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책소개>
이슬람 문화권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
《아라비안나이트》의 셰에라자드가
우리 주변에도 있다?
끊임없이 듣고 말하고 쓰는 우리,
이야기의 힘을 믿는 우리,
끝없이 펼쳐지는 우리 이야기
《아라비안나이트》의 이야기꾼 셰에라자드처럼
끊임없이 이야기를 만드는 아이
이 책의 주인공 “셰에라자드”는 이슬람 문화권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 《아라비안나이트》에서 화가 난 왕에게 천 일 동안이나 재미난 이야기를 들려준 인물과 이름이 같습니다.
이란 테헤란 예술대학에서 회화를 공부한 후 일러스트레이터이자 그림책 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나히드 카제미는 끊임없이 이야기를 들려주는 인물 “셰에라자드”를 모티브로, 이야기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힘을 가지는지를 보여주고자 합니다.
작가는 우선 자신이 그림책 독자들에게 건네는 것 또한 ‘하나의 이야기’라는 설정을 합니다. 옛이야기의 전형적인 도입부, “옛날 옛적에 셰에라자드라는 여자아이가 있었어.”라는 문장으로 이야기를 시작하지요.
그림책 《셰에라자드》의 주인공은 “읽고 쓸 줄 알기 훨씬 전부터 이야기와 사랑에 빠진” 인물입니다. 이야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말을 귀 기울여 듣고, 자신이 들은 이야기에 대해 생각합니다. 방에 혼자 있을 때는 보고 들은 것을 종이에 적어 봅니다. “사람들을 더 잘 이해하고” 싶으니까요.
이렇듯 셰에라자드에게 이야기란 ‘나와 내 주변의 삶을 이해하는 방식’이라는 것은 중요한 지점입니다. 공원에서 우연히 만난 슬픈 표정의 아이를 외면하지 못하고 아이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것도 이 때문이지요. 셰에라자드는 화가 난 왕 때문에 자신이 살던 곳에서 떠나온 아이의 이야기에 대해 골똘히 생각합니다. 부당한 일을 겪고 고통 받는 사람들에 대해 깊이 생각하던 셰에라자드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발견합니다. 그것은 바로 이야기를 만드는 일이지요.
천 일 동안 화가 난 왕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힘
끝없이 펼쳐질 우리 이야기
화가 난 왕의 왕국으로 날아간 셰에라자드는 “잘못된 것들을 바로잡겠다고 결심”하며 궁전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왕 앞에서 자신의 정체를 밝힙니다. 자신은 왕에게 이야기를 들려주기 위해 이곳에 왔다고요.
왕은 셰에라자드에게 소리를 지르고 화를 내지만, 셰에라자드는 물러서지 않습니다. 그리고 매일 밤 왕에게 이야기를 들려주지요. 그렇게 천 일 그리고 하룻밤이 더 지나갑니다. 무엇이 달라졌을까요?
종종 이야기는 힘이 없다고 여겨집니다. ‘사실’이 아니라 ‘만들어진 허상’이라는 이유에서요. 그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이야기는 이야기만의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셰에라자드의 이야기에 푹 빠진 왕은 자신이 만든 “가장 끔찍하고 악한 법”을 선포하는 것을 뒤로 미룹니다. 셰에자라드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왕은 “신하도, 왕관도, 왕좌도, 화려한 옷도 없이 오직 자기 자신으로만” 존재하게 되고, 자신이 놓치고 있던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이야기가 가진 힘이지요.
그림책 《셰에라자드》는 이야기가 다른 사람의 삶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시작되며, 고통에서 헤어날 힘을 주고,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야기를 통해 우리 삶이 더 나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면 결코 이야기의 힘을 하찮게 여길 수 없습니다.
현실에서는 대단한 힘이나 높은 지위를 못한 사람이라도 이야기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 또한 눈여겨볼 지점입니다. 이 그림책의 주인공 셰에라자드처럼,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 싶은 마음,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 싶은 마음을 가진 어린이는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이야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렇듯 그림책 《셰에라자드》에는 이야기를 좋아하고 이야기의 힘을 믿는 사람들이, 우리 삶이 담긴 이야기를 끊임없이 만들어 갈 것이라는 믿음이 담겨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이 책의 부제 – 우리의 이야기는 끝이 없지 – 가 붙여진 이유입니다.
첫댓글 이야기의 힘은 위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