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아미타불...()...
청주집(淸珠集): 고령산 보광사 정원사주 환공당 석치조 편찬
청주집 서(淸珠集序) (1)
길 가는 사람을 붙잡고 “유교와 불교가 다른가?” 하고 물었더니 “다르다.”고 하였다. 유자후柳子厚1)가 “부도浮圖(불교)의 말씀이 밝은 지혜로 미루어 근원으로 돌아가서 타고난 고요함에 합하였다.”2)라고 말했던 것은 (불교가) 공자를 배척하지 않는다고 여긴 것이다. “대감大鑒의 도는 처음부터 끝까지 성선性善이어서 갈고 김맬 필요가 없었다.”3)라고 말했던 것은 (불교가) 맹자를 배척하지 않는다고 여긴 것이다. 그렇다면 구담씨瞿曇氏4)의 참된 가르침과 비밀스러운 진리는 애초에 유가儒家와 서로 맞아떨어지지 않은 적이 없고, 그들의 엄숙한 몸가짐과 도에 임하는 돈독한 자세 역시 거의 유문儒門에 머물렀던 율사律師들이었다.5)
부처님이 꽃을 들어 보이자 가섭이 미소 지었던 종풍은 아득히 멀어지고, 한차례 몽둥이를 휘두르고 한차례 고함을 질렀던 선지禪旨도 어두워졌도다! 이에 언어를 의지해 문자를 세운 천칠백 공안이 만들어져 처방에 따라 비슷하게나마 사람들에게 설명하게 되었다. 하지만 부지런히 마음을 쓸수록 법은 더욱 멀어졌고, 쏜살같이 세월이 흘러 어느새 정업淨業6)의 도가 희미해지고 마귀와 외도가 번갈아 들이닥치는 지경에 이르렀으니, 진실로 공문空門(불교)의 양구陽九7)로다.
석치조釋治兆는 정토왕생을 발원하는 결사의 깃발을 굳건히 세우고 30년 동안 하안거 결제를 하면서 뜻을 함께하는 승려 및 재가자들과 극락왕생할 날만을 힘써 생각해 온 자이다. 그가 선정의 희열을 즐기던 여가에 내전內典(불전)을 탐독하여 여러 집안의 아름다운 말씀들을 모으고, 한 사람에게만 전하며 비밀스럽게 부촉하신 뜻을 가려 뽑아 이를 엮어 하나의 책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책이 완성되자 맨발로 달려와 나에게 서문을 부탁하였다.
나는 유자儒者의 무리이다. 불교 집안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데, 무슨 수로 이 책이 크고 작은 수행자들을 깨우치기에 충분한 점이 있다는 것을 간파할 수 있겠는가? 하지만 일단 읽어 보았더니, 그 말씀이 간결하면서도 의미가 풍성하고 뜻이 정밀하면서도 많은 것을 포괄하고 있어 꼭 특별히 솜씨와 안목을 갖추지 못했더라도 저절로 골수를 훤히 볼 수 있었다. 지름길로 조사의 방으로 나아가 연등이 밝힌 길을 따라서 보배 뗏목을 타고 저 언덕에 올랐으니, 황홀한 것이 사자좌獅子座 아래에서 해조음(潮音)8)을 듣는 것 같았다. 이것이 큰 환희가 아니겠는가?
아, 현겁이 침몰하면서 상교象敎(불교)가 쇠퇴하여, 치조처럼 문빗장을 열어젖히고 보배를 세는 자가 있다는 소리를 들어 본 적이 없구나! 치조는 몸가짐을 엄숙히 하고 도를 독실하게 믿어 스스로 문필가를 자처하면서 고덕들이 전하지 않은 비결을 수집해 일체중생을 제도하고자 하였다. 그렇다면 이 사람의 마음도 진실로 또한 괴로운 것이다.
경오년(1870, 고종 7)8월에 기수루綺樹樓 주인 소하거사 조성하9)가 서문을 짓다.
1) 유자후柳子厚 : 당나라의 문인 유종원柳宗元(773~819)을 말한다. 자후子厚는 자이다. 호는 하동河東이며, 유주 자사柳州刺史를 지냈기에 유유주柳柳州라고도 한다. 한유韓愈와 함께 고문古文 부흥 운동을 제창했던 문장가이자 정치가로서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저술로 『柳河東集』이 있다.
2) 부도浮圖(불교)의 말씀이~고요함에 합하였다 : 부도浮圖는 ⓢ Buddha의 음역이다. 부처님이 가르친 반본환원返本還源이 공자가 추구하였던 ‘선천적인 고요함(生而靜)’과 일치한다는 뜻이다. 『柳河東全集』 권6 「曹溪大鑒禪師碑」에 “공자께서 높은 지위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돌아가신 후에 그분이 남기신 말씀으로 세상을 지탱하였는데, 거기에 다시 양주楊朱ㆍ묵적墨翟ㆍ황제黃帝ㆍ노자老子가 왕창 뒤섞여 그 법칙이 갈가리 찢기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 부처님의 가르침이 뒤에 나와 밝은 지혜로 미루어 근원으로 돌아가 이른바 ‘선천적인 고요함(生而靜)’에 합하였던 것이다.(孔子無大位, 沒以餘言持世, 更楊墨黃老益雜, 其術分裂. 而吾浮圖說後出, 推離還源, 合所謂生而靜者.)”라고 하였다. ‘밝은 지혜로 미루어(推離)’에서 ‘이離’는 이괘離卦 즉 밝음을 뜻한다. 『周易』 「離卦 象」에 “밝음이 둘인 것이 이離가 되니, 대인이 이로써 밝음을 이어 사방을 비춘다.(明兩作離, 大人以, 繼明, 照于四方.)”라고 하였다. ‘선천적인 고요함(生而靜)’은 『禮記』 「樂記」에서 인용한 말로, “사람이 태어나면서 고요한 것은 하늘이 부여한 본성이고, 사물을 감지하면 움직이는 것은 본성의 욕구이다.(人生而靜, 天之性也. 感於物而動, 性之欲也.)”라고 하였다.
3) 대감大鑒의 도는~필요가 없었다 : 대감大鑒은 당나라 헌종이 육조 혜능慧能에게 내린 시호이다. 육조 혜능이 가르친 청정본연淸淨本然이 맹자가 가르친 성선설性善說과 일치한다는 뜻이다. 『柳河東全集』 권6 「曹溪大鑒禪師碑」에 “그의 도는 무위無爲를 유有로 삼고, 텅 빈 것(空洞)을 실實로 삼고, 광대하면서도 방탕하지 않은 것을 귀착점으로 삼았다. 그는 사람을 가르침에 있어 ‘타고난 성품이 선하다(性善)’는 것에서 시작해 ‘타고난 성품이 선하다’는 것으로 끝맺었으니, 갈고 김맬 필요도 없이 본래 그것은 고요한 것이었다.(其道以無爲爲有, 以空洞爲實, 以廣大不蕩爲歸. 其敎人, 始以性善, 終以性善, 不假耘鋤, 本其靜矣.)”라고 하였다.
4) 구담씨瞿曇氏 : 부처님을 가리킨다. 구담瞿曇은 ⓢ Gotama의 음역으로, 석존釋尊의 성이다.
5) 그들의 엄숙한~머물렀던 율사律師들이었다 : ‘그들’은 공자와 맹자를 비롯한 유생을 가리킨다. 진실한 유생은 승려와 외형만 다를 뿐 실제 행실에서는 불교의 율사와 차이가 없다는 뜻이다. 이 문장은 전겸익錢謙益이 지은 「陽明近溪語要序」에서 인용한 것이다.
6) 정업淨業 : 보시布施ㆍ지계持戒ㆍ염불念佛 등 정토왕생의 원인이 되는 행동을 말한다.
7) 양구陽九 : 엄청난 재앙을 뜻한다. 음양가에서 구九는 양陽의 극수極數로, 양만 있고 음이 없으므로 만물이 교섭을 할 수 없어 천하가 어지러워진다고 한다.
8) 해조음(潮音) : 부처님의 웅장한 음성을 파도 소리에 비유한 것이다.
9) 조성하趙成夏(1845~1881) : 조선 말의 문신. 자는 순소舜韶, 시호는 문헌文獻. 병조판서 병준秉駿의 아들로 병구秉龜에게 입양되었으며, 신정왕후 조씨의 친정 조카이다. 평안도 관찰사ㆍ이조판서ㆍ의정부 좌참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金剛山記』가 있다.
출처: '동국대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첫댓글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_()_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감사합니다 청주집 인터넷 서점에 있습니다 일독 권합니다
청주집을 동국대 불교아카이브에서 보는 것은 문제가 없으나
책의 내용을 그대로 게재하는 것은 저작권 이나 사용이 가능한지 확인이 필요한 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