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아이러브사커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 지식IN 컬럼 [재미있는 축구 규칙 - 10] Law13 Free Kicks
BabyDolphin 추천 0 조회 488 10.01.03 21:46 댓글 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01.04 13:56

    첫댓글 따끈한 정보 감사드립니다..역시 2번그림이 헷갈리는군요,,축구에서 손사용은 인정이 안되서 골에어리어 밖에서 직프를 줄줄알았는데,,그리고 3번그림에서 상대편 수비벽위치도 그림으로 표시해주었으면 참고되었을텐데요^^,,제가 욕심이 너무 과한가요?! 이제 축구에 눈뜨기 시작한 초보라서,,^^ 질문 하나요,,,프리킥(직+간) 성공시 주심의 최종선언으로 골이 인정되잖아요.①프리킥or슈팅시 주심맞고 들어간골,,그러나 주심이 기절하였다 몇분뒤 깨어나면 골인정? ②프리킥or슈팅을 날렸으나 주심맞고 기절,,선수모두 기절한지 모르고 경기에 열중하여 맞고 나온공을 몇번의 패스로 골인,,골인정?!

  • 10.01.04 13:59

    이런 경우는 없겠지만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①,②경우 주심의 기절로 골이 들어가는 것은 못봤지만 ①은 골로 인정이 될것 같고 ②는 골인정 안될것 같네요,,,,만일 둘 다 골인정이 안되면 어떤식으로 경기를 재개해야 할까요?!

  • 작성자 10.01.04 14:29

    3번의 위치에서 수비의 벽은 본문에서 말씀을 드렸듯이 골라인을 따라서 골라인 위에 벽을 쌓아야 합니다. 그리고 질문하신 2가지 케이스는 거의 드문데요, 일단 1번의 경우는 주심이 기절을 하더라도 그 상황에서 골이 들어가면 인정이 됩니다. 심판은 경기의 일부분으로 간주되고, 주심을 맞고 바로 들어간 경우는, 주심이 깨어난뒤 부심 또는 대기심이 그 상황을 설명 해주면 되니까요.

  • 작성자 10.01.04 14:38

    2번의 경우도 득점으로 인정이 됩니다. 주심이 쓰려져있는동안은 부심이 경기를 진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필요시 공과 가까이 있는 부심은 경기장에 들어올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심이 쓰러진 시간과 골을 넣은 시간의 차이가 많으면 안됩니다. 만약 어느정도 시간이 길어진다고 판단될시, 주심의 권한을 가진 대기심이 경기를 중단 시킬수 있습니다. 중간에 경기가 중단됬을시에는 중단된 지점에서 드랍볼로 재시작 됩니다. 만약 대기심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1부심이 주심의 권한은 이어받게 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