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버드대학 도서관 명언 30
1. 지금 잠을 자면 꿈을 꾸지만 지금 공부하면 꿈을 이룬다.
2. 내가 헛되이 보낸 오늘은 어제 죽은 이가 갈망하던 내일이다.
3. 늦었다고 생각했을 때가 가장 빠른 때이다.
4.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마라.
5. 공부할 때의 고통은 잠깐이지만 못 배운 고통은 평생이다.
6. 공부는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노력이 부족한 것이다.
7. 행복은 성적순이 아닐지 몰라도 성공은 성적순이다.
8. 공부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 그러나 인생의 전부도 아닌 공부 하나도 정복하지 못한다면 과연 무슨 일을 할 수 있겠는가?
9. 피할 수 없는 고통은 즐겨라.
10. 남보다 더 일찍 더 부지런히 노력해야 성공을 맛 볼 수 있다.
11. 성공은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다. 철저한 자기 관리와 노력에서 비롯된다.
12. 시간은 간다.
13. 지금 흘린 침은 내일 흘릴 눈물이 된다.
14. 개같이 공부해서 정승같이 놀자
15. 최고를 추구하라. 최대한 노력하라. 그리고 최초에는 최고를 위한 최대의 노력을 위해 기도하라.
16. 미래에 투자하는 사람은 현실에 충실한 사람이다.
17. 학벌이 돈이다.
18. 오늘 보낸 하루는 내일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19. 지금 이 순간에도 적들의 책장은 넘어가고 있다.
20. no pains no gains. 고통이 없으면 얻는 것도 없다.
21. 꿈이 바로 앞에 있는데, 당신은 왜 팔을 뻗지 않는가?
22. 눈이 감기는가? 그럼 미래를 향한 눈도 감긴다.
23. 졸지 말고 자라.
24. 성적은 투자한 시간의 절대량에 비례한다.
15. 가장 위대한 일은 남들이 자고 있을 때 이뤄진다.
26. 지금 헛되이 보내는 이 시간이 시험을 코앞에 둔 시점에서 얼마나 절실하게 느껴지겠는가?
27. 불가능이란 노력하지 않는 자의 변명이다.
28. 노력의 대가는 이유 없이 사라지지 않는다.
29. 오늘 걷지 않으면 내일은 뛰어야 한다.
30. 한 시간 더 공부하면 마누라 얼굴이 바뀐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 몸을 닥고 집을 가지런히 한후 천하를 평화롭게 하자.
입춘대길 건양다경
청춘 불재래: 청춘은 두번 다시 오지 않는다
정신일도하사불성
만사형통
필생즉사 필사즉생: 반드시 살라고하면 죽고,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면 살것이다<이순신 장군 난중일기>
백사대길 : 백사 만사 대길
덕북고 필유인: 덕은 외롭지 않으니 반드시 이웃하는 이가 있다
독서백편의자통: 독서 백번하니 뜻이 스스로 통하더라 義 뜻의
만사종관 기복자후: 만사 너그러움을 좇으면 그 복이 스스로 두터워 지느니라
숭조 애친 화합 건강
신의 우애 근검 실천
효행 화목 우애 성실
서기집문: 상서로운 좋은 기운이 문으로 모여들다
장명부귀: 오래 살고 부자되고 승진하시고
효행 화목 우애 성실
근위무가지보: 부지런함은 돈주고도 살수없는 보배가 된다
가기만고당: 아름다운 좋은 기운이 집안에 가득 하시길
유지자사경성: 뜻이 있으면 마침내 이루어 지다
서요중문증백복: 사서로운 좋은 기운이 문마다 걸려 백복을 더하고
춘회갑제집천상: 갑제하고 천가지 상서로움이 더하소서
천증세월인증수: 하늘이 준 세월 사람이 더 노력하여 오래사시고
춘만건곤복만가: 봄기운이 하늘과 땅에 가득하여 복도 맣으소서
천상운집가성원: 천만가지 사서로움이 가득하여 집안 잘됨소리 멀리 퍼지고
백복연증세업장: 백복이 해마다 더해 대대로 하는일이 잘되소서
순즉감천: 순리대로 되면 하늘에 감사하고 역즉기천:거슬리면 하늘에 기도하고 물비어흉:흉한데 비교하지 말고
물교어약: 약자에게 교만하지 말고 수이불망: 받은건 잊지말고 수이망지: 베푼것은 잊어 버리자
학선자정 연후정인 : 먼저 스스로 바르게 공부하고 그런뒤 남을 바르게 하고
조신입혜 필천위사 : 자신을 조절하여 지혜로움에 들면 반드시 높은 사람이 될 것이다
길인행덕 상수적증 : 좋은일하는 사람이 덕을 행함에 서로 더 쌓음에 따르면
감심위지 복응자연 : 감사하는 마음으로 그것을 하면 복이 자연이 따르더라
순행정도 물수사업 : 순리대로 행동하고 바른 길로 가며 사행성을 안하면
행주와안 세세무환 : 길갈때나 누워있을때나 편안하고 대대로 근심이 없도다
고난극복 학문연마
미래창조 대망성취
근면성실 책임완수
언행일치 충효가본
治家勤儉(치가근검): 집안에는 부지런하고 검소하고, 聽政廉淸(청정염청): 정치하는이는 청렴해야하고
持己莊重(지기장중): 몸가짐은 씩씩하고 무겁게 待人謙和(대인겸화): 사람을 대할때는 겸손하고 화목하게
효친 경례 봉선 우애
문영춘하추동복: 문으로는 봄 여른 가을 겨울 복을 맞이하고
호납동서남북재: 집안으로 동 서 남 북에서 재물이 들어오다
문영효일재원광: 문으로는 새벽부터 많은 재물을 맞이하고
호납춘풍길다경: 집안으로 봄바람같은 길한 좋은 경사가 많기를
막장심내사 설여고인지: 마음안에 일을 감춰두고 친구에게도 말하지말라
공혹정소일 번성대시비: 혹 정이 성긴뒤 큰 시비를 이룰까 두려워 함이라
爲身第一 常自勉學(위신제일 상자면학): 자신을 제일로 만들고자하면 항상 스스로 공부에 힘쓰라
利乃誨人 不倦卽智(이내회인 불권즉지): 이로우면 남을 가르치며 이를 게을리하지 않으면 지혜롭다 하리라
榮輕辱淺 利重害深(영경욕천 이중해심): 영화로움이 가벼우면 욕됨이 얇고, 이익이 무거우면 해미침이 깊다
作不善卽 吉變爲兇(작불선즉 길변위흉): 선하지 않은일을 하면 길함이 변하여 흉함이 된다
.雖誦千言 句義不正(수송천언 구의부정): 비로 천마디를 외워도 글뜻이 바르지 못하다면
不如一要 聞可滅意(불여일요 문가멸의): 들어와 마음을 고요하게 할수있는 단 한미디의 주요한 글귀가 낫다
春若不耕(춘약불경)이면 秋無所望(추무소망)이요: 봄에 씨뿌리지 않으면 가을에 거둘것이 없고
終身之計 莫如樹人(종신지계 막여수인): 일생동안의 계획은 인재를 가꾸는 것보다 나은것이 없다
元亨利貞 天道之常(원형이정 천도지상): 원형이정은 천도의 떳떳함이요
仁義禮智 人性之綱(인의예지 인성지강): 인의예지는 인성의 근본이라
一一切唯心造 일체유심조: 일체 모든것은 마음먹기에로 만들어 진다
百世淸風 백세청풍: 백대 되도록 맑게 살아가세
壽山福海 수산복해: 산처럼 오래살고 복은 바다처럼 낣고
無患有福 무환유복: 우환 없이 복 많으시기를
自强不息 자강불식: 스스로 강하게 쉬지말고
滿招損謙受益 만초손 겸수익: 가득하면 넘치고 겸손하면 이익이 있다
대지원망: 큰 뜻 품고 멀리 바라보면
근자필성: 부지런한 사람은 바드시 성공 한다
家和萬事成 가화만사성: 빕안이 화목하면 만사가 잘된다
和氣致祥 화기치상: 화합하는 기운은 상서로움을 이룬다
春風堂上通佳氣(춘풍당상통가기) 봄바람에 당상에는 아름다운 향기가 지나가고
夜雨庭前種好花(야우정전종호화) 밤비에 뜰앞에선 좋은 꽃을 심는다
苦盡甘來 고진감래: 고생이 다하면 달콤한 좋은 일들이 온다
心淸事達 심청사달: 마음이 청렴하면 일이 잘된다
盡人事待天命 진인사대천명: 사람이 할수있는 일은 다해놓고 천명을 기다리자
切磋琢磨 절차탁마: 갈고닥고 갈고닥고
無汗不成 무한불성: 땀흘리지 않으면 이루지지 못한다
氣山心海 기산심해: 기는 산같이 마음은 바다처럼 넓게
根深枝榮 근심지영: 뿌리깊은 나무는 가지도 무성하다
溫故知新 온고지신: 옛것으로 새로움을 찾다
堂上父母千年壽(당상부모천년수): 집안의 부모님은 천수를 누리시고
膝下子孫萬世榮(슬하자손만세영): 슬하의 자손들은 만대까지 영화롭기를
爲身第一 常自勉學(위신제일 상자면학): 자신을 제일로 만들고자하면 항상 스스로 공부에 힘쓰라
利乃誨人 不倦卽智(이내회인 불권즉지): 이로우면 남을 가르치며 이를 게을리하지 않으면 지혜롭다 하리라
和氣滿堂 화기만당: 화합하는 기운이 가득한 집
千祥雲集 천상운집: 천가지 상서움이 구름처럼 모이다
積善萬福 적선만복: 선을 쌓으니 만가지 복이 온다
禍福無門 惟人自招 화복무문 유인자초:재앙과 복은 문이 따로없다 사람이 스스로 부른것이다
積善之家 必有餘慶 적선지가 필유여경:선을 쌓은 집안은 반드시 경사로움이 있다
千客萬來 천객만래: 천 손님이 만곳에서 오신다
. 山海珍味 산해진미: 산과 바다에서 나온 진미 최고의 맛
, 靑出於藍而靑於藍 청출어람청어람: 푸른색은 쪽빛에서 아오나 쪽빛보나 푸르르고
氷水爲之而氷於水 빙수위지이빙어수: 어름은 물로 얼리어지나 물보다 차겁다
해海水不讓 해수불양: 바다물은 모든 물을 사양하지 안는다. 海水不讓水 해수불양수 泰山不讓土 태산불양토
50. 근검절약 실천생활 현실충실 모범행동
. 효도 우애 건강 성실
가가전충효: 집안에는 충성과 효도를 전하고
세수인경: 세상에는 사랑과 존경을 지키자
홍익인간: 널리 인간사회를 이롭게
이화세계: 인가셰계를 다스리자
대지원망: 큰 뜻 품고 멀리 바라보고
근자필성: 부지런한 사람 반드시 성공한다
안녕하세요
가훈.명언 족자 붓글씨 심혈을 기우려 역작 했습니다...열자 미만은 2만원, 이상은 3만원(택배비 포함) 택배로 보내 드립니다..
.<하나은행 224-910005-61908> 010-5755-5390 훈장 이기성
인사동 납품가격입니다 ...인사동에서 4~5만원...한지에 쓴 붓글씨 표구할수 있게 2장 보태서 보내드립니다...감사합니다..
후원: 백제한지010-3702-8995 02-734-3966,서울 종로구 인사동5길 15-1(가훈.명언 족자 4~5만원 판매)
아트인코 삼보당:종로구 인사동 13-2 전영수010-6232-7719 02-722-1052(인사동 사거리)
시집 장가 보내 드리고 싶어요(무료)
주위에 노처녀 노총각 눈에 많이 뜨여요, 처녀 부족 하다고 외국에서 수입 해오고 있는 실정을 보니 마음 아파서 무료 결혼 상담 방을 마련하여 여러분의 많은 호응을 기다립니다(있으면 있는대로, 없으면 없는대로...학력이 높으면 높은대로,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짝이 꼭 있답니다...문을 두드립시요...성실한 자세로 최대한 마음에 드시는 배필을 연결해 드리겠습니다...)
1) 성 명 : 2). 본관(예,전주이씨 등) :
3) 생년월일(띠, 음력, 양력, 세)) :
4) 형제유무( 예, 1남 1녀 중 1남 등) :
5) 출신학교( 예, 서울공고 졸, 서강대 법학과 졸 등):
6) 전화번호( 예, 부모 전화, 본인전화 ):
7) 직업(현재 하고계시는 일), 월급( 원):
8) 요구사항(하고싶은 말):
9) 기타(처음혼인, 재혼):
10) 종교(예, 기독교, 장로교, 불교 등):
11) 신장(키):
12) 공개 비공개
연락처:서울방배한문서당 결혼상담방(010-5755-5390) 서울시공무원정년퇴임 훈장수훈자
가훈.명언 붓글씨(서예대전 입선 특선 다수), 동영상강의(기초 부수명칭 약자. 중1,중2,중3,고등학교 한문. 사자소학 추구집 천자문 명심보감 효경 논어 중용 대학 서울방배한문서당( http://cafe.daum.net/bbchinese)무료 동영상 강의). 어릴적 죽계서당 탑선서당 하한서당 갈고닦고, 글씨 써 가족부양, 주경야독 방송통신대학 행정학과 졸 서울시 특별사법경찰과 수사반장. 33년여의 공직생활 옥조근정훈장 수훈. 12년 방배한문서당 야학 훈장. 붓글씨 초대작가 은상, 최선의 노력이 시되어 은빛모래섬진강가 똘감나무, 제2시집 곡나철산심청마을 똘감나무. 시집장가 보내기 무료봉사 등 소원성취 보은하려 합니다. 명품 가훈.명언 붓글씨 봉사 등 동참(하나은행 224-910005-61908 한지값) 감사드립니다. 리기성 배상 010-5755-5390
1. 治家勤儉(치가근검): 집안에는 부지런하고 검소하고, 聽政廉淸(청정염청): 정치하는이는 청렴해야하고
持己莊重(지기장중): 몸가짐은 씩씩하고 무겁게 待人謙和(대인겸화): 사람을 대할때는 겸손하고 화목하게
2. 瑞繞重門增百福(서요중문증백복): 상서로운 기운이 중문에 얽혀 백복을 더하고
春回甲第集千祥(춘회갑제집천상): 돌아올 봄에는 갑제하고 천가지 상서로운 일들이 모여들길
3.天增歲月人增壽(천증세월인증수) 하늘은 세월을 늘리고 사람은 수명이 늘어나며
春滿乾坤福滿堂(춘만건곤복만당) 봄은 천지에 가득하고 복은 집에 가득하네
4.千祥雲集家聲遠(천상운집가성원) 천상이 모여드니 가성이 멀리까지 전해지고
百福年增世業長(백복년증세업장) 백복이 해마다 늘어나니 세업이 길어지네
5.門迎春夏秋冬福(문영춘하추동복) 문에는 춘하추동의 복을 맞고
戶納東西南北財(호납동서남북재) 집에는 동서남북의 재물을 들인다
6.門迎曉日財源廣(문영효일재원광) 문에 요일을 맞으니 재원이 넓고
戶納春風吉慶多(호납춘풍길경다) 집에 춘풍을 들이니 경사가 많도다
7.禍福無門 惟人自招(화복무문 유신자초): 재앙과 복은 문이 따로 없고, 사람이 스스로 부르는 것이니
積善之家 必有餘慶(적선지가 필유여경): 선을 쌓은 집안에는 반드시 남은 경사가 있을 것이다
8.堂上父母千年壽(당상부모천년수): 집안의 부모님은 천수를 누리시고
膝下子孫萬世榮(슬하자손만세영): 슬하의 자손들은 만대까지 영화롭기를
9.元亨利貞 天道之常(원형이정 천도지상): 원형이정은 천도의 떳떳함이요
仁義禮智 人性之綱(인의예지 인성지강): 인의예지는 인성의 근본이라
10. 山高水深 斯人不出(산고수심 사인불출): 산 높고 물맑은 곳에 사람이 드나들지 않음은
煙情霧想 其志可知(연정무상 기지가지): 연정무상 그 뜻을 알만하다
11.順行正道 勿隨邪業(순행정도 물수사업): 바른 도리를 쫓아 행하고 간사한 업을 따르지 않으면
行走臥安 世世無患(행주와안 세세무환): 다닐때도 누워있어도 편안하고 대대로 근심이 없을 것이다
12.榮輕辱淺 利重害深(영경욕천 이중해심): 영화로움이 가벼우면 욕됨이 얇고, 이익이 무거우면 해미침이 깊다
作不善卽 吉變爲兇(작불선즉 길변위흉): 선하지 않은일을 하면 길함이 변하여 흉함이 된다
3.吉人行德 相隨積增(길인행덕 상수적증): 착한 사람이 덕행을 행하니 서로 따르며 그행위 쌓아 가면서
甘心爲之 福應自然(감심위지 복응자연): 즐거운 마음으로 실천하니 복이 자연이 따른다
14.雖誦千言 句義不正(수송천언 구의부정): 비로 천마디를 외워도 글뜻이 바르지 못하다면
不如一要 聞可滅意(불여일요 문가멸의): 들어와 마음을 고요하게 할수있는 단 한미디의 주요한 글귀가 낫다
15.自愛身者 愼護所守(자애신자 신호소수): 스스로 자신을 사랑하는 자는 삼가 지켜야 할 바을 지켜라
希望欲解 學正不寐(희망욕해 학정불매): 알고자 희망한다면 바른것을 배우기 위해 잠들지 않는다
16.山高水深 斯人不出(산고수심 사인불출): 산 높고 물맑은 곳에 사람이 드나들지 않음은
煙情霧想 其志可知(연정무상 기지가지): 연정무상 그 뜻을 알만하다
17.爲身第一 常自勉學(위신제일 상자면학): 자신을 제일로 만들고자하면 항상 스스로 공부에 힘쓰라
利乃誨人 不倦卽智(이내회인 불권즉지): 이로우면 남을 가르치며 이를 게을리하지 않으면 지혜롭다 하리라
18.春若不耕(춘약불경)이면 秋無所望(추무소망)이요: 봄에 씨뿌리지 않으면 가을에 거둘것이 없고
終身之計 莫如樹人(종신지계 막여수인): 일생동안의 계획은 인재를 가꾸는 것보다 나은것이 없다
19.良好家庭多幸福(양호가정다행복) 좋은 가정에는 행복이 많고
文明世界共維新(문명세계공유신) 문명세계에는 유신을 함께한다.
20.五色祥雲增景福(오색상운증경복) 오색의 상서로운 구름은 경복을 더하고
一輪春日放紅光(일륜춘일방홍광) 일륜의 봄빛은 붉은 빛을 내는구나.
21.和氣自生君子宅(화기자생군자택): 화합하는 기운이 스스로 나는 군자의 집이요
春光先到吉人家(춘광선도길인가): 봄빛도 먼저 들어오는 길의의 집이 되자
22.學先自正 然後正人(학선자정 연후정인): 먼저 자신을 바르게 하는것을 배우고 남을 바르게 하라
調身入慧 必遷爲上(조신입혜 필천위상): 수신제가 지혜로운 사람이 되면 반드시 사람들의 스승이 되리라
23.桐千年老恒藏曲(동천년노항장곡): 오동나무는 천년 되어도 항상 감춰둔 소리가 나오고
梅一生寒不賣春(매일생한불매춘): 매화꽃은 일생동안 추워도 봄을 팔지 않는다
24.樹欲靜而風不止(수욕정이풍부지): 나무는 조용이 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아니하고
子欲養而親不待(자욕양이친불대): 자식은 봉양하고자 하나 어버이는 기다리지 못한다
25.山靑水綠春常在(산청수록춘상재) 산과 물이 푸르니 봄은 항상 머물고
人壽年豊福無邊(인수년풍복무변) 사람은 장수하고 풍년이 되니 복덕이 한없구나
26.常恐爲學之不及(상공위학지불급): 항상 학문을 함에는 미치지 못하였는지 두려워 하고
沒世而名稱不流(몰세이명칭불류): 죽은 뒤에도 이름이 세상에 흐르지 않을까 두려워 하라
27.修身者先正其心(수신자선정기심): 자신을 수련하려면 먼저 그 마음을 바르게 하고
見義不爲無勇也(견의불위무용야): 의를 보고 행하지 않음은 용기가 없는 사람이다
28.芝蘭自啓山川秀(지난자계산천수): 지초와 난초는 스스로 열어 산천에 빼어나고
松栢長留天地春(송백장류천지춘): 소나무와 잣백나무는 천지간에 오래 머무르니 봄갖도다
29.天道不絶來和氣(천도부절래화기): 천도 끊이지않아 화기가 오고
人道平和從萬世 (인도평화종만세 ): 인도평화가 만만세 로다
30.事不三思終有悔 人能百忍自無憂(사불삼사종무회 인능백인자무우)
31.學文千載寶 貪物一朝塵(학문천재보 탐물일조진): 학문은 천해 보물이요 물질을 탐함은 하루아침 티끌 같다
|
첫댓글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