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원가(閨怨歌)-
엊그제 젊었더니 어찌 벌써 이렇게 늙어버렸나
어릴적 즐겁게 지내던 일을 생각하니 말해야 뭣하랴
이렇게 늙은 뒤에 서러운 사연 말하자니 목이 멘다.
부모님이 이몸 낳아 기르며 몹시 고생하며 길러낼 때
높은 벼슬아치의 배필은 바라지 못할지라도
군자의 좋은 짝이 되기를 바랬는데
전생에 무슨 원망스러운 업보가 있었길래
방탕하면서도 경박한 사람을 꿈같이 만나
시집간 뒤에 남편 시중들면서 조심하기를
마치 살얼음 디디듯 하였다.
열 다섯, 열 여섯살을 겨우 지나
타고난 아름다운 모습 저절로 타고나니
이 얼굴 이 태도로 평생을 약속하였더니
세월이 빨리 지나고 하늘 마져 다 시기하여
봄 바람 가을 물, 곧 세월이
베틀사이에 북이 지나가듯 빨리 지나가
꽃같이 아름다운 얼굴 어디 두고 모습이 밉게도 되었구나
내 얼굴을 내가 보고 알거니와 어느 님이 사랑 할 것인가
스스로 부끄러워 하니 누구를 원망 할 것인가
여러 사람이 떼지어 다니는 기방에 새 기생이 나타났다는 말인가?
꽃 피고 새 울 때 정처 없이 나가서
호사스러운 행장을 하고서 어디에 머물러 노는고
집안에만 있어서 원근 지리를 모르는데 님의 소식은 어히야 알 수 있으랴
허난설헌의 글과 그림
겉으로는 인연을 끊었다 하지만 님에 대한 생각이야 없을 것인가?
님의 얼굴을 못 보거니 그립기나 말았으면 좋으련만
하루가 길기도 길구나 한달 곧 서른 날이 이다지도 지루하랴
규방 앞에 심은 매화 몇 번이나 피었다 졌는고?
겨울밤 차고, 찬 때자국 섞여 내리고,
여름날 길고 긴 때, 궂은비는 무슨 일인고?
봄날 온갖 꽃피고 버들잎이 돋아나는 좋은 시절에
아름다운 경치를 보아도 아무런 생각이 없네
가을 달 방에 들이 비추고 귀뚜라미 침상에서 울 때
긴 한숨 흘리는 눈물 헛되이 생각만 많다.
아마도 모진 목숨 죽기도 어렵구나
돌이켜 여러 가지 일을 하나하나 생각하니
이렇게 살아서 어찌 할 것인가?
등불을 돌려놓고 푸른 거문고를 비스듬히 안아
벽련화곡을 시름에 겨워 타니
소상강 밤비에 댓잎 소리가 섞여 들리는 듯
망주석에 천년만에 찾아온 고고한 학이 울고 있는 듯
아름다운 손으로 타는 솜씨는 옛 가락이 아직 남아 있지만
연꽃 무늬가 있는 휘장을 친 방이 텅 비어 있으니
누구의 귀에 들릴 것인가?
마음속이 굽이굽이 끊어 지누나
차라리 잠이 들어 꿈에나 님을 보려하니
바람에 지는 잎과 풀속에서 우는 벌레는
무슨 일이 원수가 되어 잠마져 깨우는가?
하늘의 견우성과 직녀성은 은하수가 막혔을지라도
칠월 칠석 일년에 한번씩 때를 어기지 않고 만나는데
우리 님 가신 후는 무슨 장애물이 가리었기에
오고 가는 소식마져 그쳤는고?
난간에 기대어 서서 님 가신 데를 바라보니
풀 이슬은 맺혀있고 저녁구름이 지나갈 때
수풀 우거진 푸른 곳에 새소리가 더욱 서럽다.
세상에 서러운 사람 많다고 하려니와
운명이 기구한 여자여 나 같은 이가 또 있을까?
아마도 이 님의 탓으로 살동 말동 하여라
규원가(閨怨歌)는 우리 국문학사(史)에 길이남을 위대한 작품이며
가사문학의 정수이고 규방문학의 진수이며 우리 문학의 금자탑이다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꽃들은 모두 어디로 갔는가!)
난설헌(蘭雪軒)-
이름은 초희(楚姬) 1563년(명종18)~1589년(선조22)
초당(草堂) 허엽(許燁)의 딸, 초당두부는 이에 연유한다
여자로 태어난 것
조선에서 태어난 것
수많은 남자 가운데 하필이면 김성립의 아내가 된 것
이렇게 나에게는 3가지 한이 있다 라고 외쳤던 여인
'허난설헌'은 여자의 삶이 오로지 복종과
가정이라는 울타리 안에서만 규제되던 시대에
깨어있는 자유로운 혼이었다
냉혹한 시가의 냉대와 등 돌린 남편의 외도
친정을 향한 애달픈 그리움과
어린 자식들을 모두 잃은 슬픔을 시로 달랬다
16세기 조선에서 태어나
27세의 짧은 생을 살다간 비운의 천재시인으로
'홍길동전'의 작가 '허균'의 누나이다
난설헌은 유언으로 쓴 시를 모두 태우라고 한다
족히 방 한 칸의 분량이었다고 한다
허균은 애석한 마음에 친정 서고에 남아 있던 시편들을 모아
'허난설헌전'을 엮었고 그 시집은 중국과 일본에 알려져
당대의 수많은 지식인들에게 사랑을 받았다
우리나라 최초로 한류의 원조인 셈이다
감우(感 愚)-
盈盈窓下蘭 하늘거리는 창가 난초잎들이
枝葉何芬芬 어쩌면 저다지도 향기로울까
而風一披拂 가을바람 잎새에 한번 스치면
零落悲秋霜 슬프게도 찬서리에 시든다지만
秀色終凋悴 빼어난 그 모습 이울어져도
淸香終不斃 맑은향기 끝내 아니 죽으리
感物傷我心 그 모습 보면서 내 마음이 아파져
涕淚沾衣快 눈물 흘러서 옷소매를 적시네
춘우(春 雨)-
春雨暗西池 보슬보슬 봄비는 못에 내리고
輕寒濕羅幕 찬 바람이 장막속 스며들제
愁倚小屛風 시름에 겨워 작은 병풍에 기대니
墻頭杏花落 송이송이 살구꽃 담위에 지네
빈녀음(貧女吟)-
豈是乏容色 인물도 남에 비해 그리 빠지지 않고
工鍼復工織 바느질 길쌈 솜씨 좋은데
少少長寒門 가난한 집안에서 자라난 탓에
良媒不相識 좋은 중매자리 나서지 않네
不帶寒餓色 춥고 굶주려도 겉으로는 내색치 않고
盡日當窓織 하루종일 창가에서 베만 짠다네
唯有父母憐 오직 내 부모님만 가엾다 생각할 뿐
四隣何會識 그 어떤 이웃이 이내 속을 알아 주리오
夜久織未休 밤이 깊어도 짜는 손 멈추지 않고
戞戞鳴寒機 짤깍짤깍 바디 소리 차가운 울림
機中一匹漣 베틀에 짜여가는 이 한 필 비단
綜作何誰衣 필경 어느 색시의 옷이 되리라
手把金剪刀 쇠로 만든 가위를 손에 잡으니
夜寒十指直 밤 추위에 곱아오는 열 손가락
爲人作嫁衣 시집갈 남의 옷만 지어주고
年年還獨宿 이 내 몸은 해마다 홀로 잔다네
곡자(哭子)-
去年喪愛女 지난해에 사랑하는 딸을 잃고
今年喪愛子 올해에는 사랑하는 아들 잃었소
哀哀廣陵土 서럽고도 서러운 광릉 땅이여
雙墳相對起 두 무덤 마주보고 나란히 솟았구나
簫簫白楊風 백양나무 가지 위 바람은 쓸쓸히 불고
鬼火明松楸 도깨비 불빛만 무덤위에 번뜩인다
紙錢招汝魄 지전을 살라 너희들 혼백 부르고
玄酒奠汝丘 무덤 앞에 술부어 제사지내네
應知弟兄魂 가엾은 남매의 외로운 영혼
夜夜相追遊 밤마다 서로 어울려 노닐겠구나
縱有腹中孩 뱃속에는 어린애 들었지만
安可冀長成 어떻게 무사히 기를 수 있을까
浪吟黃臺詞 하염없이 황대사를 읊조리다 보니
血泣悲呑聲 통곡과 피눈물로 목이 메이네
채련곡(采蓮曲)-
秋淨長湖碧玉流 가을의 맑은 호수 옥구슬 같은데
荷花深處繫蘭舟 연꽃 속 으슥한 데 꽃배 띄웠네
逢郞隔水投蓮子 물 건너 님을 만나 연꽃따서 던져 주고선
惑被人知半日羞 혹여 뉘라서 보았을까 한나절을 부끄러웠네
추한(秋恨)-
縫紗遙隔夜燈紅 비단 창문 저 멀리 등잔 불 밝은 밤
夢覺羅衾一半空 꿈에서 깨어보니 비단 이불 한 곳이 텅 비어있네
霜冷玉籠鸚鵡語 서릿발은 차고 옥초롱에는 앵무새 소리
滿階梧葉落西風 불어오는 서풍에 섬돌 가득 오동잎 떨어지네
기부강사독서(寄夫江舍讀書)-
燕掠斜簷兩兩飛 제비는 쌍을 지어 처마 끝에 날고
落花撩亂拍羅衣 어지럴사 꽃잎은 치마에 지네
洞房極目傷春意 봄이련가 규방에서 타는 이 마음
草綠江南人未歸 강남으로 떠난 님 어찌 안 오시나
곡자의 끝부분에 '황대사' 운운은,
'내 황대사의 어미처럼 덕이 없고 사랑이 모자라,
제 자식을 스스로 연달아 죽인 것이나 다름없다.'는
자책(自責)이요 자형(自刑)이다.
황대사는 다음과 같다.
황대 아래 외 심으니
주렁주렁 외가 익네.
첫 번째는 외 좋으라 외 따내고
두 번째는 아직 베다 솎아내고
세 번째는 맛이 좋다 또 따내고
네 번째는 덩굴채로 걷어 가네.
種瓜黃臺下 瓜熟子離離
一摘使瓜好 再摘令瓜稀
三摘尙云可 四摘抱蔓歸
외(瓜 오이 과)
당 고종(高宗)의 아들이 여덟인데, 위로 넷은 천후(天后)의 소생이다.
맏인 홍(弘)을 태자로 삼았으나, 계후(繼后: 두 번째 왕비)가 시기하여
독살하게 되자, 둘째인 현(賢)을 태자로 세웠다. 그러나 현은 수심에 가득차
말이 없고, 이 노래를 지어 악공에 주어 부르게 하여, 상(임금)과 후(왕비)의
깨달음을 얻으려 했으나, 그도 결국 쫓겨나 죽고 말았다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