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송 시대 선승 무문 혜개( 1183~1260) 선사가 지은 <무문관> 은 <종용록> <벽암록> 과함께 3대 공안집으로 불린다. <무문관> 은 총48칙의 공안과 함께, 평론해 길게 해설해 놓은 평창과 간단하게 외우도록 시조 형식으로 풀이한 송으로 구성 됐다.
박인성 동국대 명예교수가 저술한 <무문관을 사색하다>는 <무문관> 의 본칙,평창송을 해독해석한 책이다. 무문관은 공안집의 이름으로 유명할 뿐 아니라 영화, 수행처의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그 저간에는 <무문관> 제1칙'조주구자' 공안의 '무'가 맴돌고 있다. 소위 '무자화두'는 동북아시아 대승불교국가 선자들이 가장 많이 드는 화두이다. 무문혜개 선사역시'무자공안을 수년간 참구하다가 깨달음을 얻었다고 전해진다.
<무문관> 48칙 공안은 '1700공안'의 요체를 담고 있고 있으면서도 '무'자 공안으로 귀결되고 있다. <무문관을 사색하다> 는 '무자 공안을 위시한 <무무관> 의 본칙들의 위력이 어디에서 비롯되고 있는가를 사유.탐구한다.
아비달마, 중관, 유식, 인명 등 인도불교를 오래 연구해온 저자는 중국 선불교 공안집 <무문관> 에 이끌린 이유에 대해 "모든 공안집의 공안(화두)이 담고 있는, '차이의 언어' 때문이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모든 유형의 불교가 차이 그 자체를 지향해 왔지만, 일상어에서 차이 그 자체를 추구하고 발견한 불교는 선불교가 유일하다"면서 "선불교의 언어들은 일상어의 사구와 활구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활구는 역설의 언어, 차이의 언어"임을 분명히 했다.
박인성 명예교수는 저작에서 <무문관> 의 본칙, 평창, 송을 오늘날의 일상어와 철학어로 해독하고 해석해낸다. 해독해석의 근간에는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Gille Deleuze, 1925~1995)의 철학이 있다. 들뢰즈의 철학을 '차이의 철학'이라 부르는 데서 알 수 있듯이, 들뢰즈는 붓다가 이미 2500여 년 전 자신의 전 사상 체계에서 일관되게 적용한 '차이의 개념'을 훌륭하게 전개하고 있다.
이에 박인성 명예교수는 "들뢰즈 등의 철학자가 등장하면서 사유가 동일성의 감옥에 갇히지 않고 해방되는 길로 나아갈 수 있었다. 니체와 하이데거 이후, 차이를 거론하는 철학자는 데리다 등 여러 철학자가 있었지만, 차이를 가장 잘 전개하고 완성한 학자는 들뢰즈"라고 평했다.
저자는 <무문관> 의 공안들을 해독하고 해석하면서 들뢰즈의 여러 용어를 사용하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언급되는 용어는 '무-의미(non- sense)'다. 이는 들뢰즈의 저서 <의미의 논리> 에서 자주 언급되는 용어다. 언급되는 '무-의미'를 일상에서 쓰는 '무의미'로 여겨서는 안 된다. '무-의미'는 의미를 결여됨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의미를 생성하게 함을 뜻하기 때문 이다.
선불교의 활구는 무-의미의 활구와 의미의 활구, 이렇게 둘로 나뉜다. <무문관> 의 공안들은 곧바로 무-의미로 향하는 경우가 많지만, 의미를 거쳐 가는 때도 종종 있다. 이 의미(sense) 역시 활구이다. 들뢰즈의 '의미'는 의미. 사건으로 표현되는 데서 알 수 있듯 순수 생성(pure becoming)의 사건이기 때문이다."
저자도 밝히고 있지만 들뢰즈 철학 용어를 숙지 한다고 하여 <무문관> 의 공안이 모두 해독되는 것은 아니다. 도리어 공안을 있는 그대로 해독해가는 과정에서 들뢰즈의 용어를 더 잘 이해하게 된다는 것이 저자의 설명이다. 그렇기에 공안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하는 말을 주의해서 듣고, 분별을 해체하며 무분별로 넘어가는 과정을 조심스럽게 한 단어 한 단어 한 문장 한 문장 톺아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화두를 잡고 풀어 가는 과정은 올바른 사유를 얻는 과정이다. <무문관을 사색하다> 는 학자가 사유로 천착해 이룬 정견의 결과물이다.