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봉(假縫)
시침바느질(옷을 말라서, 아직 정작으로 바느질을 하지 않고 우선 솔기를 붙여 듬성듬성 꿰매어 옷이 맞고 아니맞음을 뼘어보는 것)
가수(歌手)
가인(歌人), 가객(歌客), 소리꾼
가신(家臣)
청지기, 노랑수건
가옥(家屋)
집
가일층(加一層)
한층더
가장(家長)
집어른, 바깥주인
가정교사(家庭敎師)
독선생
가정(家庭)
집안
가창(歌娼)
들병이
가치(價値)
값, 값어치
가택수색(家宅搜索)
집뒤짐
각목(角木)
목봉(木棒), 몽둥이
각하(閣下)
님
간간(間間)
간혹, 혹간
간격(間隔)
간각(間刻), 간통(間通)
간과(看過)
눈지나보기(가볍게 보다)
간담회(懇談會)
정담회(情談會)
간병(看病)
병구완
간부(幹部)
목대잡이
간사(幹事)
줏대잡이
간석지(干潟地)
개펄
간수(看守)
쇄장(鎖匠), 쇄장이, 옥사장이, 사장이
간식(間食)
샛밥, 새참, 새, 군음식
간조(干潮)
감물(감에 들다=뱃사람들이 쓰는 말로 물이 썰 때에 아주 좋아서 극한에 이르면 「감에 들었다」고 한다. 그러므로 감에 든 물을 「감물」이라고 함이 옳음)
간주(看做)
보다, 보아 여기다
간취(看取)
보아 알다, 보아내다, 잡아내다
간친회(懇親會)
친목회(親睦會)
간통(姦通)
통간(通姦)
간판(看板)
보람판(大), 보람패(小)
갈색(褐色)
다색(茶色)
감각(感覺)
느낌
감독(監督)
잡도리장이
감봉(減俸)
월봉(越俸)
감사(感謝)
고마움
감사(監査)
안렴(案廉)
감상(感想)
소감(所感)
감정인(鑑定人)
감쪼이
갑(岬)
곶
강간(强姦)
겁간(劫姦), 강음(强淫)
강령(綱領)
제갈길
강요(强要)
윽박
강장제(强壯濟)
보약(補藥)
강제(强制)
우격다짐
강조(强調)
그루박음
개간(開墾)
일굼, 띠짐, 신풀이
개괄(槪括)
뭉뚱그림
개량(改良)
개선(改善), 고침, 바로잡음
개비(改憊)
갊, 바꿈
개소(個所)
군데(일 개소=한 군데)
개수(改修)
고침, 손봄
개전(改悛)
뉘우침, 뉘우쁨
개조(改造)
개변(改變)
개찰(改札)
표찍음, 표보임
개척(開拓)
새로 틂
개척(開拓)
일굼, 헤쳐나감
개체(個體)
개물(個物), 낱몸
개통(開通)
열림, 뚫림, 트임
개폐(開閉)
여닫음
갱미(粳米)
멥쌀
거류민(居留民)
머물러 사는 사람
거치(据置)
매두기
건답직파(乾沓直破)
마른논 곧뿌림
건명태(乾明太)
북어(北魚):「건명태」또는「마른명태」라는 말을 쓰고 있는데, 이것은 일본 사람들이 쓰던 호시멘다이를 그대로 옮긴 것으로, 우리한테는 없는 말임.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생선명태」를 말할 때 생선이라는 말은 붙이지 않고 그냥 「명태」라하고 말린 것은 「북어」라고 하였음. 겨울에 새로 나오는 북어를「햇북어」라 하고, 북어 스무 마리를 한줄에 꿴 것을「북어 한 쾌」라 하였으며, 「북어무침」「북어포」「북어국」「북어저냐」「북어조림」북어찜 등 여러 가지 반찬을 만들어 먹었지, 건명태」 또는 「마른명태」라는 말은 없음
건(件)기
발기
검도(劍道)
격검(擊劍)
검사(劍士)
검객(劍客)
검사(檢査)
살펴봄, 훑어봄
검토(檢討)
따져봄
격투(格鬪)
맞싸움
견인(牽引)
끌어당김
견적서(見積書)
발기(물품명이나 금액을 열기해 놓은 것), 물목발기(物目件記)
견적(見積)
머리잡기, 발기내기, 발기뽑기
견제(牽制)
견철(見?)
견지(見地)
보는 바, 보는 땅
견책(譴責)
추고(推考)
결과(結果)
뒤끝, 열매
결국(結局)
마침내, 끝끝내, 끝판, 맴돌아
결론(結論)
단안(斷案), 귀결(歸結)
결본(缺本)
궐본(闕本)
결석계(缺席屆)
말미사리(「말미」는 「사유 휴가 결근」의 뜻을 가진 말이요, 「사리」는 「여쭙는 글」이라는 말이니, 「말미사리」는「결근하는 까닭을 고하는 글」이라는 말이 된다)
결석(缺席)
궐석(闕席)
결원(缺員)
궐원(闕員), 흠원(欠員)
결의(訣議)
의결(議決)
결재(決裁)
재결(裁決)
결점(缺點)
흠절(欠節)
결정(決定)
못박음, 아퀴지음
겸임(兼任)
겸대(兼帶)
경계(境界)
지계(地界), 살핌
경기(景氣)
세월, 시세(세월 좋다, 시세 좋다, 좋은 시절)
경내(境內)
터 안, 테 안
경매(競賣)
뚜드려 팔기, 공박(公拍;갑오경장 이후 대한제국 말까지 썼던 말로 값을 25전씩 올려 부르게 돼 있음)
경작지(耕作地)
논밭, 부침땅
경쟁(競爭)
겨룸, 싸움, 시새움
경질(更迭)
바꿈
경쾌(輕快)
가뜬, 차도(差度)
경향(傾向)
쏠림, 낌새
경험(經驗)
겪음, 맛봄
경호(警護)
지킴, 보살핌
계 (係)
빗 : 등분 낮은 구실아치나 궁궐과 육조(六曹)와 외방(外方)의 관아에서 허드렛일을 맡아 하던 이들을 가리키던 말로,「빗아치=아전」 「반빗아치=찬비(饌婢)」「승전빗(承傳色)=궁중내시)」 일군빗(一軍色)=병조)」 「세폐빗(歲幣色)=호조)」「회계빗(會計色)」 같은 것들이 있었음. 빗아치막」이라는 말이 있었는데, 빗은 계(係)요, 아치는 원(員)이요, 막은 막(幕)이니, 계원댁(係員宅)이라는 말이 됨. 국(局)」 「과(課)」는 전부터 쓰던 우리말임
계급(階級)
자리, 지체
계기(契機)
동인(動因)
계산(計算)
셈
계산서(計算書)
장기(掌記 帳記)
계속(係屬)
매임
계속(繼續)
줄곧, 잇달아
계약(契約)
언약(言約)
계절(季節)
사시(四時), 사서(四序)
계통(系統)
종내기
계획(計劃)
얼거리, 꾀
고급(高級)
상등(上等), 윗등
고뇌(苦惱)
걱정, 시름
고등(高等)
상등(上等)
고리(高利)
고변(高邊), 중변(重邊), 비싼 변
고발(告發)
발고(發告)
고사목(枯死木)
강대나무
고수부지(高水敷地)
둔치
고수(高手)
상수(上手), 선수(善手), 일수(一手)
고시(告示)
방(榜), 알림
고심(苦心)
애씀
고유(固有)
토박이, 제바닥
고장(故障)
층절(層折), 탈
고정(固定)
붙박이
고참(古參)
구참(久參):「고참」은 옹근 왜말로, 우리말에는 오래된 수행자(修行者)를 이르는「구참납자(久參衲子)」라는 말이 있음
곡물(穀物)
곡식(穀食)
골격(骨格)
뼈대
골계(滑稽)
해학(諧謔), 익살:「골계」를 왜말로 보는 이들도 있으나 『사기(史記)』의 「골계다지(滑稽多智)」에서 유래된 것이므로 꼭 왜말이라고는 볼 수 없음
골절(骨折)
절골(折骨)
공가(工價)
공전(工錢)
공간(空間)
얼안, 빈 곳
공개(公開)
보임, 알림
공구(工具)
연장, 연모
공급(供給)
대주다, 이바지하다, 바라지하다:한 사람이 쓰기에 소용되는 것을 다른 한 사람이 잇달아서 대준다는 말
공납(公納)
바침
공동(共同)
함께
공모(共謀)
동모(同謀), 통모(通謀)
공무(公務)
공고(公故)
공문(公文)
노문(路文)
공사(工事)
역사(役事)
공산(共産)
함께나히
공설운동장
배꼽마당(동네 한가운데 있는 마당)
공시(公示)
두루 알림, 두루 보임
공작(工作)
만들기, 꾸미기
공허(空虛)
허공(虛空;우리 명수법)
공헌(貢獻)
기여(寄與), 이바지
공훈(功勳)
훈공(勳功)
과세(課稅)
세매기, 세매다
과시(誇示)
잼, 뻐김
관계(關係)
계관(係關)
관보(官報)
기별(寄別)
관점(觀點)
보는 점, 보는 바
괘지(罫紙)
인찰지(印札紙)
괴뢰(傀儡)
꼭두각시, 허수아비
교과서(敎科書)
교본(校本)
교량(橋梁)
다리
교수형(絞首刑)
처교(處絞), 자리개미
교정(敎程)
교본(敎本)
교정(校正)
교준(校準), 교합(校合), 준보기, 준(準)
교제(交際)
상종(相從), 과종(過從)
교체(交替)
교대(交代), 체대(替代), 번갊, 손바꿈, 갈마듦, 겨끔내기
구내(構內)
울 안
구매(購買)
구입(購入)
구신(具申)
갖추사리
구역(區域)
가른땅
구전(口錢)
구문
구조(構造)
얽이, 얽음새
구축(驅逐)
쫓아냄
국경(國境)
국계(國界), 방강(邦疆), 강역(疆域)
국면(局面)
판, 운덤
국민(國民)
인민(人民)
국방색(國防色)
황록색, 사슴빛
국판(菊版)
오칠판(五七版)
군무(群舞)
무리춤
군(君)
총각(總角;손아래), 형(兄;평교간)
권력(權力)
힘부림
권번(券番)
교방(敎坊), 기생도가
근시(近視)
바투보기
급사(給仕),소사(小使)
사환(使喚), 사동(使童), 사역(使役), 심부름꾼, 손대기
급소(急所)
요해(要害)
긍지(矜持)
자긍(自矜), 자랑
기결(旣決)
결정됨
기계제품
기계치, 쇠물레치
기계(機械)
쇠물레
기구(器具)
연모(무슨 일을 할 때에 쓰는 연장이나 재료를 통틀어 이르는 말), 그릇
기도(企圖)
계획, 생의(生意)
기본(基本)
바디
기분(氣分)
심기(心氣)
기성품(旣成品)
가게내기
기안(起案)
초안(草案)
기장(記帳)
치부, 등록, 올림
기중(忌中)
상중(喪中)
기합(氣合)
합기(合氣)
기호품(嗜好品)
입맛 맞는 것, 비위 맞는 것
기회(機會)
사품
끽다점(喫茶店)
찻집
끽다(喫茶)
차 마심
끽연(喫煙)
담배 피움
일본식
한국식
나병환자
용천뱅이, 문둥이
낙서(落書)
장난글씨
남성기(男性器)
숫부끄리, 숫불이틀, 외눈박이, 기름공이, 풋망이
납득(納得)
이해(理解)
납치(拉致)
거납(去拉), 납거(拉去)
낭하(廊下)
복도, 골마루
내신(內申)
속사리
내역(內譯)
명세(明細), 속가름(「가름」은 분석 또는 해석이라는 뜻이니, 「속가름」은 곧 내용을 해석한다는 말임)
내제자(內弟子)
무릎제자(무릎을 마주하고 앉아 가르친 제자)
내홍(內紅)
내분(內紛)
노동자(勞動者)
일꾼
노숙(露宿)
한둔, 한뎃잠
노점(露店)
한뎃가게
노파심(老婆心)
지나친 걱정
논리(論理)
신론(申論)
농로(農路)
사랫길(논밭 사이로 난 길)
농악(農樂)
풍물(風物)
뇌물(賂物)
화뢰(貨賂)
일본식
한국식
다분(多分)
아마
다완(茶碗)
공기, 찻종
단배식(團拜式)
시무식(始務式)
담당자(擔當者)
맡은이, 빗아치
답신(答申)
대답사리
답절(踏切)
건널목
당뇨병
소갈질(消渴疾)
당분간
아직, 얼마간, 얼마 동안
대개(大槪)
거반, 거의
대변(大便)
똥, 말, 큰것, 대마
대본(貸本)
세책(貰冊)
대본서점(貸本書店)
세책점
대세(大勢)
여럿, 흐름
대절(貸切)
독세
대절차(貸切車)
독세차, 독차
대점포(貸店鋪)
셋가게
대지(大地)
곤여(坤輿)
대질(對質)
면질(面質)
대합실(待合室)
기다림방
도락(道樂)
오입(誤入), 소일(消日)
도약(跳躍)
몽구르기(멀리 또는 높이 뛰기 위하여 두 발을 모두어 힘차게 뜀, 또는 어떤 일을 하려고 벼르거나 굳게 마음먹음), 몽그림
도제(徒弟)
계시 : 바치쟁이(기술자)가 자기의 바치(기술)를 다른 사람에게 전해주기 위해 젊은 사람을 가려 뽑아 일터로 데리고 다니면서 바치를 가르쳐 주는데 배우려고 따라다니는 사람
도중(途中)
중로(中路), 노상(路上)
도화사(道化師)
어릿광대
독신(獨身)
홑손
동경일백칠십도팔부
동경일백칠십도팔분
동맥(動脈)
날핏대
동맹(同盟)
결맹(結盟)
동면(冬眠)
겨울잠
동물(動物)
숨탄 것:「숨을 불어넣음을 받은 것」이라는 뜻으로, 사람을 비롯한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임
동반(同伴)
작반(作伴), 작려(作侶), 동행(同行)
두취(頭取)
행수(行首), 장(長)
등급(等級)
등분(等分)
등산(登山)
입산(入山)
일본식
한국식
마진(痲疹)
홍역, 마마, 손님
만기(滿期)
과만(瓜滿)
만사(萬事)
매사(每事)
만조(滿潮)
물참, 참서다(뱃사람들이 쓰는 말로 물이 밀어서 극한에 이르면「참이 섰다」고 함)
말소(抹消)
말거(抹去), 지움, 짓기
매도(罵倒)
침뱉음
매도(賣渡)
팔아넘김
매도증서(賣渡證書)
팔아넘긴 표
매독(梅毒)
창병(瘡病), 찰담쟁이
매력(魅力)
끌심, 당길심
매수(枚數)
장수(張數;종이같이 얇은 물건의 숫자를 나타내는 매」는 일본말임. 넓적한 조각으로 생긴 물건을 세는 데 쓰는 우리말은「매」가 아니라 「장」이니, 이른바 문자동네에 종사하는 이들이 흔히 쓰는 원고지 몇 매」는 「몇 장」이 맞는 것임. 우리말의「매」는 숟가락 하나와 젓가락 한짝을 함께 묶어 셀 때나 종지나 보시기 또는 사발같이 작은 그릇 열 개씩 묶은 것을 셀 때 쓰는 말임. 종이 철판 구들장 모물(毛物) 벽돌 슬레이트나 보일락 말락 엷게 떠 있는 구름장같이 상대적으로 얇은 물건 따위를 세는 이름수의 우리말 단위가 「장」임. 또 하나 무덤을 세거나 누에씨를 셀 지경에 쓰이는 것도「장」임)
매일(每日)
날마다
매장(埋藏)
묻음
매절(賣切)
다 팔렸다, 다 나갔다, 떨어졌다
매진(賣盡)
동남
매진(邁進)
애써나감
맥박(脈搏)
피통
면식(面識)
안면, 면분, 낯
면직(免職)
견태(見汰)
명도(明渡)
내주기, 비워주기
명부(名簿)
명적(名籍)
명인(名人)
국수(國手):「국수」는 나라 안에서 바둑을 가장 잘 두는 사람만이 아니라 의술(醫術)이 가장 뛰어난 사람, 그리고 글씨 그림 소리 춤 연주 기예(技藝) 등 나라 안에서 가장 뛰어난「쟁이」들에게 바치는 가장 아름다운 꽃다발이었음
명찰(名札)
이름표
명함(名啣)
명자(名刺)
모범(模範)
본
모의(模擬)
모방(模倣), 본떠 흉내냄
모포(毛布)
담요
모피(毛皮)
모물(毛物)
목차(目次)
벼리
목찰(木札)
목패(木牌), 나무패
목초지(牧草地)
풀갓
목초(牧草)
꼴
묘목(苗木)
모나무, 애나무
묘소(墓所)
산소(山所)
무도(武道)
무예(武藝)
무량대수(無量大數)
무량수(無量數;우리 명수법(命數法)
무사(武士)
싸울아비
무승부(無勝負)
비김, 가웃
무역상(貿易商)
남북상(南北商)
무인(拇印)
손도장
무직인(無職人)
한산인(閑散人)
문단(文壇)
문원(文苑)
문명(文明)
삶판
문민(文民)
군사정권과 반대되는 뜻으로 사용중인「문민」이란 말이 사실은 50년 전 일본에서 만들어진 조어(造語)인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 참의원이 96년 1월21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문민」이라는 말은 1946년 귀족원 제국형법 개정특별위원회 소위원회가 영어의「시빌리언(civilian)」대신 쓸 말로 만들어냈다는 것. 당시 소위원회는 내각총리 대신과 그 밖의 국무대신은「시빌리언」이 아니면 안된다는 연합군총사령부(GHQ)의 요구에 따라「평민(平民)」문신(文臣)」「문인(文人)」「범인(凡人)」「문화인(文化人)」평화업무자(平和業務者)」 등의 용어를 검토하다가 결국「문민」이란 단어를 채택했다.(「중앙일보」96년1월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