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2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오펜하이머>의 원작인 J. 로버트 오펜하이머 평전이다. 전기 작가 카이 버드와 미국사 교수 마틴 셔윈이 썼다. 한국어판의 분량이 대략 1천장일 만큼 방대한 사료를 바탕으로 한다. 두 저자가 25년에 걸쳐 모은 오펜하이머의 개인 문서와 유품, FBI가 만든 수천쪽의 기록물과 녹취록, 그리고 100여명에 가까운 오펜하이머 주변인들의 인터뷰가 주된 자료다.
스팅의 <Russians>(1985)
냉전 시기 구소련 체제를 비판하며 불렀던 이 곡의 가사를 통해 크리스토퍼 놀런은 J.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존재를 처음 알았다고 한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How can I save my little boy from Oppenheimer’s deadly toy?”(오펜하이머가 만든 죽음의 장난감으로부터 난 어떻게 내 아이를 지킬 수 있을까?) (오펜하이머가 개발하여 2차 세계대전 당시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무기의 이름 ‘little boy’를 이용한 중의적 노랫말이다.-편집자)
안드레이 타르콥스키의 <거울>(1975)
<오펜하이머>에 종종 등장하는 원자들의 초현실적 이미지와 오펜하이머의 상상 시퀀스는 <거울>의 시각적 질감에서 영향을 받았다. 놀런 감독은 <거울>을 두고 “은유적이고 상징적인 이미지들의 상호작용”의 훌륭한 레퍼런스라 밝혔다.
밀로시 포르만의 <아마데우스>(1985)
젊은 천재 음악가 모차르트와 궁정음악가 살리에리의 경쟁 심리를 그린 작품이다. 놀런은 천재 오펜하이머와 범재 스트로스의 관계성을 <아마데우스>의 사례에서 참고했다. 특히 스트로스를 연기한 배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에겐 “권모술수를 행할 때만 매력적인 캐릭터”를 요구하며 “대개 모차르트 같은 역할을 하는 당신이지만, 이번엔 살리에리여야 한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일련의 서부극들
작중에서 오펜하이머는 뉴멕시코주의 황무지인 로스앨러모스 지역에 핵무기 개발을 위한 마을을 짓는다. 그러나 지금의 로스앨러모스는 도시 개발이 진행되어 로케이션으로 삼을 수 없었다. 이에 마을 세트를 건설해야 했고, 이때 놀런은 실제 과거의 로스앨러모스보단 본인에게 가장 익숙하고 자연스러운 서부의 모습을 원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와일드 번치>(1969), <천국의 문>(1980), <옛날 옛적 서부에서>(1968) 등 옛 서부영화를 레퍼런스로 사용했다.
데이비드 보위의 패션
오펜하이머의 정장 차림은 뮤지션 데이비드 보위의 외양을 참고했다고 한다. 특히 1975년 《Young Americans》 앨범으로 활동하며 페르소나 신 화이트 듀크(The Thin White Duke)로 분했던 보위의 스타일을 중요한 레퍼런스로 택했다. 놀런은 실제 마티니와 담배로 식사를 대신하며 깡마른 체구를 가졌던 오펜하이머의 외모를 재현하되, 그가 지녔던 모종의 고독함과 예민함을 보위 특유의 분위기에서 따오려 했다. 글 이우빈 2023-08-2
자료출처: 씨네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