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 시대의 정치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사대 - 서경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관리들을 감찰하였다.
2. 삼사 - 송의 제도를 본떠서 학술과 언론 기능을 담당하였다.
3. 중서문하성 - 당의 제도를 본받아 설치한 것으로 중앙 최고 관서이다.
4. 중추원 - 추밀은 군사 기밀, 승선은 왕명 출납을 담당하였다.
2번이 답인데요,,
1번에 어사대가 서경권을 갖고 잇다는게...
대간제도가 서경권을 갖고 있짢아요
대관이 어사대 관리
간관이 중서문하성 낭사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데, 이거 때문에 어사대가 서경권 갖고 있다고 하는건가여???
제가 보고 있는 기본서에 어사대는 정치의 잘잘못을 논하고 관리들의 비리를 감찰 규탄하는 업무만 한다고 써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그리고 동예요
<족외혼을 엄격하게 지켜 각 부족의 영역을 함부로 침범하지 못하게 하였다.>
이거 족외혼이 아니라 책화 아닌가요? 해설지에 이렇게 써있네영..;;; 실수이신가..
첫댓글 대간제도와 재추제도 인 합좌기구를 이해하시면 쉽게 아실수 있는데요,
대간제도란 대관과 간관을 합한말인데요
어사대 대간과 중서문하성에서 낭사를 하는 간관의 역할을 이해하시면 쉬워요
어사대는 감찰을 담당하고 낭사는 간쟁을 했죠
어사대와 낭사는 대체로 3가지 역할이 있어요
첫번째는 간쟁 즉 비판
두번째는 봉박 즉 잘못된 왕명을 되돌려 보내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서경이 있는데요 관리 임명권에 동의하는 고신서경과 법률의 개정과 폐정을 동의하는 의첩서경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