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서양 문예사조의 흐름
1. 서양 문예사조의 바탕-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1)헬레니즘(Hellenism) : 고대 그리스의 예술, 철학, 정치 등 여러 분야에 나타난 문화적 이상(理想)을 뜻한다. 현세적(現世的), 사실적(事實的), 물질적 경향을 띤다.
(2)헤브라이즘(Hebraism) : 헬레니즘에 대립하는 사조로 고대의 유태교적 종교 사상을 근간으로 한다. 내세적(來世的), 이상적(理想的), 정신적, 금욕적이며 신의 의지(意志)를 인정하고 이에 복종할 것을 요구한다.
2. 서양 문예사조의 주류적(主流的) 계보
헬레니즘 헤브라이즘
: :
고전주의 → 낭만주의 (17·8세기)
↓
사실주의 → 자연주의 → 유미주의 → 상징주의 (19세기)
↓
행동주의 ← 주지주의 ← 초현실주의
↓ (20세기)
실존주의
※ 보충 설명
·헬레니즘-‘고전주의→사실주의→자연주의’로 전개
·헤브라이즘-‘낭만주의→유미주의→상징주의’로 전개
3. 서양의 근대 문예사조
(1)고전주의(古典主義·classicism) : 헬레니즘을 직접 계승한 사조. 16,7세기 문예 부흥기에 유럽 예술 전반에 나타났던 경향. 인생에 대하여 이지(理智)와 감정(感情), 내용과 형식의 조화를 얻는 것에 미(美)의 주안점을 두고 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예술을 모방하려 했다. 고전주의의 특징은 조화(調和)와 완성, 통제와 형식미에 있다.
例〕대표작가-프랑스(코르네유, 몰리에르) 영국(셰익스피어, 드라이든) 독일(괴테, 레싱) 등
(2)낭만주의(浪漫主義·romanticism) : 통제와 형식의 사조인 고전주의에 반발하여 일어난 사조. 18세기 말엽에서 19세기 초에 유럽 전체를 지배했던 경향. 개성을 존중하여 자유 분방을 구가하고 자연성을 회복하기 위해 형식의 타파를 주장하였다. 감정의 해방, 미지의 세계 동경, 끝없는 공상, 미묘한 정서, 자연에 대한 열애 등의 특징을 갖는다.
例〕대표작가-독일(실레겔, 노발리스) 프랑스(샤토브리앙, 위고) 영국(바이런, 셸리, 키츠) 등
(3)사실주의(寫實主義·realism) : 19세기 전반까지 유행한, 인간의 상상력에 주안점을 둔 낭만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사실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려 한 문예운동. 현실을 과장하거나, 주관적으로 파악하여, 그 사물과 현실의 개성적인 면을 묘사하며, 추악한 현실이라 하더라도 미화시키지 않고, 있는 그대로 묘사하려는 특징이 있다. 사실주의가 문예운동으로 나타난 것은 프랑스였다. 프랑스 혁명 이후로 기계 문명이 발달하고, 특히 19세기에 이르러 유행한 콩트 류의 실증 철학(實證哲學) 등이 그 바탕이 되어 사실주의의 개화를 보게 되었다.
例〕대표작가-프랑스(발자크, 스탕달, 플로베르) 영국(디킨스) 러시아(투르게네프, 도스토예프스키) 등
(4)자연주의(自然主義·naturalism) : 사실주의가 극단적으로 흐른 결과에서 나온 사조. 모든 것을 논리와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자 하는 실증주의적 사고 방식을 배경으로 출발, 인간과 세계를 자연 과학의 이론과 방법으로 분석하려는 문학 운동. 인간을 하나의 자연물로 보고, 작자의 주관이 철저히 배제된 상태에서 인간의 행동이나 생각을 자연 과학적 법칙에 따라 서술하는 특징이 있다.
例〕대표작가-프랑스(졸라, 모파상) 영국(무어, 기싱, 코난 도일) 독일(하우프트만) 노르웨이(입센) 등
4. 서양의 현대 문예사조
(1)유미주의(唯美主義·aestheticism) : 미의 창조를 언어 예술의 지상 목표로 삼는 경향. 탐미주의(耽美主義), 예술지상주의(藝術至上主義)라고도 한다. 19세기 말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났으며, 사실주의 내지 자연주의와 상반된 하나의 흐름이다. 그 특징으로, 첫째 인공(人工)을 중시하고, 둘째 인간적 의의와 내용보다 예술적 형식이나 기교를 중시하며, 셋째 참신(斬新)과 신기(新奇)를 중시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例〕대표작가-프랑스(플로베르, 고티에) 영국(페이터, 와일드)
(2)상징주의(象徵主義·symbolism) :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주로 프랑스 시인들을 중심으로 나타난 사조. 유미주의처럼 사실주의에 대한 반동(反動)이며 유미주의의 일면을 계승, 심화시킨 것이다. 자연주의나 사실주의는 객관적 현상을 있는 그대로 옮기는 데 불과하나, 이것은 하나의 문헌이나 사진이지 예술품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지성화된 감성으로 내면 세계를 통해 정신 세계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려 하였다.
例〕대표작가-프랑스(말라르메, 랭보, 베를렌, 발레리) 독일(게오르게, 릴케) 아일랜드(예이츠) 오스트리아(호프만슈탈) 등
(3)초현실주의(超現實主義·surrealism) : 1차 대전 후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난 문예사조. 합리주의나 논리적 사고를 부정하고 오로지 인간의 내면 세계에서 무의식적으로 논쟁으로 발생하는 생각이나 느낌, 곧 잠재 의식을 자유롭게 표현하려는 경향을 말한다. 잠재 의식이야말로 순수한 상태의 인간 정신이며 인간을 가장 자유로운 상태에 있게 해 준다는 신념을 밑바탕으로 하고 있다. 시에서는 시인이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을 논리적 순서 없이 그대로 배열하는 자동기술법(自動記述法)을 사용하는데 소설에서는 이를 ‘의식의 흐름’이라고 한다.
例〕대표작가-프랑스(부르통, 푸르스트) 영국(조이스, 울프) 등
(4)주지주의(主知主義·modernism) : 1차 대전 후 영국을 중심으로 일어난 시적 경향. 원래는 20세기 초에 나타난 예술상의 여러 사조를 총칭하는 말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지적(知的) 언어와 시각적 이미지를 중시하는 영.미의 경향(imagism)만을 가리키는 말로 통용되고 있다. 윤곽이 선명한 시, 명확한 이미지의 창조, 음악성의 배격 등의 특징을 보여 준다.
例〕대표작가-영국(흄, 파운드) 미국(엘리어트) 등
(5)행동주의(行動主義·behaviourism) : 1차 대전 후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난 사조. 세기말 사상이나 초현실주의에 내재하는 허무적 경향을 배격하고 인간의 객관적 행동을 주로 다루는 경향이다. 현대인의 불안과 절망을 인간의 내면 의식 탐구가 아니라 사회적 행동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해결하려는 운동이다. 따라서, 문학의 소재도 스포츠, 여행, 연애, 혁명, 전쟁 등 행동적 세계에서 취하였으며, 2차 대전 후에는 더욱 적극적인 행동성을 보여 실존주의(實存主義)를 파생시키기도 했다.
例〕대표작가-프랑스(말로, 지드, 생텍쥐베리) 미국(헤밍웨이) 등
(6)실존주의(實存主義·existentialism) : 2차 대전 후 프랑스를 중심으로 나타난 철학적 경향. 인간의 내면적 본질보다는 그가 처한 상황을 중시하여, 현대인이 처한 고뇌와 허무 등의 상황 속에서 적극적 의미를 찾으려 했다. 다시 말하면, 전통적 철학은 인간성 일반에서 인간의 본질을 추구하였으나 실존주의는 인간 개개인이 처한 상황 속에서 존재[실존(實存)]로서 인간의 본질을 찾으려 한 것이다. 이 실존의 개념을 문학에 적용한 것이 실존주의 문학이다. 이 문학은 2차 대전 후 유럽을 뒤엎은 불안과 절망 속에서 태동한 것이니, 인간의 근원적 불안과 고뇌, 허무성을 들추어 냄으로써 어떤 적극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수법을 썼다.
例〕대표작가-프랑스(사르트르, 카뮈) 오스트리아(카프카) 등
※보충 설명
·고전주의-형식미를 존중하고, 이성(理性)을 중시. 유형적, 보편적 미의 추구. 연극에서 삼일치(三一致) 중시. 시에서의 정형성 중시
·낭만주의-격렬한 생명감을 표현하려는 문학 운동에서 출발. 음악적, 주관적 양식이며 미의 다양성을 지향하고 개성을 중시함. 무한의 이념을 추구함
·‘문예사조’의 뜻-특정한 시기의 특정 사회에서, 하나의 공통적 흐름으로 나타나는 문학상의 경향
·작가와 ‘문예사조’-한 작가나 작품을 특정한 문예사조 속에 고정시켜 말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사실주의-산업혁명 이후 제재의 범위가 넓어지고 인간의 일상적 실재성(實在性)이 크게 문제된 데 따른 현실의 기록적 태도가 바탕이 된 사조
·자연주의-생물학적 인간관. 실험, 관찰에 의한 분석 중시. 인간의 추악성 폭로
·유미주의-세기말(世紀末) 사조의 주축을 이루며 그 한 가닥은 상징주의에 계승되었다.
·세기말 사상-19세기 말 유럽에 나타난 퇴폐적 경향. 도덕이나 예술에서 일체의 전통을 부정하고 찰나적, 관능적, 향략적 풍조로 나타남
·상징주의-현대시의 가장 대표적 사조. 표현 방법에 있어서 언어의 음성 현상에 의한 미묘한 음악성을 중시하는 한편 명징(明澄)한 표현보다는 모호한 표현을 하였다.
·초현실주의-합리주의적, 논리적 질서를 배격하고 순수한 정신 세계의 조화와 질서를 추구. 어휘의 사전적 의미보다 연상적 의미, 즉 환기 작용을 중시하고, 따라서 의미의 연결보다 이미지의 결합을 추구하였다.
·주지주의-감정보다는 지성을 존중하며 시에서의 회화성(시각적 심상)을 중시하며 탐미적, 관능적, 몽환적인 경향에 반대하였다.
·행동주의 문학-작가가 사는 방법으로서 서재형(書齋型)과 반대로 몸소 실천으로 보여 준 점에 이 문학의 의의가 있으며 사르트르 이전의 참여 문학이기도 하다.
·실존주의 문학-현대의 위기적 상태에서 믿을 것은 자기 존재 이외에 없다는 극한적 개인주의 문학이다.
·상황론-실존주의에서 말하는 한계 상황. 인생은 순간마다 단절하며 이것을 스스로의 결단과 선택에 의해 행동함으로써 연속시켜 나갈 때 삶의 한계가 드러난다는 주장.
Ⅱ 한국 문예사조의 흐름
1. 한국 문학 사상의 바탕
(1)무속신앙(巫俗信仰·shamanism)과 동물숭배사상(動物崇拜思想·totemism)
이 두 사상은 우리 민족 고유의 사상으로 후대에 외래 사조를 수용할 때 절대적 지주의 역할을 하였다.
·무속신앙 : 이 세상의 모든 사물에는 정령(精靈)이 깃들여 있다는 생각을 근본으로 한다. 이 정령의 힘을 의지하여 원화소복(遠禍召福)하려는 주술적 행위나 특정한 사물을 꺼리는 금기(禁忌,taboo)의 심리는 여기에서 기원하는 것이다.
·동물숭배사상 : 어떤 부족이나 씨족 집단이 특정의 동물과 주술적, 종교적 또는 혈연적 관계가 있다고 믿는 관념. 고대 건국 신화에 등장함.
(2)외래 사조의 주체적 수용(受容)
·유교 사상 : 충효와 인의(仁義), 입신양명(立身揚名), 안빈낙도(安貧樂道) 등 현실적 삶의 태도를 작품화하였다.
·불교 사상 : 일찍부터 토착화된 불교 사상은 특히 제행 무상(諸行無常), 인과응보(因果應報), 윤회사상(輪廻思想), 인연설(因緣說) 등이 우리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도교 사상 : 유교와 대립적 입장에서 현실을 부정하고 자연 또는 초월적 세계를 추구하였다.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 허무 사상, 신선 사상, 현실 도피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
2. 한국 문예사조의 주류적 계보
무속신앙, 동물 숭배 사상 → 유교, 불교, 도교 사상의 융화 → 실학 사상 → 개화 사상
(18·9세기) (19세기 말)
→ 계몽주의 → 낭만주의·사실주의 → 계급주의·민족주의 → 순수문학파 →
(20세기 초) (1920년대 전반) (1920년대 후반) (1930년대 초)
모더니즘(주지주의, 초현실주의) → 생명파·청록파 → 전후 문학
(1930년대 중반) (1930년대 후반) (1950년대)
3. 한국 문예사조의 흐름
(1)근대화의 싹이 된 실학 사상 : 조선 후기 영.정조 시대에 나타난 경제적, 사상적 측면에서 전근대성을 극복하려는 노력 .사상적으로 전근대적 공리공론(空理空論)보다 실질을 숭상하는 실사구시(實事求是)의 경향을 보여 준다. 박지원 등의 비판적 문학이나 판소리. 사설시조 등 평민 문학을 통해 형성된 실학파의 문학은 19세기 후반의 개화 사상으로 이어진다.
(2)전근대성 탈피에 앞장 선 개화 . 계몽 사상
·개화 사상 : 봉건적 전통 사회를 근대적 시민 사회로 전환하고자 한 지도 이념을 말한다. 신교육의 실시, 신문 . 잡지의 발행, 언문일치(言文一致) 문장 운동, 외국 문학의 번안, 번역 등이 현실화되어 문학에서의 근대화 여건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 문학은 서구의 근대 문학적 성격을 가미하여 신체시, 신소설 등의 양식을 창출하였다.
·계몽주의 : 1910년대의 문학은 최남선, 이광수의 ‘2인 문단 시대’로 요약되는데, 이들은 19세기 말의 개화 사상 . 독립 사상을 바탕으로 시대적 문제들을 한층 심화시키면서 근대적 인간상을 형상화한 계몽주의적 문학을 표방하였다. 서구 문명의 도입, 전근대적 사회 비판, 새로운 자유시의 추구, 자유 연애, 교육의 중요성 등을 주 내용으로 제시한 문학이다.
(3)문예사조의 정립(1920년대 전반)
·낭만주의 : 3.1운동 직후의 암울한 좌절적 분위기가 시에서는 감상적(感傷的) 낭만 풍조로 나타났고, 소설에서도 우울하고 패배적인 분위기와 그런 인간상이 묘사되었다. 『폐허』, 『백조』 동인들의 작품이 된다.
·사실주의 : 앞 시대의 관념적 계몽주의를 탈피하려는 시도로 김동인을 중심으로 한 창조 동인들에 의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사회적으로 낮은 계층의 서민들을 인물로 선택하여 개인과 사회의 구체적 관계를 객관적으로 형상화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4)문학 운동의 두 가지 대립적 상황(1920년대 후반)
·계급주의 문학 : 프로(프롤레타리아) 문학. 무산자(無産者) 문학. 계급주의적 발생에 의해서 무산자들의 계급적 자각과 이에 의한 대립 의식을 표현하려는 문학이다. 이에 따라 프로 문학은 신경향파에서 그 싹이 보이기 시작하여 카프에 의해 하나의 형태로 굳어졌으나, 1930년대 중반에 카프의 해산과 때를 같이 하여 소멸되었다.
·국민문학 운동 : 1920년대 중반부터 형성된 카프 계열에 대항하여, 민족주의 문학자들이 주창한 문학 운동. 계급 위주의 이데올로기 문학에 반발하여, ‘민족’ 개념이 문학 활동에 있어 가장 중요함을 역설하고, 우리 민족의 문학을 만들어 보려는 노력을 경주했다.
(5)순수문학과 모더니즘(1930년대 전반)
·순수문학 : 1920년대 후반의 목적 문학(계급주의, 민족주의)에 대한 반발로 문학의 예술성을 자각한 문학적 경향. 특히 시문학파에 의해 주도된 순수시는 우리말의 고유한 아름다움으로 순수 서정의 세계를 노래해 한국시의 예술성을 높였다.
·모더니즘 : 시의 회화성, 지적인 언어를 강조한 이미지즘(imagism, 이를 주지주의로 번역)적 경향과 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불안, 절망을 비논리적 언어로 형상화한 초현실주의적 경향으로 요약된다. 이 사조는 1950년대 ‘후반기(後半期)’ 동인에 이어져 보다 새로운 양상을 띠게 된다.
(6)새로운 전통의 창조(1930년대 후반-1940년대 초)
·생명파 : 순수시의 세계를 더욱 심화하여 시작(詩作)의 과제를 인간 특히 생명 의식의 고양(高揚)에 두었다. (유치환, 서정주, 김동리)
·청록파 :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시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한국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7)전후 문학의 다양한 모습 : 광복 이후의 사회적 격동기를 거쳐 동족 상잔의 비극을 체험하면서 1950년대 문학은 다양한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실존주의적 경향을 위시하여 후반기 동인 중심의 후기 모더니즘 운동. 동족 상잔의 비극성을 바탕으로 한 휴머니즘 등이 그 중요한 경향이다.
※보충 설명
작품과 그 배경 사상
·무속 신앙-구지가, 혜성가, 도솔가, 처용가 등
·동물 숭배 사상-단군 신화, 박혁거세 신화, 금와 탄생 설화, 구지가(김수로왕 탄생 설화)
·유교 사상-안민가, 단심가, 사미인곡, 속미인곡, 강호사시가 등
·불교 사상-제망매가, 원왕생가, 금오신화, 구운몽, 심청전 등
·도교 사상-장진주사, 선상탄, 구운몽, 상춘곡, 농암가 등
한국 현대 문학과 서양 문예사조 : 서구의 문예사조는 르네상스 이후 수백 년에 걸쳐 전시대에 대한 반동 또는 계승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다. 이러한 서구의 사조를 우리나라에서는 1920년대 이후 동시 다발적으로 수용하여 우리의 문학적 현실에 접목시켰다. 따라서 한국의 문예사조는 서양과는 아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다.
·계몽주의 : 사회적 변동기에서 그 시대 선각자들에 의해 형성되고 주도된 대중 계몽의 이념을 가리킨다. 한국의 경우에는 전근대적 유교 이념의 극복을 중심 과제로 삼았다.
·상징주의 기법 도입 : 1919년 김억에 의해 상징시의 기법이 도입되어 한국시에 일반화되었다.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 1920년대 소설은 대체로 사실주의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표본실의 청개구리」, 「감자」 등은 자연주의적 경향을 띤 작품이다.
·카프(KAPF·한국프롤레타리아 예술 연맹) : 계급주의 문학을 표방한 예술 단체. 박영희, 김기진 등이 주도
·국민문학파 : 시조 부흥 운동, 문학의 순수성 옹호 운동 전개. 이광수, 이병기, 김동인, 양주동 등
·시문학파 : 1930년 김영랑, 박용철 등의 주도로 결성되었다.
·주지주의 : 최재서, 김기림 등이 영.미의 주지주의 이론을 소개하고 김광균이 작품 활동을 전개하였다.
·생명파의 두 시인의 경향 : 유치환-허무와 의지 형상화. 서정주-강렬한 육감적 표현
·청록파 세 시인의 경향 : 조지훈-선적(禪的) 풍류. 박목월-향토적 간결미. 박두진-청결한 갈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