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폴레옹 15년에 걸친 원정길… 주요 전투 비판적 분석 승용마 능력·경험 중요, 기후·환경변화 철저히 준비해야
다양한 조건으로 설치된 장애물을 신속·정확하게 통과하는 장애물 비월 승마. 말과 사람이 일체가 돼 예술적인 동작을 구현하는 마장마술. 이 두 경기에 크로스컨트리를 더해 점수를 합산하는 경기가 종합마술이다. ■ 비판의 관점 ‘전쟁론’의 2편 5장 비판적 분석에서는 먼저 비판에 대한 세 가지 관점을 말하고 있다. 비판적 서술에는 세 가지 활동이 있는데 역사연구는 의심스러운 사실에 대한 역사적 규명과 확인, 비판적 연구는 원인에서 결과를 추론하는 것이다. 그리고 비판은 수단에 대한 검토로 칭찬과 비난이 포함되는데, 이것으로부터 역사적 교훈을 도출해 낼 수 있게 된다. 클라우제비츠는 다음으로 나폴레옹의 1797년 이탈리아 원정부터 1812년 러시아 원정에 이르는 주요 전투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비판을 위해서는 이론적 통찰력뿐만 아니라 타고난 재능도 있어야 한다. 그 재능은 창조력인데 풍부한 정신력에 달려 있다. 이러한 자질을 갖춘 사람을 대가(大家·virtuosity)’라고 불렀다. 끝으로 이러한 비판의 세 가지 해악(害惡)을 말하고 있다. 첫 번째는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관점을 진정한 법칙처럼 사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전문용어, 기술적 표현, 은유와 같은 단편만 가져와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알맹이 없는 속 빈 껍데기(hollow shells)에 불과하다. 세 번째는 역사적 사례를 남용(用)하며 박식(博識)을 과시하는 것이다. 오만은 건전한 판단을 흐리게 하는데, 장애물 비월과 마장마술에서 잘했다고 방심하는 순간 장애물 경주에서 과오를 범하게 된다. ■ 종합마술 장애물 경주(steeplechase)는 17세기 말 영국의 귀족·지주들이 말을 타고 장애물을 뛰어넘으면서 여우를 쫓아 논과 들판에서 사냥하던 것에서 유래됐다. 출발점에서 골인 지점까지 표지가 일반적으로 교회의 첨탑(steeple)이었다. 그 이전의 사냥감은 주로 사슴·멧돼지·산토끼 등이었으나 양 떼를 침범해 훼손하는 여우를 사냥하게 됐다. 이 경기는 군사훈련의 성과물이며, 승마자의 능력과 함께 말의 속도와 내구력·순종을 겨루는 경기로 발전했다. 처음에는 출전선수 모두 군사 관계자의 기수로 한정돼 있었는데, 20세기 중반 무렵부터 일반인들이 참가하면서 스포츠로서의 종합마술(eventing) 경기가 널리 인정받게 됐다. 장애물 경주, 즉 크로스컨트리는 자연 지형과 유사한 야외 경로에 설치된 고정식 장애물을 통과하는 것으로 길이 약 5700미터, 경기 시간 약 10분, 평균속도 분당 570미터, 장애물 높이 1.3미터 이하의 자연 장애물을 최대 45개 설치한다. 크로스컨트리 경기는 종합마술 경기에서 가장 위험한 종목이다. 경사면에 굵은 통나무 등으로 고정 장애물이 설치돼 있고 도랑과 둑이 있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는 경기자나 승용마의 부상도 많이 발생하므로 숙달된 기량이 요구된다. 고정 장애물로는 자연 장애물과 인공 장애물이 다양하게 설치된다. 종합마술은 모든 승마 경기 요소를 종합한 경기로 각 종목에 대한 숙달된 경험과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훈련을 통해 경기 능력을 충분히 배양하고 임해야 한다. 따라서 경기에 참가하는 승용마의 능력과 경험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또 기후나 환경적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사전에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언제든 다크호스가 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다크호스와 천군만마 다크호스(dark horse)는 본래 영국의 경마장에서 사용되던 속어다. 실력이 증명된 바 없는 검은 말이 뜻밖에도 승리를 거둬 경주의 변수로 작용하자 생겨난 말이다. 여기서 dark는 ‘일반에게 알려지지 않은 비밀’이라는 뜻이다. 검은 말이 일반인들에게는 정체불명의 말이었지만, 사실은 유명한 말의 가죽을 검게 염색해 전혀 다른 말인 것처럼 이름을 바꾸고 대회에 출전시킨 말이었다. 그 내용을 훤히 알고 있는 기수와 그의 친구들은 그 말에 걸린 마권을 구입해 엄청난 돈을 챙겼다고 한다. 이에 연유해 다크호스는 경마에서 의외의 결과를 가져올지도 모르는 예측 곤란한 말을 가리켰다. 또한, 실력이 감춰져 있어 경기나 선거 등에서 뜻밖의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선수나 후보를 의미하게 됐다. 곧 정체불명의 실력자를 말한다. 한편, 말과 관련된 용어 천군만마(千軍萬馬)는 천 명의 군사와 만 마리의 군마(軍馬)라는 뜻으로 많은 병력을 말한다. 그러나 천 명의 군사보다 유능한 참모(軍師) 한 명이 더 중요하다. 기원전 202년 중국을 통일한 漢나라 유방(劉邦)은 ‘성 열 개라도 장량 한 사람과 바꿀 수 없으며, 장량 한 사람이 나의 천군만마보다 낫다’라고 했다. 이것은 곧바로 ‘천군만마를 얻기는 쉬워도 뛰어난 참모 한 명을 얻기 힘들다’는 의미다. 오늘날 장량 같은 유능한 인재를 조그마한 흠이 있다고 묵히지 않는지 주변을 살펴볼 일이다. <오홍국 군사편찬연구소 연구관·정치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