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이구시는 다시 수보리에게 물었다.
“대덕이시여, 부처님께서 대덕을 아라냐 행에 제일이라 하시니, 대덕이여, 아라냐는 물건이 있어서 닦는 것입니까, 법이 있어서 닦는 것입니까? 만일 물건이 있어서 닦는다면 이것은 무상이요, 만일 법이 있어서 닦는다면 그 법은 생상도 없고 멸상도 없습니다. 법이 만일 불생불멸하는 법이라면 그것은 평등이요, 그것이 만일 평등이라면 곧 평등이 아니며, 만일 진여라면 곧 진여가 아닙니다. 동하지도 않고 정하지도 않으며, 만일 움직임도 고요함도 없다면 그것은 설할 수 없고, 만일 설하지 못한다면 부사요, 만일 부사의하면 그것은 곧 불가설이며, 만일 불가설이면 그것은 물이 없는 것이요, 만일 물이 없다면 그것은 곧 실이 없는 것이며, 실이 없는 것은 성인이 설하지 않는 것입니다.”
수보리는 잠자코 아무 대답도 하지 않았다. 그때에, 리바다는 수보리에게 물었다.
“어째서 여자의 묻는 말에 대답하지 않는가?”
수보리는 이렇게 말했다.
“조그마한 법이라도 설할 것이 없으니 적연한 것이 즐거우며, 여자가 이렇게 불희론 법을 물으니 만일 어떤 말이 있으면 그것은 모두 불선한 것이요, 말하지 않는 경계 그것이 아라냐 행이니라.”
이구시는 다시 리바다 존자에게 물었다.
“대덕이여, 부처님께서는 대덕을 좌선하는 사람 중에서 제일이라 하시니, 마음에 의지한 선이 됩니까, 마음에 의지하지 않는 선이 됩니까? 만일 마음에 의지하는 선이라면 마음은 환과 같아서 실다이 분별하지 못하나니, 이렇게 실답지 못하므로 분별도 실답지 못할 것이요, 분별이 실답지 못하면 그것에 의지하는 선 삼매도 실답지 못할 것이며, 만일 심념이 없는 선이라면 일체 죽은 사람도 실답지 못할 것이며, 만일 심념이 없는 선이라면 일체 죽은 사람도 환희를 얻을 것이요, 모든 초목도 모두 삼매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모든 물은 모두 마음이 없는 까닭입니다.”
리바다는 잠자코 아무 대답도 하지 않았다. 그때에, 아나율은 리바다에게 물었다.
“리바다여, 어째서 그 여자가 묻는 말에 대답하지 않는가?”
리바다는 이렇게 말했다.
“그 여자가 나에게 부처님의 경계를 물으니 그것은 성문으로서 능히 대답할 바가 아닌 까닭이다.”
이구시는 다시 이렇게 말했다.
“대덕이여, 어떻게 생각합니까? 여래의 법계와 성문의 법계가 다르다고 봅니까? 만일 다른 법계라면 그것은 허물어진 법계요, 만일 법계와 허물어진 법계와 둘이 있다면, 법계는 둘이 아니기 때문에 진여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여도 둘이 아니고 하나이니, 이러한 진여, 이러한 불이에서 승열을 말할 수 없는 것인데, 대덕은 어째서 그렇게 말합니까?”
이구시는 다시 아나율에게 물었다.
“대덕 아나율이여, 부처님께서 대덕은 천안이 제일이라 하시니, 물건이 있어 봅니까? 물건이 없어서 봅니까? 만일 물건이 있어서 본다면 상견에 떨어지고, 만일 물건이 없이 본다면 단견에 떨어집니다.”
아나율은 잠자코 대답하지 않았다. 그때 아난은 아나율에게 물었다.
“아나율이여, 어째서 여자가 묻는 말에 대답하지 않는가?”
아나율은 이렇게 말했다.
“그 여자가 지혜를 품고 묻기 때문에 대답하지 않는다.”
이구시는 다시 아난에게 물었다.
“대덕 아난이여, 부처님께서 대덕을 많이 들음을 제일이라 하시니, 어떤 것을 다문이라 합니까? 뜻이 있어서 알게 됩니까, 구경에 알게 됩니까? 만일 뜻이 있어서 안다면 뜻에는 언어가 없으니, 말로 가히 설할 수 없으므로 이식으로 알 바가 아니요, 또 가히 눈으로 볼 것도 아닙니다. 만일 구경에 안다면 부처님은 설하기를 ‘마땅히 뜻을 듣고 문자를 듣지 말라,’ 하셨으니, 그렇게는 듣지 않을 것입니다. 대덕이여, 어째서 다문이라 합니까?”
아난은 잠자코 대답하지 않았다. 그때 문수사리가 아난에게 물었다.
“아난이여, 어째서 여자가 묻는 말에 대답하지 않는가?”
아난은 이렇게 말했다.
“일체 문자는 성을 여의어 메아리와 같은데, 그 여자는 나에게 문자를 물으므로 대답하지 않았다.”
4 이구시는 다시 문수사리에게 물었다.
“문수사리시여, 부처님께서 인자는 여래의 심심한 해탈을 잘 알기로 보살 중에서 제일이 된다 하시니, 십이인천이 깊기 때문에 깊다 합니까, 자연으로 깊기 때문에 깊다 합니까? 만일 연기로써 깊다고 한다면 연기는 행할 바가 없습니다. 어째서냐 하면, 연기란 오고 감이 없어서 따로 안식으로써 알 바도 아니요, 이ㆍ비ㆍ설ㆍ신ㆍ의 식으로 알 바도 아니며, 만일 자연히 깊음으로써 깊다고 한다면, 그 자연이라는 자연도 없으니, 자연까지 가는 것도 또한 없는 것입니다.”
문수사리는 대답했다.
“본제가 깊고 묘하기 때문에 깊다는 것이다.”
이구시는 다시 말했다.
“본제라는 것은 짬이 없으니 그러므로 지혜라는 것도 지혜가 없는 것입니다.”
문수사리, “지혜가 없다면 그것은 전도다. 본제라는 것은 거짓으로 있는 말이다.”
이구시, “지혜가 없다는 것도 전도가 아닙니다. 언설로 헤아려서는 얻지 못하는 것이므로 전도도 없습니다.”
문수사리, “내가 거짓 언설로 이렇게 설한 것이다.”
이구시, “여래와 보살은 언설을 초월하였으므로, 언설로는 서로 통할 수 없습니다.”
이구시는 다시 불허견보살에게 물었다.
“인자여, 인자는 스스로 말씀하시기를 ‘성중 사람들로 하여금 모두 위없이 바르고 참된 도리를 얻어서, 남녀. 대소가 눈으로 광명을 보는 자는 여래의 구경정각을 보게 한다.’ 하니, 어떤 것이 여래입니까?색신입니까? 법신입니까? 만일 범신이라면 법신은 형상이 없으며, 만일 색신으로 본다면 그것은 부처님을 못 보는 것입니다. 부처님 말씀이
만일 나의 색을 보거나
음성으로써 듣는다면
그것은 어리석은 사견이라
이 사람은 부처를 보지 못한다
하셨습니다. 설사 법신이라 할지라도 법신은 볼 수없으니, 무슨 까닭인가? 법신은 안식을 떠난 것이라, 조작된 바가 없으므로 습속의 사상으로는 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불허견보살은 잠자코 말이 없었다.
그때 보영보살은 물었다.
”어째서 그 여자의 묻는 말에 대답하지 않는가?“
불허견보살은 이렇게 말했다.
”그 여자가 무류를 물으므로 대답할 수 없었다.
이구시는 다시
“나는 유도 묻지 않았고, 무류도 묻지 않았습니다.”
이구시는 다시 보영보살에게 물었다.
“아까 인자는 ‘성중에 있는 옛날 고방들에 모두 여러 보배가 자연히 가득 나타나기를 원한다.’ 하였으니, 그러면 인자가 그런 보배를 가지고 왔습니까, 혹은 따로 어떻게 되는 것입니까? 인자여, 유심으로 희망하는 복덕입니까, 무심으로 희망하는 복덕입니까? 만일 유심으로 희망하는 복덕이라면 인자도 우치한 범부와 더불어 다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우치한 범부들은 모두 희망하는 애착심이 있는 까닭이며, 만일 무심으로 희망하는 복덕이라면 이것은 무심한 희망만이 모인 것입니다.”
보영보살은 잠자코 있었다.
이구시는 다시 기제악취보살에게 물었다.
“아까 인자는 ‘성중에 있는 중생으로서, 악업이 있어서 장차 보를 받을 자로 하여금, 법을 봄으로써 현세에 경하게 받기를 원한다.’ 하였으니, 어떻게 되는 일입니까? ‘주처님은 업은 부사의라’고 말씀하셨으니, 인자의 말씀도 응당 부처님의 말씀을 어기지는 못할 것입니다. 인자가 만일 업을 능히 사의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미래에 받을 중한 죄업을 현세에서 경미하게 받도록 할 수 있습니까? 일체 모든 법은 모두 공해서 주장이 없는데, 인자는 어째서 지금 법을 얻었다 합니까? 인자가 만일 중한 업을 경하게 한다면 부처님 말씀과 어기는 것입니다.“
기제악취보살은 잠자코 있었다.
5 이구시는 다시 기제음개보살에게 물었다.
”인자는 아까 이렇게 말씀했습니다. ‘일체 인민들에게 오개가 덮이지 않도록 하겠다’고 이것은 어떻게 하신 말씀입니까? 인자가 만일 선정으로써 능히 중생으로 하여금 모든 덮개의 장애가 없게 한다면, 일체 법은 공해서 주장이 없는지라, 인자도 인자가 아니요 나도 내가 아니거니, 어찌 다른 사람에게 은혜를 베풀 수 있으리까?“
”먼저 자비심을 닦느니라.“
”일체 모든 부처님의 대자비심으로도 오히려 부처님의 국토 중에 있는 모든 중생들이 음개에 결박되어 번뇌하는 이가 있지 않습니까?“
기제음개보살은 잠자코 있었다. 이구시는 다시 관세음보살께 물었다.
”인자는 이렇게 말씀했습니다. ‘어떤 중생으든지 갇히거나 묶이거나 죽음을 당할 자는 곧 해탈을 얻으며, 공포가 있는 자 곧 두려움을 없게 한다’고. 그러면 그것은 취가 있게 닦는 것입니까, 취가 없이 닦는 것입니까? 만일 취가 있게 닦는 것이라면, 우치한 사람도 취가 있으니 이것이 옳지 않고, 만일 취가 없이 닦는 것이라면 무상이 아니요, 무상이 아니면 취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관세음보살은 잠자코 있었다.
이구시는 다시 변적 보살에게 물었다.
“인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어떠한 악심이 있는 중생이라도, 사랑하는 마음으로 서로 향하며, 연설에 모두 변재를 얻게 한다’고. 인자여, 이 변재라는 것은 인연에 있어서 얻는 것입니까, 인연이 없이 되는 것입니까? 만일 인연이 있다면 일체 무상은 모두 인연으로 일어나는 것이니, 그렇다면 적정을 얻지 못할 것이요, 만일 인연이 없다면 이것은 실상이 없는 것이라, 젼재를 얻는다고 말하지 못할 것입니다.”
변적보살은 말했다.
“나는 처음 보리심을 발할 때부터 이런 원을 세웠다. ’만일 어떤 중생이든지 나를 보는 자는 모두 변재를 얻으라‘고.”
이구시는 다시 물었다.
“인자여, 유심한 변재입니까, 무심한 변재입니까? 만일 유심한 변재라면 상견에 떨어질 것이요, 무심한 변재라면 단견에 떨어질 것입니다. 저 모든 언어를 인자는 어떻게 말합니까?”
변적보살읕 잠자코 있었다.
이구시는 다시 초도무허적보살에게 물었다.
“인자는 ’어떤 중생이든지 나를 보는 자는, 일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서 퇴전치 않는다‘고 말씀하였습니다. 어떤 것이 보리입니까? 보리라는 것은 유가 됩니까, 무가 됩니까? 만일 유라 하면 상에 착한 것입니다.”
초도무허적보살 대답했다.
“보리라는 것은 지혜 있는 자의 말로 보리라 설하는 것이니라.”
이구시는 다시 물었다.
“그 지혜라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생체입니까, 적정체입니까, 만일 생체가 된다면 생하는 것은 모두가 무상이니 무상은 정념이 아니요, 만일 모두가 무상이지마는 이것이 정념이라 한다면, 일체 우치한 사람도 모두 정념일 것입니다. 만일 적정체라면 그것은 무소득이니, 무소득이면 그것은 분별이 없는 것이라, 혹은 불설, 혹은 보살설, 혹은 아라한설, 혹은 범부설이 될 것입니다. 어째서냐 하면, 보리 도는 분별이 없지마는, 우치한 범부는 분별이 있으니, 분별이 있는 것은 밝은 지혜가 아닙니다.”
초도무허적보살은 잠자코 말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