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 안에 최대 연면적을 구한다?
1. 우선 대지 면적에 용적율 곱하면 지상층의 최대 연면적이 나옵니다.(해당지역 조례를 확인하여 지역별 건폐율, 용적율을 확인)
즉, 대지면적*용적율=지상층 최대 가능 연면적
2. 최대 연면적
지상층 최대 가능 연면적 + 지하층 연면적(주차장+기계실 등)
3. 최대 연면적은 지상층 최대 연면적+지하층 연면적이 됩니다.
4. 볼륨 계획을 하기 위해 주거지역이므로 정북방향 일조권을 적용하고, 사선적용을 하여, 입체적인 입면 계획을 합니다. 즉, 정북방향 일조권, 사선제한은 최대 연면적을 구한다기 보다는 볼륨계획상 조정하는 과정입니다. 이때 이 지역에 가로구역별 높이 제한이 있는지 확인해야 하고, 만약 없다면 일반적인 도로 사전을 적용합니다.
5.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채광창 규제도 체크합니다. 즉, 건축물의 용도가 만약 공동주택이라면 채광창에 대한 이격거리가 필요합니다. 이부분은 건축법 및 해당 조례를 확인해야 합니다.
6. 피난 및 소화에 필요한 통로배치 역시 필요한데, 이 부분 역시 건축물을 배치시 일정 거리를 이격해야 합니다. 이 부분도 역시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다소 상이한데, 건축법 및 해당 조례를 확인해야 합니다.
7. 계획적 조건을 검토시는 해당 법률(건축법, 국계법, 주차장법)을 확인하시고, 이때 조례 역시 확인하여 모법과 다른 제한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특히 실무적 설계조건이라면 해당지역의 조례가 우선적으로 확인이 되어야 보다 적절한 규모계획이 가능하다는 것을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첫댓글 교수님 감사드려요~ 너무 쌩둥맞은 질문을 드린거 같아서 걱정되었었는데 요목조목 집어주셔서 넘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구요.. 공부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저절로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