만성적 판단 유보>
글.오재우(작가)
‘후기 자본주의 사회‘
이 지겨운 말로 표현되는 현대 사회는 많은 부분들을 너무나 쉽게 지나치게 한다. 자신에게 쉽게 스며들어 자신을 만들고 있는 것 혹은 내가 옳다고 생각하거나 의식하지 않은채로 살고 있는 그 모든 것에 대해서 쉽게 납득해 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나는 그 동안 사물들이나 상품들 이미지들의 사회적인 맥락을 이용해서 기존의 고정관념이나 사회의 거대한 모순들에 개인적인 의문을 제기해 왔다. 개인의 영역으로 규정되는 부분과 사회적인 모순들 사이에서 예술적 매개를 시도해왔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나의 개인사를 통해 그리고 내가 접했던 일상의 사물들과 기억을 통해 이야기를 풀어 나가고자 한다. 어린 시절 집에 있던 커튼들 그리고 강하게 기억에 남는 이미지들. 대학을 들어오면서 선물 받게 된 양복과 항상 대립구도를 가지는 사회적 환경 같은 선풍기들. 이 개인적인 삶에서 비롯된 오브제들을 내가 바라보는 세상을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하여 사회적 맥락으로 슬그머니 밀어 넣는다.
세계 유일의 분단국이라는 국가적 상황, 또 좌우의 대립이 극심한 사회적 상황 속에서 군인의 자식으로, 또 전역한 사회인의 아들로, 또 다시 의무적인 국방의 의무를 하는 한 개인으로, 또 다시 사회인으로 살아온 나에게 국가와 개인의 문제는 남들과 다른 의미로써 삶의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그리고 국가가 ‘요구’하는 혹은 사회, 집단이 ‘요구’하는 문제와 개인이 ‘선택’한다는 문제 사이에서 개인의 자율성이 얼마나 보장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자문하는 경우가 많았다. 현대사회라는 거대한 스펙타클 안에서 개인사라는 미세한 영역은 자연스럽게 침범당하고, 당연하게 사회의 군상으로 통합되는 것이었다.
수많은 가치의 난립 속에서 개인의 선택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우리는 이 상태에서 어떤 질문을 던질 수 있으며 어떤 대답을 기대 할 수 있을까?
나는 ‘지금을 산다는 것’과 ‘어떻게 살아야 하나’ 라는 것 사이에서 ‘무엇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를 고민해왔다. 하지만 완전히 만족할 만한 답도 뚜렷한 해결책도, 그리고 만족할 만한 선택과 행위도 힘들어 보였다. 판단은 지연되었고 대답을 위한 목마름만이 더해갔다. 나는 만성적으로 판단을 유보시킬 수 밖에 없는 지경에 처한 것처럼 느껴졌다.
혹시 예술이라는 것은 그 질문들 ‘사이’에 있는 것은 아닐까?
-전시 기간: 2009. 08. 01(토) - 2009. 08. 21(금)
-opening : 2009. 08. 01 (토) PM 6:00
대안공간 (혹은 임시공간) 아트스페이스 휴
Alternative Space (or Temporary Space) Hue
- 121-840, 서울 마포구 서교동 405-3, 3층. 지도.
- 3F, 405-3, Seogyo Mapo Seoul 121-840. Map.
- (0)82.(0)2.333.0955
--------------------------
아래는 상상마당 지도입니다
오재우 작가의 전시가 홍대 아트스테이스휴에서 있습니다.
남서울분관 감각의 몽타주 전에서 뵈었는데요 작품 매우 흥미롭습니다.
놓치지 말고 홍대나들이 한번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blog.naver.com/amen9019/110049119097
오재우_Still Life Poem-Oil_HD 비디오_2008
첫댓글 오~~박하님! 오재우 작가는 제가 가능성 있는 작가로 찍은 작가이기도 합니다 ㅎㅎ제가 미술담당할 때 쓴 기사도 있는데 참고로 주소 붙여 놓을께요. 관심있는 분은 참고하시길. 오재우 작가 전시 벙개해서 작가하고도 이야기하면 좋겠네요.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04011741275&code=960202
손끝님 오랜만입니다.기사 잘 봤습니다.경향신문 기자셨군요. ㅎㅎ 저보다 먼저 찍으셨네요 역시나 보석을 고르는 눈^^ 이 작가 가능성 무한대입니다 위영일 작가님 아끼는 후배라 시립에서 만나서 잠깐 이야기를 나눴는데 어찌나 당돌(?)하고 멘트가 인상적이던지요, 손끝님 찍은 그 사진보다 요즘 더 어려졌어요 위에 사진보면 제가 옆에 있는데 잘랐어요 ㅋ 오프닝 오라고 문자왔는데 가고는 싶으나 그날 스터디팀 벙개가 있을 수 있어서 그거 아님 여길 갈텐데
손끝의신님과 박하님께서 찍으셨다니 더욱 관심이 가네요~^^ 홍대에 이런 전시 공간을 알게되어 기분좋고 감사합니다~
홍대 상상마당 바로 앞 쌍고동쌍나팔 3층이예요, 종로스터디팀 토욜에 다녀왔는데 넘 좋습니다. 첫번째 개인전이고 그동안 못보았던 신선한 작품들이 있어 좋았습니다. 에어콘이 안나오니 참고하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