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관세폭탄에 BC주 전면전 태세... "강력 대응할 것"
트럼프 25% 관세에 보복조치 준비... 미국 여행 자제령도
BC주 원주민·기업계 "자원산업 타격" 특별대책반 가동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산 제품에 25% 관세 부과를 예고하자 BC주가 강력한 대응 태세에 돌입했다.
데이비드 이비 BC주 수상은 21일 다음달 1일부터 시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의 관세 조치를 BC주 가정을 겨냥한 의도적 경제 공격으로 규정하고, 미국 여행과 소비를 재고해야 한다고 밝혔다.
BC주는 미국의 관세 위협에 맞서 플로리다산 오렌지주스에 대한 보복관세를 검토하고 있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미국산 와인과 주류의 BC주 내 판매 제한, 알래스카로 향하는 미국 트럭에 대한 통행료 부과, BC주 기반시설 사업의 미국 기업 입찰 제한까지 고려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BC주 정부는 무역·경제안보 특별대책반을 출범시켰다. 대책반은 브리짓 앤더슨 밴쿠버무역위원회 대표, 조나단 프라이스 텍 리소스 최고경영자, 타마라 브루먼 밴쿠버국제공항 최고경영자가 공동위원장을 맡아 이끈다.
원주민 사회도 대책반에 참여한다. 원주민 정상회의와 BC주 원주민 의회는 관세 부과가 임업, 광업, 천연가스 등 원주민 지역사회의 주요 수입원인 자원 산업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BC주 정부는 미국 소비자들이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을 체감하게 되면 관세 정책이 재검토될 것으로 보고 있다. BC주는 원주민 대표들과 2일간의 회의를 통해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반면 존 러스태드 BC주 보수당 대표는 이비 수상이 실질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기보다 트럼프를 정치적 적으로 규정하며 당파적 이해관계만 추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러스태드 대표는 관세와 경제적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는 긴장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앨버타주도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다니엘 스미스 앨버타주 수상은 보복관세보다는 미국이 앨버타주의 석유 자원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활용해 관세 위협을 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