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두산(北斗山 598m)
1.소 재 지: 경북 의성군 가음면 현리리
2.개 요
북두산(北斗山 598m)은 복두산(福頭山 508m)에서 약 2.4㎞ 정도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쪽 사면은 의성군 가음면 현리리, 북쪽 사면은 춘산면 빙계리의 경계에 있는 그리 알려 지지 않은 산으로 선암산(879m), 뱀산(826m), 매봉산(614m), 복두산(508m) 등 U자형으로 이루어진 산군들의 아래에 빙계계곡이 있어 알려 지게 된 산 이다. 쌍계천과 빙계계곡을 안고 빙계 온천이 산 아래 위치하고 있어 등산로로 유명하다.
등산 코스는 북두산~복두산~매봉산~선암산으로 이어지는 코스가 있다.
등산객들은 북두산을 등산한 후 온천욕을 통하여 피로를 풀고 가기도 하였으나, 현재 온천은 운영되지 않고 있다.
북두산과 이어지는 복두산의 능선 사이에는 기반암인 석영 안산암이 노출된 곳이 많아 너럭바위라 불리는 넓은 바위와 같은 독특한 산지 지형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노출된 기반암 사이에는 고사목들이 신비로운 경관을 자아내고 있다. 북두산은 육산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산이나, 주위의 빙계온천과 빙계 계곡, 선암산, 뱀산, 금성산, 비봉산과 연계하여 산행을 즐길 수 있다.
한티재는 북쪽의 300m 고지와 남쪽의 280m 고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낮은 안부로 높이는 235m이다.
한티재를 중심으로 동쪽 계곡은 옥곡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의 발원지이며, 서쪽 계곡은 남대천의 소지류 하천의 발원지이다.
옥곡천은 북류하여 점곡면 면소재지에서 미천에 합류하는 하천으로 한티재는 미천과 남대천을 구분하는 분수계에 해당된다.
경북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와 점곡면 황룡리 사이에 있는 한티재는 지방도 914호선이 지나가고 있으며, 도로명은 의성 길안로이다.
한티재는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의성군 점곡면 주민들과 의성군 옥산면 구성리, 안동시 길안면 주민들이 의성읍 5일장에 갈 때 반드시 이용할 수밖에 없다.
과거에 한티재에는 포장이 되지 않은 흙길과 고갯마루에서 계곡을 통해 내려오는 오솔길이 있었다. 소달구지를 끄는 사람들은 주로 포장되지 않은 길을 이용하였고, 지게나 봇짐을 진 사람들은 계곡으로 나 있는 오솔길을 이용했다.
현재 한티재는 구미와 군위 등 경상북도 내륙 지역의 주민들이 청송이나 영양, 동해안 등지로 이동할 때 주로 이용되고 있다. 주말이나 단풍철에는 청송 주왕산으로 가는 사람들이 많이 지나간다.
또한 한티재 북쪽으로 청애산, 천제봉 등의 산지가 이어져 있어 등산객들도 많이 지나다닌다. 고갯마루의 도로 북쪽에는 청애산, 천제봉, 도토지로 향하는 이정표가 있다.
빙계계곡(氷溪溪谷)은 경북8승의 하나로 얼음구멍과 바람구멍이 있어 빙산이라 하며 그 산을 감돌아 흐르는 내를 빙계라 하고 그 마을을 빙계리 라 부른다. 삼복 때 시원한 바람이 나오며 얼음이 얼고 엄동설한에 더운 김이 무럭무럭 솟아나는 신비의 계곡으로서 빙계3리 서원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빙계계곡의 용추, 물레방아, 바람구멍, 얼음구멍, 어진바위, 의각, 석탑, 부처막을 빙계8경이라 하며 마을 건너편에 수십 미터 높이의 깍아 지른 듯한 절벽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고 그 아래로 맑은 시냇물 한 가운데 우뚝 솟은 크고 작은 많은 바위들은 1933년 10월04일 경북팔승의 하나로 뽑혔으며 계곡 가운데 큰바위 위에 경북팔승지일(慶北八勝地一)이라 새긴 석비가 자리하고 기암괴석들의 자연현상으로 인해 2011년1월13일 빙계리 일대가 국가 지정 문화재 천년기념물 제527호로 지정되었다.
빙계8경
제1경 빙혈(氷穴); 마을뒷산 산기슭의 바위 아래 너 덧 명이 들어 설수 있는 방 한 칸만한 공간으로 입춘이 지나며 찬 기운이 나기 시작하여 한 여름에 얼음이 얼고 입추가 지나며 차츰 녹아 동지에는 얼음을 볼 수 없고 한 겨울에 훈훈한 바람이 일고 있다.
제2경 풍혈(風穴); 마을 입구 도로변에 바위와 바이 사이에 뚫린 좁고 깊은 곳으로 여름엔 찬 바람이 겨울엔 훈훈한 더운 바람이 일고 있다.
제3경 인암(仁岩); 옛 서원 터 앞에 위치한 너비1.2m 높이2.4m가 넘는 큰 바위의 전면에 정오 가 되면 어질 仁자의 그늘이 나타 나 세상인심을 선도하는 듯 한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제4경 의각(義閣); 임진왜란 때 윤은보가 모재 김안국과 회재 이언적 두 분의 위패를 청송 주왕산으로 모셔 7년간 삭망 시 향화를 이어와 잘 피난시키다 평란 후 서원에 안주케 한 공 으로 의사라 불리고 비와 그 전각을 세워 의사 각이라 부른다.
제5경 수대(물레방아); 시냇물을 이용한 큰 물레방아가 있었다가 오래전 자취를 감춰 버렸고 빈 터 가까이 대한불교법화종 소속 빙계정사가 세워져 신도들의 발길이 잦다.
제6경 빙산사지오층석탑; 보물 제327호로 방산사 구지(舊地)에 당시(통일 신라말)에 이루어진 오층 모전(模塼) 돌탑으로 높이가 8.15m에 이른다.
제7경 불정(佛頂); 불정봉 꼭대기에 움푹 파인 곳으로 부처가 용과 싸을 때 찍은 쇠스랑 자국 이란 설이 있다.
제8경 용추(龍湫); 절벽 밑 시냇물이 굽이치는 곳에 있는 웅덩이로 지금은 메워 져 있고 부처와 싸우던 용의 머리가 부딪쳐 파인 곳이라 전한다.
산 행 일 지
한티재~매봉산~전망바위~복두산이정표정상~복두산~북두산~산불조심봉(빙계온천갈림길)~358봉~빙계리
1.산 행 일 시: 2019년 7월4일 (목) 맑음
2.산 행 대 원: 한별산우회
3.산 행 일 지
10:21~31 군위군 고로면 낙전리와 의성군 가음면 현리리 경계 큰 한티재 하차(우측은 선암산 방향)하여 좌측 이정표 방향 임도를 따라 출발(←매봉산 1.0km(20분), →선암산 3.0km, ↓매봉마을 0.7km)
10:41 된비알을 오르고
10:48 된비알을 잠시 올라 완만한 길에
10:49~53 완만한 길에서 잠시 목을 축이고
10:59~11:02 작은 봉우리인 매봉산 정상(614.3m) ↑북두산 2.7km, ↓큰한티재 1.0km(20분)
11:04 등로 우측 조망처에서 의성군 춘산면 옥정리 마을을 내려다 보고
11:08 우측으로 하산로가 있는 삼거리(두만재로 가는 길인 듯)
11:09 묵묘가 있는 평평한 안부를 지나고
11:15 내리막이 시작되는 지점 삼거리(북두산갈림길(↓매봉산 0.7km(20분) 땅에 떨어져 있음, →복두산 2.0km, ↑직진하면 용산마을쪽 계곡으로 가는 길인 듯)
11:23 급사면을 내려서 완만한 능선길에
11:27~30 바위슬랩 조망처에서 조망을 즐기고(좌측으로 복두산 능선이 멋지게 조망됨)
11:44 얕은 봉우리를 살짝 우회하고
11:45 능선 같은 봉우리를 올라서고
11:50 완만한 길을 가다 오르막이
11:54 오르막 오르다 암벽 아래
11:57 암벽 옆 급경사를 오르다 지나온 능선과 매봉산을 돌아보고
11:59 완만한 오름길에 올라서고
12:02~39 복두산 이정표가 있는 봉우리(복두산 507.6m, 지형도 508m봉) ←북두산 2.4km, ↓매봉산 2.7km, ←이정표가 지워 졌음) 오찬을 하고
12:45 지형도의 복두산(지형도에 507.6m)에 올라 지난온 매봉산과 선암산을 조망하고
12:53 선암산이 바로 앞에 조망되는 조망처 바위에
12:56 고사목을 만나고
13:03 우회길이 있는 곳에서 봉우리(511.8m)에 혼자 오르고
13:08 너럭바위서 좌측 선암산(878.7m)을 시원하게 조망하고
13:10 조망처서 우측 북동쪽 춘산면쪽을 조망하고
13:13 암릉을 만나 직등하고(우측으로 우회길은 한참을 내려섰다가 다시 능선으로 올라섬)
13:14~20 암릉에 올라서서 우회팀을 만나고
13:23 봉우리 우회길에서 552.5m봉에 오르고(우측 내림길에 페천막이 있음)
13:26 안부로 내려섰다가 다시 봉우리에 올라서고
13:28 다시 평평한 봉우리에 올라서고
13:30 입산 금지 표찰이 나무에 있는 봉우리에
13:35 완만한 길에 오르고
13:40~47 좌측 무명봉 갈림길 조망처에서 복두산에서 지나온 능선을 조망하고, 무명봉에 갔다가 돌아와서 이상걸 형님을 기다렸다가 동행을
13:48 안부로 내려서며 북두산 정상부를
13:50 안부 삼거리에 내려서고(우측 길은 빙계리로 내려서는 길인 듯)
13:59~14:07 불탄 흔적이 있는 평평한 북두산 정상(598m) 주위의 나무들과 이정표도 불에 타서 글자 흔적만 있음(↓복두산 2.40km, ↗온천삼거리 0.50km, ↖현리리 1.3km)
14:10 온천삼거리쪽을 내려서는 급경사를
14:14 불에 탄 급경사를 내려서며 남서쪽으로 대동지를
14:23 급경사를 내려 관목이 차 있는 안부 삼거리에 내려서서 직진하는 오름길로
14:26~32 산불 조심 안내목이 있는 봉우리(안내목 꼭대기에 ←빙계온천, ↓북두산 이정표가 있음) 상걸 형님이 지쳐서 일단 휴식을 하고, 우측 내림길로
14:41 작은 봉우리에 올라서고
14:43 완만한 봉우리에
14:45 사면삼거리에서 우측으로(좌측은 빙계서원쪽 하산 방향)
14:47 능선 삼거리서 직진
14:52~57 완만한 봉우리(356m) 삼거리서 일행을 기다렸다가 우측으로 하산
14:58 묵묘를 지나
15:10 내림길에서 삼거리를 만나 좌측으로 급경사를 내려서며 금성산과 비봉산을 조망하고
15:18 바위 슬랩지대에
15:24~26 바위 슬랩지대를 내려서서 다시 휴식(나홀로 물을 가지러 감)
15:28 빙계교에 내려서서 생수를 가지고 다시 영감님에게로
(총산행시간: 4시간57분, 휴식 및 조망: 44분, 오찬: 37분, 순보행시간: 3시간36분)
콩국수로 하산주를 하고 울산으로
1021~31 큰한티재 하차하여 군위군 방향을
1024 의성군 가음면 쪽을(차량이 올라 온길)
10:29 한티재의 이정표
1030 한티재의 안내도
1032 초입의 등로 모습을
1041 된비알을 오르며
1048 완만한길에
1049~53 더워서 잠시 휴식을
1054 등로의 죽은 소나무를
1059~1102 매봉산(614.3m)
1100 기념촬영을 하고
1102 무심님
1102 팔당도
1104 조망처 바위를
1104 조망처에서 춘산면 옥정리 마을을
1105 무심님 인증샷
1105 흔적을 남기고
1108 우측으로 내림길이 있는 지점(두만재로 가는 길인 듯)
1109 묵묘가 있는 얕은 안부를 지나고
1115 내림길이 시작되는 이정표 삼거리(우측 급사면 길로) 직진하면 용산마을쪽으로
1116 이정표 모습을
11:23 급사면을 내려서 완만한 길에
11:27~30 커다란 슬랩이 있는 조망처에
1128 조망처 바위에서
1129 바위슬랩에서 매봉산(뒤쪽 봉우리)을
1129 바위 슬랩 아래에 있는 바위 고스락을
1129 바위슬랩에서 내려사 본 서재내지와 멀리 춘산면쪽과 멀리는 안동쪽인가
1129 복두산쪽 능선을
1130 맨좌측 북두산쪽을
1132 홍백팀 잠시 휴식을 하고
1144 봉우리를 살짝
1145 능선같은 봉우리를
1148 완만한 길을
1150 오르막이 서서히
1154 오르막 오르다 암벽아래
1157 암벽 좌측으로 오르다 매봉산과 지나온 능선을
1159 완만한 곳에 올라 지나온 매봉산쪽을
1159 복두산 능선을
1202~39 복두산 정상 이정표가 있는 봉우리(508m봉)
1202 오찬 중인 일행들
1203 이정표에 인증샷을 하고
1204 봉우리의 이정표를
1245 지형도의 복두산(507.6m) 고스락을
1245 복두산 정상에서 본 매봉산
1253 조망처에
1253 조망처에서 선암산을
1254 홍팀
1256 고사목을 만나고
1303 우회길이 있는 곳에서 봉우리(511.8m)에 올라보고
1308 너럭바위서 좌측 선암산을
1310 등로를 가다 조망처서 북동쪽 춘산면 방향을
1313 암릉을 만나고
1314~20 암릉 고스락 모습을
1323 우회길에서 552.5m봉 삼거리에 오르고
1323 봉우리 우측 내림길에 폐천막이
1326 내려섰다가 다시 봉우리에
1326 봉우리서 가야할 능선을
1328 다시 평평한 봉우리에 올라서고
1330 입산금지 양철 팻말이 있는 봉우리에
1330 양철 푯말을
1330 봉우리의 멋지 소나무를
1335 완만한 길에 오르고
1336 완만한 길을
1338
1340~47 무명봉 우회길에서 복두산에서 지나온 능선을
1342 후미를 기다리며 무명봉에 올라보고
1348 우회길에서 안부로 내려서며 북두산을
1350 안부 삼거리에 내려서고(우측은 빙게리로 내려서는 길)
1356 북두산으로 된비알 오르다 좌측 한티재를
1359~1407 북두산 정상(598m) 모습을
1400 북두산의 이정표를
1400 흔적은 남겨야지
1402 이정표를 가까이서
1406 한별 회장님
1407 회장님 일행분
1410 빙계온천으로 내려서는 급경사 구간을
1414 급경사를 내려서다 북서쪽으로 대동리 대동지를
1423 안부에 내려서서 직진
1426~32 산불조심 안내목이 있는 봉우리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1426 산불조심 안내목을
1428 세월은~~~
1438 능선을 가며 좌전망 서쪽 현리마을 방향을
1440 능선을 가며 북두산을 돌아보고
1441 작은 봉우리에 올라서고
1441 서쪽 방향(좌전방) 현리마을을
1443 완만한 봉우리에
1445 사면 삼거리서 우측 방향으로(좌측은 빙계서원쪽)
1447 능선 삼거리서 직진
1452 조망처서 북두산을 돌아보고
1452~47 완만한 봉우리(356m) 삼거리서 잠시 후미를 기다려 우측으로
1458 묵묘를 만나고
1501 조망처서 빙계계곡 주차장을
1510 삼거리를 만나 좌측으로
1511 비탈을 내려서며 비봉산 금성산 능선을
1514 조망처서 주차장을 내려다보고
1514 줌으로
1516 바위가 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356m봉을
1518 슬랩지역에서 주차장을
1518 슬랩지대에 선 영감님
1524 슬랩지대를 내려서
1524~26 조심조심 내려서 숨을 고르고
1528 빙계교에 내려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