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전통음식만들기
 
 
 
카페 게시글
식초 만들기 세번째 현미식초 시작하였습니다.
김수여(광양) 추천 1 조회 1,980 11.06.21 19:53 댓글 2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1.06.21 23:30

    첫댓글 ^^*성공하기바래요

  • 작성자 11.06.22 08:06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11.06.22 01:38

    대단하십니다 양이 많군요~~~~저두 전통식초를 하고싶어서 ㅎㅎ거듭 실패로 의기소침속에서 다시 현미식초 담고잇습니다만 ㅎㅎ자랑을 못하겠어요 이제는 약이올라서 다시 안담는다 해놓고 일저질러놓습니다 ㅎ꼭 성공을 빌어요 잘되실겁니다

  • 11.06.22 06:51

    많은 양같지만 나눔하면 얼마 안됩니다 ㅎㅎㅎㅎ

  • 작성자 11.06.22 08:56

    초원님, 전통주와 아니, 술에 대하여 저는 전혀 모르고, 식초에 대한 문외한이 감히 시작하여 볼 수 있었던 것은 초원님의 덕분이었답니다. 가끔 실패에도 메이지 않으시고 다시 시작하시는 초원님의 의지가 귀하게 와 닿았는데요. 고마워 합니다.

  • 11.06.22 19:20

    정철기님 저한테는 많은양이거덩요 ㅎㅎ늘 작은양으로 합니다 힘에 겨웁기도하고요 식초 많이 만들어도 먹어지지 않잔아요 ㅎㅎ지금도 생각나는 실새삼식초 너무 신기했었어요

  • 11.06.22 06:50

    현미식초가 지방산이 많을뿐아니라 각종 유기산도 많고 맛이 좋기 때문에 도전을 하는데 발효가 잘 안돼 어려움을 겪고 계십니다. 밑술을 만들어 덧술을 치는 방식이 훨씬 안정적인데 밑술 재료는 멥쌀로 적게 만들어 덧술을 치면 더 쉽게 됩니다. 그런데 큰 상관은 없지만 레시피가 균형이 안맞네요 ㅋㅋㅋㅋ 그리고 김홍기님 누룩은 일반 공장누룩보다 적게 넣어도 잘됩니다

  • 작성자 11.06.22 15:17

    늘 감사합니다. 부족한 점 하나하나 배워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고마워 합니다.

  • 11.06.22 12:58

    부럽습니다. 대단하시구요.
    여쭙니다.
    현미 4K, 누룩 10k, 엿기름 200g 이라고 하셨는데...
    저도 잘 모르는데... 죄송합니다.
    현미에 비해서 누룩이 너무 많은것 아닌가 하고요.
    혹시 오타가 난 것입니까? 아니면 10kg 이 맞나요?
    저도 식초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었어요.

  • 작성자 11.06.22 15:18

    네? 아~ 감사합니다 오타 맞습니다. 누룩 1kg이었습니다 그래도 조금은 많은 양이구요 800g 정도였음 더 좋을 양이었는데요 남기면 버리게 된다는 아까움 때문에... 과유불급인게지요. 저는엿기름을 사용하였는데요 이 또한 집에 있는 것이니... 엿기름 보다는 밀가루(우리밀)를 사용하면 더 좋은 술이 된다고 합니다. 부족하지만 한번 해보고 두번하여 보니 잘 되리라는 마음 가지게 됩니다.

  • 11.06.22 19:34

    저두 묻어갑니다 정철기님 이번에는요 술걸러서 단술따로 만들어서 술거른대에 혼합했어요 처음부터 작은물방울이 군대군대 모여서 있었어요 지금은 조금더 군대군대 물방울 모인곳이 많아졋고요 맡아보면 상큼한 향이 잘되고있는거 같아요 또다른 경험을 하고있네요 단술담아서 혼합한건 처음이거덩요 지금 잘되고잇는걸까요?향기로는 분명히 잘되고있거덩요

  • 11.06.22 20:35

    알코올 만드는 단계에서는 가급적 단단하게 봉하고 궁금해도 열어보지 마셔요. 조금지나면 소리와 똑 쏘는 매운냄새가 나면 성공합니다

  • 11.06.23 01:57

    술을 밪으면서 밥알이 가라앉으면 저어주지않는것이 좋아요. 또한 술이 다되었다고해서 초단지에 미리 담아놓으면 실패하기 쉬워요. 완연하게 알콜발효가 다 될때까지 에어락을 설치해주고, 발효가 진정되면 그때가서 초산발효시켜주기위한 입구를 천이나 한지로 덮어주면 됩니다. 저는 현미식초만들기할때 막걸리를 숨쉬는 용기에다 몇달 발효시킨다음 초만든답니다. 실패율 제로!

  • 작성자 11.06.23 10:19

    처음 시작 때 술이 다되어 옹기에 담았더니 2차 술 발효가 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는데요. 그리고 초산발효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뚜껑은 광목천으로 봉하고 초단지 입구만큼 책으로 얹어주었습니다. 지금도 마찬가지이구요. 두번째 술도 열흘만에 완성, 침전된 술을 걸러 희석시키지 않고 바로 다른 옹기에 담아 두었는데요. 도수가 있어서인지 술향과 쏘는 향이 좀더 깊어지는 것을 알게 합니다. 하여, 1차 완성된 술을 걸러내도 2차 술 발효라는 것도 있는거구나... 나름대로 알게 되는데요. 옹기는 뚜껑을 닫아도 숨을 쉬는게 옹기입니다. 그래도 영현님 말씀대로 라면 에어락 설치를 하여야 한다는 거군요.

  • 작성자 11.06.23 10:20

    에어락 원리... 윗글에서 정철기님 말씀처럼 입구를 잘 봉하고 궁금해도 열어보지 말라는 말씀과 같은 원리이지 않겠는지요~ 유용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 11.06.23 14:09

    저두 에어락은 관심을 안가졌어요~~내나름대로 술담는걸 이미 알고있기때문입니다만...에어락 간단하게 집에서도 만들수가 있을까요?~ㅎㅎ고민해볼랍니다

  • 11.07.15 06:22

    현미식초 집에서 만드는줄몰랐습니다 마트에서 사는줄만 알았는데,` 다음에 시도 해봐야 겠습니더~

  • 11.07.22 22:16

    장하십니다 예전에 막걸리 담궈 이용했었는데 ..술이 시어 큰 항아리 부어버렸어요.이제 알고보니 식초 만들면 되는걸~...

  • 11.08.14 16:58

    잘 보고 갑니다 저도 한번 도전해 볼려고 합니다

  • 11.10.15 22:07

    전 개량누룩을 전체쌀량의 2%넣고 밑술담아 식초로 하는데요
    쌀을 뻥튀기해서 바로 밑술로 하고 3일 후 그 위에 찹쌀로 덧술을 해요.
    뻥튀기한 쌀은 이미 팽화되면서 호화되어 바로 누룩과 어울러져 술이 쉽게 되더라고요
    찹쌀로 덧술하는 건 찹쌀의 단맛이 나와 오래두고 숙성할수록 부드러워지던데

  • 11.11.04 05:26

    잘 보고 갑니다.

  • 11.11.04 18:05

    초보에겐 넘 어려운거 같아요..

  • 11.11.25 13:11

    저도 어제 현미백미로 섞어서 술을담그었어요
    식초로만들려고요 2년전에 술빚어서 방치해놓은것이 흑초가되어 맛이 있어서 만들어 쓸을려고요
    잘돼야하는데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