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별마로의 토박이말로 다듬은 말모이
만든 날짜 - (2004-2-25(수), 2004-시샘달-25(수))
이 말모이에 올린 낱말들은 한글 학회[→갈모임]
누리집(www.hangeul.or.kr), 한글 문화 연대(www.urimal.org), 다음
카페 우리말 우리얼(cafe.daum.net/malel), 마알(www.maal.or.kr),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www.hanmalgeul.org), 간추린 우리말 사전[→
말모이](iregure.com.ne.kr), 그밖의[기타] 한글 우리말 관련 누리집
에서 따왔습니다. 그리고 그밖의 한자말이나 들온말[외래어]들은 제
손으로 말다듬기를 했습니다. 또한 '*'별표 부분은 아직 말다듬지 못
한 부분일 수도 있습니다.
다듬을 벼름[순화 안]<낱말>
====================
<< ㄱ >>
가리킴대이름씨(가리킴代이름씨) [---대애---] → 가리킴갈음이름씨
가수(歌手) → 노랫꾼
가입(加入) → (모람)들기
가입비(加入費) → (모람)들값
가입비용(加入費用) → (모람)들값
간투사(間投詞) → 느낌씨
감각(感覺) → 느낌
감각적(感覺的)- → 느낌스러운
감독(監督) → <연극 쓰임말/제작 쓰임말> 다루는이끔이, 다룸이끔이
, 다룸이끔꾼. 다룸이끌기.다뤄이끔, 다룸이끔
감미(甘味) → 단맛
감미로(甘味로)- → 달콤하-
감미롭다(甘味롭다) → 달콤하다
감미료(甘味料) → 단양념
감동사(感動詞) → 느낌씨
감탄(感歎) → 느낌
감탄사(感歎詞) → 느낌씨
감탄형 어미(感歎形語尾) → 느낌꼴씨끝
강(江) → 가람
강모음(强母音) → 밝은홀소리
강습(講習)[가앙습] → 갈배우기
강습소(講習所) → 배곧
개론(槪論) → 간추림풀이
개발(開發) → 일굼짜기(땅을 일구듯이 생각을 짜낸다에서 나온 말)
개발자(開發者) → 일굼짜기꾼
* 개심사(개심사) → 마음고치기, 마음열기, 마음덮기
개차(蓋車) → 닫힌차, 뚜껑차
건물(建物) → 지은몬
검색(檢索) → 찾기, 뒤지기, 뒤져찾기
검색엔진(檢索engine) → 찾을모
게시물(揭示物) → 걸개몬
게시판(揭示板) → 걸개판, 글터, 알림판
게임(game) → <슬기틀(셈틀) 쓰임말> 틀놀음<'셈틀로 즐기는 놀음(
연극)'의 뜻에서.>
게휴(憩休) → 쉼
격조사(格助詞) → 자리토씨, 자리토
결련(結連) → 잇기
결점(缺點) → 나쁜점
결코(決코) → <어찌씨> 바이, 아주, 도무지
결합(結合) → 붙음
결합되(結合되)- → 붙-, 오-
결합하(結合하)- → 붙-
경고(警告) → 큰일알림
경로(經路) → 이음길, 잇길[이읻낄], 낱길[나앋낄]
경영(經營) → 다룸꾸리기, 다룸꾸림(사람감[인재]를 다루어 일을 시
키고, 책임을 지고 꾸리는 데서 나온 말)
경영자(經營者) → 다룸꾸림마로, 다룸꾸림빛
경음화(硬音化) → 된소리되기
경작하(耕作하)~ → 가다루~ [가아--]
경쟁(競爭) → 겨룸, 겨루기
경주(競走) → 겨루기
경험(經驗) → 겪기
계략(計略) → 꾀, 꾀짜기
계모(計謀) → 꾀, 꾀짜기
계책(計策) → 꾀, 꾀짜기
계열(系列) → 갈래
* 계통(系統) → 겨레줄, 겨렛줄
고대(古代) → 옛뉘, 옛때
고려(考慮) → 따지기
고려하(考慮하)- → 따지-
고려하여(考慮하여) → 따져
* 고수(高手) → ?
고수부지(高水敷地) → 둔치
고어(古語) → 옛말
고유명사(固有名詞) → 홀이름씨, 홀로이름씨
고유어(固有語) → 토박이말
고의(故意) → 일부러
고의로(故意로) → 일부러
곡(曲)<'곡조(曲調)'의 준말> → 짜임가락, 지은가락, 가락
곡조(曲調) → 짜임가락, 지은가락, 가락
곡하(哭하)- → 슬퍼하-
곡함(哭함) → 슬퍼함
공개(公開) → 터놓음
공개하(公開하)- → 트-, 터놓-
공작(工作) → 만들기
공지(公知) → 알림
공지사항(公知事項) → 알림
공학(工學) → 쇠물레갈, 틀갈
관계사(關係詞) → 토씨, 토, 걸림씨
관람(觀覽) → <연극 쓰임말> 보다. 보기.
관람객(觀覽客) → <연극 쓰임말> 보시는 손님. 보는 손님.
관람비(용)(觀覽費(用)) → 보실값.
관리(管理) → 다룸, 꾸림, 다뤄꾸림, 다룸꾸림
관리자(管理者) → 다룸꾼, 바라지꾼
* 관용(寬容) → 너그러움
관형격(冠形格) → 매김자리
관형사(冠形詞) → 매김씨
광(狂)- → 사나운
광장(廣場) → 너른 터, 너른터
광풍(狂風) → 사나운 바람
교과서(敎科書) → 배움책, 배움길라잡이
교수(敎受) → <직업 이름> 갈스승, 누리갈스승
구(九) → <셈씨> 아홉
구(舊)- → 옛-, 오래된
구개음화(口蓋音化) → 입천장소리되기
구만(九萬) → <셈씨> 아홉거믄
구백(九百) → <셈씨> 아홉온
구백만(九百萬) → <셈씨> 아홉온거믄
구별(區別) → 가름
구분(區分) → 가름
구십(九十) → <셈씨> 아흔
구십만(九十萬) → <셈씨> 아흔거믄
구어(口語) → 입말
구억(九億) → <셈씨> 아홉잘
구천(九千) → <셈씨> 아홉즈믄
구천만(八千萬) → <셈씨> 아홉즈믄거믄
국어학(國語學) → 한말글갈.
국외(國外) → 나라밖
국학(國學) → 나랏갈
굴삭기(掘削機) → 땅파개
굴착기(掘鑿機) → 땅파개
권두언(卷頭言) → 머리말
극(劇) → <연극 쓰임말> 놀음.
극장(劇場) → <연극 쓰임말> 놀음마당. 놀음터<뜻섞임[혼동] 주의 :
놀이터>
근거(根據) → 터무니
근로자(勤勞者) → 가대기
근칭(近稱) → 가까운가리킴
금기(禁忌) → 꺼림
금기어(禁忌語) → 꺼림말
기술(技術) → 솜씨
기술(記述) → 풀어적기
기계공학(機械工學) → 쇠물레갈, 틀갈
기계화(機械化) → 틀삼기, 쇠물레삼기
기념(記念) → 맞이
기본수사(基本數詞) → 으뜸셈씨
기본형(基本形) → 본디꼴, 으뜸꼴
기사(騎士) → 말탈아비('말타다'와 '싸울아비'에서 따온 '-ㄹ아비'
의 짜임새)
기아(饑餓) → 굶주림
기자(記者) → 글메김꾼
기필코(期必코) <어찌씨> → 기어이. 꼭. 반드시. 틀림없이
끝음절(끝音節) → 끝낱내
<< ㄴ >>
나열할(羅列할) <이름씨> → 늘어놓을
남발하다(濫發하다) → 넘쳐쓰다
내용(內容) → 속내[소옹내]
내일(來日) → 하제
내포(內包)- → 담음
내포되(內包되)- → 담기-
내포하(內包하)- → 담-
네트워크(network) → 셈틀그물, 그물짜임, <>소식그물, 알림그물,
<>방송그물
-년(年) → - 해
노동자(勞動者) → 가대기
노출(露出) → 드러남, 드러냄, 비췸, 비침
노출 보정(露出補正) → 비침 고치기
노출 시간(露出時間) → 비친 동안, 열린 동안
노 코멘트(no comment) → (한)말씀없음
녹음(錄音) → 소리메김
논문(論文) → 갈글
농사(農事) <니혼 한자말> → 녀름, 녀름질 또는 녀름일, 녀름짓기
농사꾼(農事꾼) <니혼 한자말과 순우리말의 짜임새> → 녀름지기
농심(農心) <순한자말> → 녀름마음, 녀름지기의 마음
뉴(new) → 새-, 새로운
능동(能動) → 제힘
능력(能力, ability) → 일본새<북한 토박이말>, 깜냥
임무(任務) → 깜냥
<< ㄷ >>
다운로드(download) → 내려받기
다음 페이지(다음 page) → 아랫가리, 다음 쪽
단(單)- → 홑-
단모음(單母音) → 홑홀소리
단수(單數) → 홑셈
단소(短所) → 나쁜점
단어(單語) → 낱말
단위(單位) → 하나치
단음절(單音節) → 홑낱내
단음절어간(單音節語幹) → 홑낱내 씨줄기
단점(短點) → 나쁜점
단처(短處) → 나쁜점
-담(談) → -이야기, -얘기
답변(答辯) → 대꾸[대애-], 도움
~대(~大) <'대학교', '대학'의 준말.> → 누갈('누리갈배움터'의 준
말).
대(大) → 큰
대답(對答) → 대꾸[대애-], 도움
대등하(對等하)- → 걸맞-
대명사(代名詞) → 갈음이름씨(사물의 이름 대신에 말하는 이가 곧바
로 가리키는 낱말 갈래. '나, 너, 그, 이것, 저것, 무엇' 따위. )
대중(大衆) → 온무리
대중말(大衆말) → 온무리말
대비(對比) → 견줌
대비하(對比하)- → 견주-
대이름씨(代이름씨)[대애---] → 갈음이름씨
대신(代身) → 갈음
대신하다(代身하다) → 갈음하다
* 대웅전(大雄殿) → 큰법당, 큰절
대자연(大自然) → 큰살터
대체(代替) → 갈음
대학(大學, college) <'고등 학교'를 마친 다음의 마지막 단계의 고
등 교육 기관> → (1)누리갈배움터(university), (2)갈배곧, 앎갈터,
앎배곧
대학교(大學校, university) → 누리갈배움터(말밑[語源]: 토박이말
로 '세상'을 뜻하는 '누리'와 '학문','~학(學)'의 토박이말 '~갈',
학교를 뜻하는 '배움터'의 짜임새, '세상의 모든 학문을 배울 수 있
는 학교'라는 데서 나온 뜻)
* University <말밑[語源]> Universe('우주'(宇宙)라는 뜻의 잉글랜
드 말 낱말.)에서 따온 말.
대합실(待合室) → 맞이방
대화(對話) → 마주이야기, <준말> 마주얘기, 서로말(북한 토박이말)
댄스(dance) → 춤
도구(道具) → 연모
도안(圖案) → 볼꼴짜기
도치(倒置) → 자리바뀜
도치되(倒置되)- → 자리 바뀌-
돈(豚)- → 돼지-
-돈(豚) → -돼지
돈사(豚舍) → 돼지우리
돈육(豚肉) → 돼지고기
돈피(豚皮) → 돼지껍질, 돼지가죽
돌풍(突風) → 갑작바람
동물(動物) → 움직몬
동사(動詞) → 움직씨
동영상(動映象) → 움직그림
동전(銅錢) → 구릿돈
동화(同化) → 닮아바뀜
동화(動畵) → 움직그림, 움직그림놀음
동화(銅貨) → 구릿돈
두음(頭音) → 머릿소리
* 두음법칙(頭音法則) → 머릿소리법칙
드라마(drama) → 이음놀음.
등(等) → 따위, -까지, -들
등급(等級) → 켜자리, 눈높이, 서흐레, 대중, 가늠, 자리, 높이
등록(登錄) → 올리기, 싣기, 올려싣기
디자인(design) → 볼꼴짜기
딸림음(딸림音) → 딸림소리
땐스(dance) → 춤
<< ㄹ >>
라이프(life) → 목숨, 삶, -살이
래일(來日) <북한 한자말> → 하제
레벨(level) → 켜자리, 눈높이, 서흐레, 대중, 가늠, 자리, 높이
레이어(layer) → 켜
레포트(report) → 메김글
로그아웃(log out) → 문닫기, 나가기
로그인(log in) → 문열기, 들어가기
로동자(勞動者) <북한 한자말> → 가대기
로드(load) → 불러오기
로드하(load하)- → 불러오-
~론(論) → ~갈('한글갈'(한자말 풀이 : 正音學)에서 따옴.)
륙(六) → <셈씨> 여섯
륙만(六萬) → <셈씨> 여섯거믄
륙백(六百) → <셈씨> 여섯온
륙백만(六百萬) → <셈씨> 여섯온거믄
륙십(六十) → <셈씨> 예순
륙십만(六十萬) → <셈씨> 예순거믄
륙억(六億) → <셈씨> 여섯잘
륙천(六千) → <셈씨> 여섯즈믄
륙천만(六千萬) → <셈씨> 여섯즈믄거믄
리스트(list) → 가리, 팻말가리
링크(link) → 이어놓기, 잇기
<< ㅁ >>
만(萬) → 골, 거믄
만화(漫畵) → 그림놀음. 놀음그림.(사물[일몬]이나 인물들의 그림이
그려져 있고, 그 인물들이 어떤 일을 일으켰는지 전개하는 연극 형식
으로 짠 그림.)
만화영화(漫畵映畵) → 움직그림놀음. 움직놀음
매(每)- → -마다
매년(每年) → 해마다
매월(每月) → 달마다
매일(每日) → 날마다
매주(每周) → 달토막마다
메일링 리스트(mailing list) → 무리편지
메카닉스(mechanics) → 쇠물레갈, 틀갈
명(名) → 이름
명(名)- → 이름난
명사(名詞) → 이름씨
명사(名士) → 이름난 손님, 이름난 (샛)별
명령문(命令文) → 시킴월
명칭(名稱) → 이름
모니터(monitor) → 보임틀
모드(mode) → 본새
모바일폰(mobile phone) → 손전화
모음(母音) → 홀소리
모음집(모음集) → 모음(순 우리말이므로, 순 한글로만 적을 것.)
목록(目錄) → 팻말가리, 가리
목차(目次) → 차례(한글로만 쓸 것.)
몽환(夢幻) → 꿈꽃
<보기> 몽환 전사(夢幻戰士) → 꿈꽃 싸울아비
무개차(無蓋車) → 열린차
무개화차(無蓋貨車) → 열린차
무의미한(無義味한) → 뜻없는
문어(文語) → 글말
문장(文章) → 월, 글토막(북한 토박이말)
문맥(文脈) → 글흐름
문맥상(文脈上) → 글흐름에서
문법(文法) → 말본
문학(文學)→말꽃, 글꽃
물건(物件)<틀놀음 쓰임말> → 거리몬
(일몬[사물]따위를 나타내는'-거리'와 '물건'의 순수 토박이말인 '몬
'의 짜임새.)
물품(物品)<틀놀음 쓰임말> → 거리몬
뮤지컬(musical) → <연극 쓰임말> 가락놀음
미션(mission) → 깜냥
미술(美術) → 물감꽃, 어울꽃<조형과 그림 따위의 예술>
미장(美匠) → 볼꼴짜기
미점(美點) → 좋은점
민족(民族) → 겨레
밀접(密接) → 맞닿음
밀접하(密接하)- → 맞닿-
밀접하게(密接하게) → 맞닿게
밀접한(密接한) → 맞닿은
밀접히(密接히) → 맞닿게
<< ㅂ >>
반어(反語) → 거꿀말
발음(發音) → 말소리
발음하(發音하)- → 말소리내-
발췌(拔萃) → 간추림
방언(方言) → 사투리
방식(方式) → 본새
백(百) → <셈씨> 온
백(白) → 하양
백만(百萬) → <셈씨> 온거믄
백조(白鳥) → (흰)고니
<보기> 백조의 호수(白鳥의 湖水) → 고니의 샘못
백의민족(白衣民族) → 흰옷겨레
백혈구(白血球) → 흰핏돌, 흰피톨
버스(bus) → <이름씨> 모둠차, 모듬차
버튼(button) → 단추
번역(飜譯) → 뒤침, 뒤치기, 말뒤침, 말뒤치기
범주(範疇) → → 갈래, 갈래묶음, 버렁
변화(變化) → 달라짐, 바뀜
별세(別世) → 누리를 떠나다, 죽다. 돌아가시다.
병용(竝用) → 나란히 쓰기
보고(報告) → (1)메김글, 알림글, (2)알림
보고서(報告書) → 메김글, 알림글
보디 프레임(body frame) → <셈틀 쓰임말> 몸-쪽창
복모음(複母音) → 겹홀소리, 거듭홀소리
복사(複寫) → 베낌, 본뜸, 베껴놓기, 본떠놓기
보전(補塡) → 보탬
보조(補助) → <직업 이름>도우미
보조동사(補助動詞) → 도움움직씨
보조사(補助詞) → 도움토씨, 도움토
보조어간(補助語幹) → 도움줄기
보조어근(補助語根) → 도움뿌리
보조용언(補助用言)→ 도움풀이씨
보조조사(補助助詞) → 도움토씨, 도움토
보조형용사(補助形容詞) → 도움그림씨 [--그으--]
보통(普通) → 여느
보통명사(普通名詞) → 두루이름씨
보충(補充) → 보탬
보충하-(補充하)- → 보태-
보충하여-(補充하여)- → 보태어-
보충해-(補充해)- → 보태-
복사기(複寫機) → 본뜸틀, 본뜨개
복사용지(複寫用紙) → 본뜸종이
복수(複數) → 겹셈
복합어(複合語) → 겹낱말, 겹씨
본동사(本動詞) → 으뜸움직씨
본명(本名) → 본디이름, 본디 이름
본음(本音) → 제소리, 본딧소리
부교수(副敎受) → <직업 이름> 버금갈스승, 버금누리갈스승
부사(副詞) → 어찌씨
부사(父師) → 아버지와 스승, *아버지 겸 스승
부연(敷衍) → 덧붙임
부연(敷演) → 덧붙임
부연하(敷衍하)- → 덧붙이-
부연하(敷演하)- → 덧붙이-
부족(不足) → 모자람
부족하(不足하)- → 모자라-
분기점(分岐點) → 갈림길, 길갈림
불결(不潔) → 더러움
불결의(不潔의) → 더러운
불결한(不潔한) → 더러운
불완전동사(不完全動詞) → 모자란움직씨 [모오-----]
불완전명사(不完全名詞) → 매인이름씨, 안옹근이름씨, 꼴이름씨
불완전자동사(不完全自動詞) → 모자란제움직씨[모오------]
불완전타동사(不完全他動詞) → 모자란남움직씨[모오------], 안갖은
남움직씨
불완전형용사(不完全形容詞) → 모자란그림씨[모오--그으--], 안옹근
그림씨
불필요(不必要) → 쓸모없음
불필요하(不必要하)- → 쓸모없-
비공개(非公開) → 막기, 막아놓음
비교(比較) → 견주기, 견줌, 견주-
비교형용사(比較形容詞) → 견줌그림씨 [--그으--]
비문(碑文) → 빗돌글
비밀(秘密) → 몰래일
비밀글(秘密글) → 몰래글
비밀번호(秘密番號) → 열쇠글
비속어(卑俗語) → *쌍말
비지(碑誌) → 빗돌글
비판(碑版) → 빗돌글
* 빵 출산 시간표 → 빵 나오는 시간표, 새빵 나오는 때
뻐스(bus)<북한 들온말> → <이름씨> 모둠차, 모듬차
<< ㅅ >>
사(四) → <셈씨> 넷, 넉-, 네-
사랑학개론(사랑學槪論) → 사랑갈 간추림풀이
사동(使動) → 하임
사동사(使動詞) → 하임움직씨
사동형(使動形) → 하임꼴
사만(四萬) → <셈씨> 네거믄
사망(死亡) → 죽음
사물(事物) → 일몬
사물대명사(事物代名詞) → 가리킴갈음이름씨, 일몬갈음이름씨
사백(四百) → <셈씨> 넷온(순우리말, 순한글로만 적을 것.), 넉온
사백만(四百萬) → <셈씨> 넷온거믄
사십(四十) → <셈씨> 마흔
사십만(四十萬) → <셈씨> 마흔거믄
사어(死語) → 죽은 말
사억(四億) → <셈씨> 넷잘
사역(使役) → 하임
사역동사(使役動詞) → 하임움직씨
사역형(使役形) → 하임
사유(事由) → (일의)까닭
사이트(site) → <셈틀 쓰임말> 그물터, 누리터
사전(辭典) → 말가리, 말모이, 말광, 씨알이, 말거울, 낱말책, 말뭉
치
사정(査定) → 매김
사천(四千) → <셈씨> 넷즈믄
사천만(四千萬) → <셈씨> 넷즈믄거믄
사회(社會) → <이름씨> 모둠, 한모둠, 모둠누리
사회생활(社會生活) → <이름씨> 모둠살이
사후(事後) → 뒷일, 뒷 탈
사후(死後) → 죽은 뒤
삭제(削除) → 지우기, 없애기
산(山) → 뫼, 메
산수(算數) → 셈본
삼(三) → <셈씨> 셋, 석-, 세-
삼각형(三角形) → 세모꼴
삼만(三萬) → <셈씨> 셋거믄
삼백(三百) → <셈씨> 셋온, 셋온
삼백만(三百萬) → <셈씨> 셋온거믄
삼십(三十) → <셈씨> 서른
삼십만(三十萬) → <셈씨> 서른거믄
삼억(三億) → <셈씨> 셋잘
삼인칭(三人稱) → 세가리킴
삼천(三千) → <셈씨> 셋즈믄
삼천만(三千萬) → <셈씨> 셋즈믄거믄
삽요사(揷腰辭) → 속가지 [소옥--]
―상(上) <뒷가지> → -에
―상에(上에) → -에
―상에서(上에서) → -에서
―상(商) <뒷가지> → -가게
상업(商業) → 장사(순 한글로만 쓸 것.)
상인(商人) → 장사꾼
상점(商店) → 가게
생명(生命) → 목숨
생일(生日) → 난날, 돌(돐), 돌날(돐날), 귀빠진 날, 태어난 날.
생활(生活) → 삶.
-생활(-生活) → -살이
* 서비스(service) → 관리 = 돌보기(^.^)
서수사(序數詞) → 차례셈씨
서술(敍述) → 풀어적기
서술격(敍述格) → 풀이자리
서술격조사(敍述格助詞) → 잡음씨
서예(書藝) → 붓글씨꽃
서적(書籍) → 책
선택(選擇) → 고르기
선택하(選擇하)- → 고르-
설명(說明) → 풀이, 풀이말, 새김, 새김말
설정(設定) → 매김질, 매김
설치(設置) → <셈틀 쓰임말> 깔기, 얽어두기, 풀어넣기, 풀어깔기,
마련하기
설치기(設置機) → <셈틀 쓰임말> 깔개
설치하(設置하)~ → <셈틀 쓰임말> 얽어두~, 깔~, 풀어넣~, 풀어깔~,
마련하~
설치해제(設置解除) → <셈틀 쓰임말> 풀어없애-, 풀어치우~, 거둬없
애~, 거둬치우-
세계(世界) → 누리
세계화(世界化) → 누리삼기, 누리되기
세대(世代) → 뉘겨레
세력(勢力) → 힘기운
세상(世上) → 누리
세탁(洗濯) → 빨래
세탁기(洗濯機) → 빨래틀, 헹굼틀
소(小) → 작은
소사(燒死) → (불에) 타 죽다.
소통(疎通) → 어울트임
<어우러져서 트인 데서 나온 말. 자신의 말과 상대방의 말(의견, 의
사)이 어우러져서 잘 트이다(통하다)>
소트(sort) → 차례질, 가지런질
소팅(sorting) → 차례질, 가지런질
소표제(小標題) → 작은 팻말
소표제(小表題) → 작은 팻말
속음(俗音) → 익음소리
속음(屬音) → 딸림소리
수-(數) <관형사> → 몇, 여러, 조금
수동(受動) → 입음
수동사(受動詞) → 입음움직씨
수동형(受動形) → 입음꼴
수사(數詞) → 셈씨
수집(收集) → 모으기
수집가(收集家) → 모음꾼
수집하(收集하)- → 모으-
수학(數學) → 셈본. 셈갈.
수학(修學) → 배움닦기.
* 순 우리말, 토박이말 → 배달말, 겨레말
스킨(skin) → <여느[보통] 이름씨> 살갗, <셈틀 쓰임말> 틀본새, 바
탕새
스타(star) → <연예 쓰임말> 샛별. 별
스팸메일(spam mail) → 뿌림편지
승강기(昇降機) → 오르내림틀
시계(時計) → 때알이, 짹각이
시.이.오.(CEO, Chief executive officer) → 으뜸 다룸꾸림마로, <
준말 : 으다마로, 으뜸꾸림>
시스템(system) → (1)<여느 이름씨> 짜임차림, (2)<셈틀 쓰임말> 틀
차림
신(新)- → 새-, 새로운
신년(新年) → 새해
신생(新生) → 새내기
신세계(新世界) → 새누리
신용(信用) → 믿음
신용있(信用있)- → 믿음있는, 믿을 만한, 믿을 수 있는
신용할 만한(信用할 만한) → 믿음있는, 믿을 만한, 믿을 수 있는
신용할 수 있는(信用할 수 있는) → 믿음있는, 믿을 만한, 믿을 수
있는
신입(新入) → 새내기
신입생(新入生) → 새내기
신후(身後) → 죽은 뒤
실질명사(實質名詞) → 바탕이름씨
심판(審判) → 가름, 판가름
십(十) → <셈씨> 열
십만(十萬) → <셈씨> 열거믄
쏘트(sort) → 차례질, 가지런질
쏘팅(sorting) → 차례질, 가지런질
싸이트(site) → 그물터, 누리터
씨.이.오.(CEO, Chief executive officer) → 으뜸 다룸꾸림마로, <
준말 : 으다마로, 으뜸꾸림>
<< ㅇ >>
아사(餓死) → 굶어죽음
아이디(ID) → 또이름, 누리이름, 덧이름, 딴이름
아이콘(icon) → <셈틀 쓰임말> 그림딱지
아이템(item)<틀놀음 쓰임말> → 거리몬
(일몬[사물]따위를 나타내는'-거리'와 '물건'의 순수 토박이말인 '몬
'의 짜임새.)
아프터(after) → 뒷일, 뒷 탈
악극(樂劇) → <연극 쓰임말>노래꽃놀음
암산(暗算) → 속셈
암호(暗號) → 열쇠글
애니메이션(animation) → 움직그림, 움직그림놀음
애정(愛情) → 사랑, 사랑믿음
애프터(after) → 뒷일, 뒷 탈
야(野) → 들
야(夜) → 밤
약간(若干) → 좀, 조금, 얼마쯤
약모음(弱母音) → 어두운홀소리
약어(略語) → 준말
약칭(略稱) → 준말
양성 모음(陽性母音) → 밝은홀소리
양수사(量數詞) → 으뜸셈씨
어간(語幹) → 씨줄기, 줄기
어감(語感) → 말가락, 말느낌
어구(語句) → 토막글
어귀(語句) → 토막글
어근(語根) → 씨뿌리, 뿌리
어말어미(語末語尾) → 맺음씨끝
어문(語文) → 말글
어미(語尾) → 씨끝, 끝
어법(語法) → 말본
어원(語源) → 말뿌리, 말밑
어원(語原) → 말뿌리, 말밑
* 어원적(語源的) → 말뿌리, 말밑
* 어원적(語原的) → 말뿌리, 말밑
어학(語學) → 말글갈
어휘(語彙) → 말씀씀이
억(億) → <셈씨> 잘
언구(言句) → 토막글
언어(言語) → 말글, 말
언인스톨(uninstall) → <셈틀 쓰임말> 풀어없애-, 풀어치우~, 거둬
없애~, 거둬치우-
업로드(upload) → 올리기, 올려두기, 올려받기, 올려싣기
에니메이션(animation) → 움직그림, 움직그림놀음
에이치.티.엠.앨(HTML) → 그물바탕글, 누리바탕글
에이치.티.엠.엘(HTML) → 그물바탕글, 누리바탕글
에프터(after) → 뒷일, 뒷 탈
엘리베이터(elevator) → 오르내림틀
여격조사(與格助詞) → 닿을자리토씨
역(驛) → 머뭄터
역사(驛舍) → 머뭄터 지은몬, 머뭄몬('머뭄터 지은몬'의 준말)
역행 동화(逆行同化) → 거꾸로 닮아바뀜
연결(連結) → 잇기
연결어미(連結語尾) → 이음끝
연극(演劇) → <연극 쓰임말> 놀음.
연락(連絡·聯絡) → 이어 보냄
연락하다(連絡하다·聯絡하다) → 이어 보내다
연락없다(連絡없다·聯絡없다) → 이어 보낼 수 없다. 이어 보내지
못함.
연세(年歲) → 나이
연속극(連續劇) → 이음놀음.(한 편씩 이어서 보여주는 이야기 형식
의 놀음.)
연애(戀愛) → 사랑
연예(演藝) → 놀음꽃
연음하(連音하)- → 이어내-
연이어(連이어) → 잇달아
연잇(連잇)- → 잇달-
열거(列擧) → 늘어놓기
열거되(列擧되)- → 늘어놓이-
열거된(列擧된) → 늘어놓은, 늘어놓인
열거하(列擧하)- → 늘어놓-
열풍(熱風) → 더운바람
영화관(映畵館) → 빛놀음마당, 빛놀음터
영화(映畵) → 빛놀음('빛으로 비추는 놀음'에서 따온 말.뜻이 비슷
함.실제 나오는 사람들이 각각 인물들 구실[역할]을 맡아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보여주는 이야기 형식으로 만들어 빛으로 비추어 모든 관
람객들에게 보여주는 놀음.)
예술(藝術) → 꽃재주<꽃을 피우듯 재주를 부린다>
오(五) → <셈씨> 다섯
오골계(烏骨鷄) → 까막뼈닭, 검정뼈닭, 검은뼈닭
오동나무(梧桐나무) → 머귀나무
오동(梧桐) <'오동나무'의 준말> → 머귀
오만(五萬) → <셈씨> 다섯거믄
오백(五百) → <셈씨> 다섯온
오백만(五百萬) → <셈씨> 다섯온거믄
오십(五十) → <셈씨> 쉰
오십만(五十萬) → <셈씨> 쉰거믄
오억(五億) → <셈씨> 다섯잘
오염(汚染) → <이름씨><남움직씨> 더럽힘, 더럽히기
오천(五千) → <셈씨> 다섯즈믄
오천만(五千萬) → <셈씨> 다섯즈믄거믄
오토(auto)- → 제움직-
오토매틱(automatic) → 제움직
오페라(opera) → <연극 쓰임말> 노래놀음
오프라인(offline) → 끊김, 그물밖
온라인(online) → 이어짐, 그물안
* 온라인 게임(online game) → (셈틀 쓰임말) 그물안 틀놀음
온전히(穩全히) → <어찌씨>,<그림씨> 바이, 아주, 도무지
올드(old) → 옛-, 오래된
와이프(wife) → 아내, 마누라
완전동사(完全動詞) → 갖은움직씨
완전명사(完全名詞) → 옹근이름씨
완전자동사(完全自動詞) → 갖은제움직씨
완전타동사(完全他動詞) → 갖은남움직씨
완전형용사(完全形容詞) → 갖은그림씨
외계(外界) -> 바깥누리
외계인(外界人) -> 바깥누리사람
외국(外國) → 다른 나라
외국어(外國語) → 다른 나라말.
외국 드라마(外國drama) → 나라밖 이음놀음.
외래어(外來語) → 들온말, 들어온 말
외래-(外來) → 들온-, 들어온-
외부로그인(外部log in) → 나들문
외화(外畵) → 나라밖 이음놀음.
용량(用量) → ?
용량(容量) → 들이
용어(用語) → 쓰말, 쓰임말
용언(用言) → 풀이씨
용지(用紙) → 종이
우주(宇宙) → 검누리
우측(右側) → 오른쪽
운명(運命) → 간들
원(元) → 으뜸
원(元)- <'원래(元來)'의 준말>→ 본디-
원(原)- <'원래(原來)'의 준말>→ 본디-
원래(元來) → 본디
원래(原來) → 본디
원말(原말) → 본딧말
원어(原語) → 본딧말
원칭(遠稱) → 먼가리킴 [머언---]
원형(原形) → 본디꼴
웰비잉(well-being) → 아늑살이
웰빙(well-being) → 아늑살이
웹브라우저(web browser) → 그물창
웹사이트(website) → <셈틀 쓰임말> 그물터, 누리터
웹싸이트(website) → <셈틀 쓰임말> 그물터, 누리터
유개차(有蓋車) → 닫힌차, 뚜껑차
유지(油紙) → 기름종이.
유지(維持) → 지킴
유지비(維持費) → 지킬값
유지비용(維持費用) → 지킬값
유지되(維持되)- → 지켜지-
유지하(維持하)- → 지키-
육(肉) → 고기, 살
육(六) → <셈씨> 여섯
육만(六萬) → <셈씨> 여섯거믄
육백(六百) → <셈씨> 여섯온
육백만(六百萬) → <셈씨> 여섯온거믄
육십(六十) → <셈씨> 예순
육십만(六十萬) → <셈씨> 예순거믄
육억(六億) → <셈씨> 여섯잘
육천(六千) → <셈씨> 여섯즈믄
육천만(六千萬) → <셈씨> 여섯즈믄거믄
음(音) → 소리
음가(音價) → 소리값, 소릿값
음모(陰謀) → 어둠꾀, 어둑꾀('어둑어둑한 새벽'을 뜻하는 '어둑새
벽'에서 따온 '어둑'과 '꾀'의 짜임새)
음성(音聲) → 목소리, 소리
음성 모음(陰性母音) → 어두운홀소리
음악(音樂) → 소리꽃
음절(音節) → 낱내, 소리마디
의문형 어미(疑問形語尾) → 물음꼴씨끝
의문형 종결 어미(疑問形終結語尾) → 물음꼴맺음끝, 물음꼴마침끝
의미(義味) → 뜻
의사소통(意思疎通) → 마음어울트임, 뜻어울트임
의상(衣裳) → 옷차림
의장(意匠) → 볼꼴짜기
의존동사(依存動詞) → 도움움직씨
의존명사(依存名詞) → 매인이름씨, 안옹근이름씨, 꼴이름씨
의존형용사(依存形容詞) → 도움그림씨 [--그으--]
이동전화(移動電話) → 손전화
이메일(e-mail) → 그물편지, 그물우편, 누리편지, 누리우편, 전자우
편
* 이산가족상봉(離散家族相逢) -> 헤어진 식구들 만나다
이십만(二十萬) → 스무거믄
이전(以前) → 앞으로, 앞 쪽(으로)
이전 페이지(以前page) → <셈틀 쓰임말>윗가리, 앞 쪽
이중 모음(二重母音) → 겹홀소리, 거듭홀소리
이유(理由) → 까닭
인스톨(install) → 얽어두~, 깔~, 풀어넣~, 풀어깔~, 마련하~
인용(引用) → 따옴
인용하(引用하)- → 따오-
인터넷(internet) → 누리그물, 그물누리
인터페이스(interface) <셈틀 쓰임말> → 사이틀
인칭(人稱) → 가리킴
인칭대명사(人稱代名詞) → 가리킴갈음이름씨
일(一) → <셈씨> 하나, 한-
일인칭(一人稱) → 한가리킴
일기(日氣) → 날씨
일기(日記) → 날적이
일람(一覽) → 가리
일만(一萬) → <셈씨> 한거믄
일반(一般) → 여느
일백(一百) → <셈씨> 한온, 온
일백만(一百萬) → <셈씨> 한온거믄, 온거믄
일억(一億) → <셈씨> 한잘
일족(一族) → 뉘겨레
일천(一千) → <셈씨> 한즈믄, 즈믄
일천만(一千萬) → <셈씨> 한즈믄거믄
이(二) → <셈씨> 둘, 두-
이인칭(二人稱) → 두가리킴
이롭다(利롭다) → 좋다
이로운 점(利로운 점) → 좋은점
이만(二萬) → <셈씨> 둘거믄
이백(二百) → <셈씨> 둘온
이백만(二百萬) → <셈씨> 두온거믄
이십(二十) → <셈씨> 스물, 스물-(옆에 숫자), 스무-(단위)
이십만(二十萬) → <셈씨> 스물거믄
이억(二億) → <셈씨> 둘잘
* 이점(利點) → 좋은점
이천(二千) → <셈씨> 둘즈믄
이천만(二千萬) → <셈씨> 둘즈믄거믄
<< ㅈ >>
자동(自動) → (1)제움직((쇠물레[기계]따위가)제힘으로 움직임),
(2)제움직씨
자동문(自動門) → 제움직문
자동사(自動詞) → 제움직씨
자동차(自動車) → 제움직차
자립명사(自立名詞) → 옹근이름씨
자모(子母) → 낱자
자연(自然) → 살터
자연스럽다(自然스럽다) → 살터스럽다
* 자유(自由) → 제(?)
자음(子音) → 닿소리
자음동화(子音同化) → 닿소리이어바뀜
자음접변(子音接變) → 닿소리이어바뀜
작곡(作曲) → 가락짓기
작문(作文) → 글쓰기
장단(長短) → 길고 짧음
장사(壯士) → 힘꾼, 힘센이
장사꾼(壯士꾼) → 힘꾼, 힘센이
장점(長點) → 좋은점
장처(長處) → 좋은점
저(著) → 지음
저서(著書) → (지은)책
저서명(著書名) → (지은)책 이름
저수지(貯水池) → 물모이못(북한)
저자(著者) → 지은이
저자명(著者名) → 지은이 이름
저작권(著作權) → 지음권
저장(貯藏) → 갈무리
적절(適切) → 알맞음
적절하-(適切하-) → 알맞-
적혈구(赤血球) → 붉은핏돌, 붉은피톨
전(全)- → 온-, 모든
전기(電氣) → 번갯숨, 번갯기운, 벼락숨, 벼락기운
전보(塡補) → 보탬
전사(戰士) → 싸울아비
전산(電算) → 셈틀, 슬기틀
전산기(電算機) → 셈틀, 슬기틀
전자계산기(電子計算機) → 셈틀, 슬기틀
전산화(電算化) → 셈틀되기, 셈틀삼기, 슬기틀되기, 슬기틀삼기
전세계(全世界) → 온누리
전자(電子) → 번갯씨, 벼락씨
전연(全然) → <어찌씨> 바이, 아주, 도무지, 조금도
전혀(全혀) → <어찌씨> 바이, 아주, 도무지
전혀(專혀) → <어찌씨> 오로지.
접두사(接頭辭) → 앞가지, 머릿가지
접두어(接頭語) → 앞가지, 머릿가지
접미사(接尾辭) → 뒷가지, 발가지
접미어(接尾語) → 뒷가지, 발가지, (끝가지)
접사(接辭) → 씨가지, 가지
접속(接續) → 이음
접속하-(接續하-) → 잇-
접속하여(接續하여) → 이어
접속하여서(接續하여서) → 이어
접속해(接續해) → 이어
접속해서(接續해서) → 이어서
접요사(接腰辭) → 속가지 [소옥--]
정렬(整列) → 차례질
정리(整理)[저엉니] → 가지런질, 추림질
정정(訂正) → 고침
정직(正直) → 올곧음[오올고듬]
정직하(正直하)~ → 올곧~[오올-]
정하(定하)- → 매기-
제목(題目) → 팻말, 푯말
제삼인칭(第三人稱) → 셋째가리킴
제시어(題示語) → 보임말
제이인칭(第二人稱) → 둘째가리킴
제일인칭(第一人稱) → 첫째가리킴
제품(製品) → 만든몬
조(兆) → 울
조(調)<'곡조(曲調)'의 준말> → 짜임가락, 지은가락, 가락
조(助)- → 도움-
조감독(助監督) → 도움다룸이끔꾼, 도움다룸이끔이
조교수(助敎受) → <직업 이름> 도움갈스승, 도움누리갈스승
조사(助詞) → 토씨, 토, 걸림씨
조수(助手) → 도우미, 도움벗
* assist(뜻 : 거들다, 거듦, 원조)
조동사(助動詞) → 도움움직씨
조명(照明) → <여느 이름씨> 비추개, 밝히개, <연극 쓰임말> 비추기
조미료(調味料) → 양념
조화(調和) → 어울림
조회(照會) → 읽음, 봄, 열어봄
종결(終結) → 끝맺음, 끝
종결(終結)시키- → 끝내-
종결어미(終結語尾) → 맺음끝, 마침끝
종결(終結)하- → 끝나-
종결형(終結形) → 맺음꼴
-종(種) → 갈래
종(種) → 씨, 씨앗
종류(種類) → 갈래
종자(種子) → 씨, 씨앗
좌측(左側) → 왼쪽
좌욕(坐浴) → 앉은미역, 앉은멱
주(周) → 달토막
주격(主格) → 임자자리 [이임---]
주격조사(主格助詞) → 임자자리토씨 [이임---]
주동사(主動詞) → 으뜸움직씨
주말(周末) → 달토막끝
주형용사(主形容詞) → 으뜸그림씨 [--그으--]
중(中) → 여느
중모음(重母音) → 겹홀소리, 거듭홀소리
중세(中世) → 가운뎃때
중세시대(中世時代) → 가운뎃때
<보기> 중세 판타지 → 가운뎃때 꿈꽃, 중세 기사 → 가운뎃때 말탈
아비
지가(地價) → 땅값
지각(知覺) → 깨달음.
* 지금(至今) → 오늘날, 요즘, 이제, 오늘
* 지금부터(至今부터) → 오늘부터, 이제부터
지도(指導) → 이끔다루기, 이끔다룸
지도교수(指導敎受) → <직업 이름> 이끔갈스승, 이끔누리갈스승
지도자(指導者) → 이끔마로, 이끔이, 이끔빛
지시관형사(指示冠形詞) → 가리킴매김씨
지시대명사(指示代名詞) → 가리킴갈음이름씨, 일몬갈음이름씨
지시부사(指示副詞) → 가리킴어찌씨
지시형용사(指示形容詞) → 가리킴그림씨 [---그으--]
지정사(指定詞) → 잡음씨
지하철(地下鐵) → 땅속쇳길, 굴쇳길
지하철도(地下鐵道) → 땅속쇳길, 굴쇳길
질문(質問) → 물음
-집(集) → 모음
<< ㅊ >>
착소 → 좁다
착소하다(窄小하다) → 좁다
창작(創作) → 애짓기
창작하(創作하)- → 애짓-
창조(創造) → 애짓기
창조하(創造하)- → 애짓-
창제(創制) → 애짓기
창제(創製) → 애짓기
책략(策略) → 꾀, 꾀짜기
책모(策謀) → 꾀, 꾀짜기
처(妻) → 아내, 마누라
-처(處) → (1)<이름씨> -데, (2)<이름씨>
천(千) → <셈씨> 즈믄
천(川) → 내, 냇가, 냇물
천기(天氣) → 날씨
천만(千萬) → <셈씨> 즈믄거믄
* 천문학 → 검누리갈
천지(天池)→하늘못
천지(天地)→하늘과 땅
첨가(添加) → 덧붙음, 더함
첨가되(添加되)- → 덧나-
첨가하(添加하)- → 덧붙이-, 더하-
첨부파일(添附file) → 붙이파일
철길(鐵길) → 쇳길, 쇠길
철도(鐵道) → 쇳길, 쇠길
청결(淸潔) → (맑고)깨끗함
청결의(淸潔의) → (맑고)깨끗한
청결한(淸潔한) → (맑고)깨끗한
청유문(請誘文) → 꾐월
체계(體系) → (1)<여느 이름씨> 짜임차림, (2)<셈틀 쓰임말> 틀차림
체언(體言) → 임자씨, 몸말
체제(體制) → (1)<여느 이름씨> 짜임차림, (2)<셈틀 쓰임말> 틀차림
체크(check) → 살핌, 찍기
체험(體驗) → 겪기
초기(初期) → 처음
초반기(初半期) →
최고경영자(最高經營者)→ 으뜸다룸꾸림마로, 으뜸다룸꾸림빛
* 축약(縮約) → 줄어듬
축약되는(縮約되는) → 줄어지는
출연(出演) → <연극 쓰임말> -> 나온이. 나온 사람들. 나오는 사람
들.
출처(出處) → 따온데
취소(取消) → 무르기
취하(取하다)- → 쓰-, 삼-
측량 모드(測量mode) → 가늠본새
측량하(測量하)~ → 재~ [재애-]
층계(層階) → 켜자리, 눈높이, 서흐레, 대중, 가늠, 자리, 높이
칠(七) → <셈씨> 일곱
칠만(七萬) → <셈씨> 일곱거믄
칠백(七百) → <셈씨> 일곱온
칠백만(七百萬) → <셈씨> 일곱온거믄
칠십(七十) → <셈씨> 일흔
칠십만(六十萬) → <셈씨> 일흔거믄
칠억(七億) → <셈씨> 일곱잘
칠천(七千) → <셈씨> 일곱즈믄
칠천만(七千萬) → <셈씨> 일곱즈믄거믄
칭격(稱格) → 가리킴
<< ㅋ >>
카와이한(カワイイ한,かわいい한,可愛い한) → 예쁜, 깜찍한, 사랑스
러운, 앙증스러운
카테고리(category) → 갈래, 갈래묶음, 버렁[버어-]
카테고리 정하기(category 定하기) → 갈래질, 갈래묶기
카피라이트(copylight) → 지음권
캐스트(CAST) → <연극 쓰임말> -> 나온이. 나온 사람들. 나오는 사
람들.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 어울트임, 마음어울트임, 뜻어울트
임
커뮤니티(community) → 동아리
컬렉션(collection) → 모음(순 한글로만 쓸 것.)
컬렉터(collector) → 모음꾼
컬렉트(collect) → 모으기
컴퓨터(computer) → 셈틀, 슬기틀
컴퓨터 바이러스(computer virus) → 셈팡이, 셈틀균
코멘트(comment) → 토, 쪽글, 댓글, 한 말씀
코스춤 플레이(costume play) → 옷차림놀음
코스츔 플레이(costume play) → 옷차림놀음
코스튬 플레이(costume play) → 옷차림놀음
코스프레(costume+play, cosplay) → 옷차림놀음
코스플레이(cosplay) → 옷차림놀음
콜렉션(collection) → 모음
콜렉터(collector) → 모음꾼
콜렉트(collect) → 모으기
<< ㅌ >>
타(他) → 다른, 남의
타동(他動) → 남움직씨
타동사(他動詞) → 남움직씨
타이트한(tight한) → 팽팽한, 빠듯한.
타이틀(title) → 푯말, 팻말
타이틀 바(title bar) → 푯말틀
탈퇴(脫退) → (모람)그만두기, (모람)그만두기
태그(tag) → 시킴표
테크놀로지(technology) → 솜씨갈
테크놀러지(technology) → 솜씨갈
* 텔레비전(television) → 트임보임틀, 본환릡
* 순 우리말, 토박이말 → 배달말, 겨레말
토박이말 사전(토박이말辭典) → 배달말 가리, 배달말 말모이(토박이
말 말모이)
토픽(topic) → 말뜸 [마알-], 말머리, 이야깃거리(준말, 얘깃거리)
톨게이트(tollgate) → 나들목
통고서(통고서) → 알림글
통신(通信, communication) → 어울트임, 서로트임
통신학(通信學) → 어울트임갈, 서로트임갈
<< ㅍ >>
파생어(派生語) → 번진말
판권(版權) → 지음권
판단 → 가늠
판단력 → 가남
판정(判定) → 가름매김
판정승(判定勝) → 가름이김
판정패(判定敗) → 가름짐
판타스틱(fantastic) → 꿈꽃스런, 꿈꽃스러운, 꿈꽃피는
판타스틱하(fantastic하) → 꿈꽃스러-, 꿈꽃피-
판타지(fantasy) → 꿈꽃, 꿈꽃가락
팔(八) → <셈씨> 여덟
팔만(八萬) → <셈씨> 여덟거믄
팔백(八百) → <셈씨> 여덟온
팔백만(八百萬) → <셈씨> 여덟온거믄
팔십(八十) → <셈씨> 여든
팔십만(八十萬) → <셈씨> 여든거믄
팔억(八億) → <셈씨> 여덟잘
팔천(八千) → <셈씨> 여덟즈믄
팔천만(八千萬) → <셈씨> 여덟즈믄거믄
패스워드(password) → 열쇠글
팬터스틱(fantastic) → 꿈꽃스런, 꿈꽃스러운, 꿈꽃피는
팬터스틱하(fantastic하)- → 꿈꽃스러-, 꿈꽃피-
팬터지(fantasy) → 꿈꽃, 꿈꽃가락
페이지(page) → 쪽, 바닥, 낯
편집(編輯) → 꾸밈.
평생(平生) → 한뉘(동안)
폐(廢)- → 못쓰는
폐가(廢家) → 버려둔 집
폐어(廢語) → 죽은 말, 못쓰는 말
폭(幅) → 너비
표기(表記) → 적기
표시(表示) → 나타내기
표시하(表示하) → 나타내-
표제(表題) → 팻말
표제(標題) → 팻말
표준어(標準語) → 표준말
풀그림사(풀그림師)<국어정보학회 벼름> → <선 별마로 벼름> 풀그림
꾼
품사(品辭) → 씨
품사론(品辭論) → 씨갈
프레임(frame) → 쪽창, 틀창
프로그래머(programmer) → 풀그림꾼
프로그래밍(programming) → 풀그리기
프로그램(program) → 풀그림, 차례, 얽이
프로그램 모드(program mode) → 풀그림본새
피부(皮膚) → 살갗, 살결
피동(被動) → 입음
피동사(被動詞) → 입음움직씨
피동형(被動形) → 입음꼴
피양하(피양하)- → 비키-
피양하세요(피양하세요) → 비키세요. 비켜주세요.
필드(field) → 들, 뜰, 조각창
필요(必要) → 쓸모
필요없(必要없)- → 쓸모없-
필요있(必要있)- → 쓸모있-
필요조건(必要條件) → 쓸모
필요하(必要하) → 쓸모하-
<< ㅎ >>
~학(學) → ~갈('한글갈'(한자말 풀이 : 正音學)에서 따옴.)
학문(ology) → 배움갈
학원(學院) → 배곧
학자(學者) → 갈꾼
한민족(韓民族) → 한겨레, 배달겨레
한자어(漢字語) → 한자말
한평생(한平生) → 한뉘(동안)
한평생(한平生동안) → 한뉘(동안)
함정(陷穽) → 허방다리
함정(檻穽) → 허방다리
합성 동사(合成動詞) → 겹움직씨
합성어(合成語) → 겹씨
해설(解說) → 풀이, <연극 쓰임말> 이야깃풀이
해외(海外, oversea) → 나라밖
해외 드라마(海外drama) → 나라밖 이음놀음.
핸드폰(hand+phone<배달잉글랜드 말[콩글리시]>) → 손전화
향년(享年) → 누린 나이, 누리신 나이
헤드 프레임(head frame) → 머리-쪽창
현대(現代) → 요즘뉘, 요즘때
혈통(血統) → 핏줄
형태(形態) → 꼴, 생김새
형태론(形態論) → 꼴갈
협소(狹小) → 좁음
협소하다(狹小하다) → 좁다
형식명사(形式名詞) → 매인이름씨, 안옹근이름씨, 꼴이름씨
형용사(形容詞) → 그림씨
호수(湖水) → 샘못<선 별마로 벼름>
* 호칭(呼稱) → 부르는 이름
호칭어(呼稱語) → 부름말
혼용(混用) → 섞어쓰기
홈페이지(homepage) → 그물집, 누리집, 둥지(국립국어연구원 벼름)
화가(畵家) → 그림꾼
화강암(花崗岩) → 쑥돌
화두(話頭) [화아-] → 말뜸 [마알-], 말머리
화이팅(fighting<니혼 들온말의 한국어 표현>) → 지화자, 어기여차,
아리아리 (꽝), 힘내라, 잘해라
화장실(化粧室) → 뒷간, 볼일방, 몰래방
화재(火災) → 불
화제(話題) → 말뜸 [마알-], 말머리
확장자(擴張字) → 시치미
환상(幻想) → 꿈꽃
환상곡(幻想曲) → 꿈꽃가락
환상의(幻想의) → 꿈꽃스러운, 꿈꽃스런, 꿈꽃피는, 꿈꽃의
환상적(幻想的)- → 꿈꽃스러-, 꿈꽃피-
환승(換乘) → 갈아타기, 바꿔타기
환타스틱(fantastic) → 꿈꽃스런, 꿈꽃스러운, 꿈꽃피는
환타스틱하(fantastic하)- → 꿈꽃스러-, 꿈꽃피-
환타지(fantasy) → 꿈꽃, 꿈꽃가락
-회(會) → 모임, 몯음, -모('모임'의 준말)
회장(會長) → 모임마로, 모임빛, 모마로, 모빛
회로(回路) → 돌잇길
회원(會員) → 모람
회원 가입(會員加入) → 모람 들기
회원 탈퇴(會員脫退) → 물러나기
회원 리스트(會員list) → 모람 가리
횡단보도(橫斷步道) → 건널목
후기(後期) → 마지막
* 후반기(後半期) →
휴게(休憩) → 쉼
휴게소(休憩所) → 쉼터
휴게실(休憩室) → 쉼방
휴대전화(携帶電話) → 손전화
휴대폰(携帶phone) → 손전화
휴식(休息) → 쉼
휴지(休止) → 쉼
휴양(休養) → 쉼
흑조(黑鳥) → 검은 고니, 검정 고니
카페 게시글
♡우리말 살려서 글쓰기
선 별마로의 토박이말로 다듬은 말모이
별마로
추천 0
조회 2,431
04.02.25 04:13
댓글 2
북마크
번역하기
공유하기
기능 더보기
다음검색
첫댓글 애썼습니다. 새말을 더 많이 찾고 만들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즐겨 쓰면서 다름었으면 좋겠습니다. 많은 사람이 가면 길이 된다고 합니다. 새길을 만들고 함께 갑시다.
휴우~ 다행이다. 열 개 중 여덟아홉은 맞추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